그늘을 벗어나면 밤송이가 찌르기는 듯 뜨거운 햇볕이 살갗을 파고든다. 열기는 마치 모든 것을 불사를 기세다. 흘러내리는 땀을 훔치며 서울행 시외버스에 오른다. 우리나라 남쪽 남해에서 출발하여 두만강 유역 중국 도문 변경을 시작으로 여순에서 마치는 통일 미래를 꿈꾸는 희망 대장정이 시작된다. 차 안은 냉방으로 시원하지만, 창밖의 들과 산, 풀과 나무들은 폭염에 지쳐있다. 괜히 폭염에 지친 생명에게 미안한 마음이 든다. 천안을 지나면서 양방향을 빼곡히 메운 차량 행렬은 한쪽은 남으로 한쪽은 서울로 꼬리를 문다. 하지만 북쪽은 대륙과 이어져 있지만, 분단이라는 현실 때문에 육로 가기란 어렵다. 그래서 첫날은 서울에서 묵고 다음 날 연길을 거쳐 도문부터 일정을 시작하게 된다.
서울이 가까워질수록 무언가 모를 불안감이 전해져 온다. 모일 장소와 시각, 지하철 환승 편을 확인한다. 아무래도 예정된 시각보다 이십 여분 늦을 것 같아 다른 사람에게 잘못을 하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다. 이런저런 일상에 대한 비약이 정리될 즈음 남부터미널에 도착한다. 짐 가방을 끌고 지하철을 이용하려고 계단을 내려간다. 서울 지하철 특유의 냄새가 코끝을 감싸고 눈이 따갑다. 두 번의 환승으로 마포역에 도착하여 에스컬레이터와 계단을 거쳐 지상으로 오른다. 지하라는 밀폐된 공간에서 탈출이다. 그러나 지상도 여름의 열기에 손을 놓을 지경이다. 달아오른 열기는 열섬을 형성하여 사우나에 들어선 것 같다. 인도에 들어선 가로수도 지쳐 늘어지고 오가는 행인들도 더위를 곤혹스러워한다. 이십 여분 늦은 끝에 모임 장소로 들어선다.
우리나라 초중고등학교에서 통일 교육에 관심이 있는 선생님들이 모였지만 언제나 첫 만남은 어색하다. 특히, 낯가림이 심해 선뜻 말을 꺼내 달려들지 못함이 어렵다. 어느 정도 주변이 시야에 들어올 즈음 정면의 ‘북·중 접경지역에서 통일을 꿈꾸다’라는 현수막이 이번 캠프의 성격을 말해주고 있다. 북·중 접경지역은 북한과 제일 가까운 변방이지만 한편으론 삼국시대, 남북국시대 우리 민족의 근거지였으며 구한말 일제강점기 시절 굶주림과 감시를 피해 조국의 독립을 위해 의지를 불태운 곳이 간도지역이다.
세계역사의 흐름은 정의 보다 힘이 작용한다. 산업혁명 이후 열강은 새로운 대량생산 체제로 전환되면서 소비시장과 원료를 구하기 위한 제국주의 정책 힘의 우위를 앞세워 다른 나라를 침탈하는 식민정책을 시행한다. 그 가운데 문호개방에 뒤쳐진 조선도 예외가 아니었다. 하지만 일본은 조선의 통상거부정책으로 개화가 늦어진 틈을 타서 일찍이 메이지 유신으로 힘을 갖춰 대륙을 침략을 위한 계획을 진행한다. 결국 을사늑약으로 외교권을 빼앗기고 마침내 경술국치에 이른다. 이른 상황에서 뜻있는 애국독립투사들은 이 북·중 접경지역 동북 3성을 중심으로 곳곳에서 항일 독립운동을 펼친다. 특히 간도 지역의 용정은 독립운동의 주 근거지였다. 하지만 이런 독립운동도 2차 세계대전 발발과 함께 민족진영과 사회주의 진영으로 갈라져 대립하다 일본의 패망과 함께 각자의 노선을 갖고 열강의 세력 구도에 의하여 한반도는 분할된다. 이 분할 구도는 합일점을 찾지 못하고 결국은 6.25 한국전쟁을 거쳐 지금의 북한 핵 위기까지 오고 있다.
역사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이전의 기록을 토대로 미래를 대비해야 함을 항상 말하고 있다. 임진왜란을 겪으며 그들의 실상을 알았을 것인데 미처 대비를 못하고 또다시 일본에게 짓밟히는 사태에 직면한 것이 통탄스러울 뿐이다. 지금도 마찬가지다. 남북한의 이념으로 인한 소모성 입씨름과 무력충돌을 멀리하고 민족의 상생발전을 위해 힘써야 할 사항이다. 그러나 남북이 원해도 지금 한반도를 둘러싼 현실은 녹록치 않다.
우리 민족의 잃어버린 옛 활동지에서 다시 한번 분단의 아픔을 알고 같은 민족이라는 동질성 회복되어 통일이라는 희망의 바이러스를 심었으면 하는 희망이 이번 탐방에 스며들었으면 좋겠다.
늦은 저녁 시간 초열대야로 잠을 이루지 못하는 서울 한복판에서 낯섦을 지우고 모두가 함께하는 마음으로 내일부터 시작되는 일정을 준비한다. 그리고 생각한 만큼 통일의 필요성과 우리라는 동질성의 바이러스를 챙겨 올 수 있을지 서울의 밤은 깊어만 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