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풀리기한 내신성적을 뭣하러 보나".
2005학년도 대학입시에서 각 대학의 학교생활기록부(학생부) 실질 반영률이 대부분 10% 미만으로 매우 낮고 비교과 영역을 반영하는 대학은 별로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선학교에서 내신성적 부풀리기가 관행화돼 학생부가 '별로 볼 가치가 없는', 즉 변별력 없는 전형자료로 전락했기 때문으로, 각 대학이 면접과 서류전형 등 주관적 평가가 이뤄질 수밖에 없는 전형자료에 의존하도록 조장하고 있는 셈.
따라서 교육인적자원부가 2008학년도 입시부터 각 대학이 학생부 교과·비교과영역 등 내신성적을 위주로 전형을 실시하도록 유도하려면 공정한 내신평가와 함께 교사의 책무성을 높이는 방안 마련이 전제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학생부 실질 반영률 대부분 `10% 미만' = 4일 교육부가 국회 교육위 유기홍 의원(열린우리당)에게 제출한 국감자료에 따르면 대부분 대학이 수시·정시모집에서 학생부를 10% 미만 반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학교육협의회가 발표한 이 자료에 따르면 건국대는 서울캠퍼스 정시모집에서 교과성적 80%, 출결 10%, 체험활동 10%를 반영해 학생부 성적을 총점 400점으로 환산하지만 실제 반영률은 4%이다.
학생부 실질 반영률은 또 경희대(서울) 4.8%, 서강대 8%, 성균관대 5%, 숙명여대 5.8%, 중앙대 5%, 한국외국어대 4%, 한양대 4%, 홍익대 4.6% 등이다.
고려대 서울캠퍼스는 수시모집에서 교과성적 100%를, 정시모집에서는 교과성적 90%와 출결 5%, 체험활동 5%를 각각 반영해 100점 만점으로 환산하지만 대교협에 제출한 자료에는 실질 반영률을 표기하지 않았으며 서울대도 `미정'이라고 밝혔다.
연세대는 서울캠퍼스 수시모집에서 교과 75%와 비교과 25%를 반영, 학생부 성적을 80점 만점으로 환산하며 실질 반영률은 65.5%라고 밝히고 `서류평가를 포함한다'는 점을 덧붙였다.
이 대학 서울캠퍼스의 정시모집 학생부 실질 반영률은 모집단위별로 2~9%로 수시모집에 비해 훨씬 낮다.
한편 대교협은 정시모집의 학생부 실질 반영률이 2002학년도 9.69%에서 2004학년도 8.21%로 떨어졌다고 밝힌 바 있다.
◆비교과영역 반영 대학 거의 없어 = 자격증/수상경력, 재량활동, 특별활동, 체험활동, 봉사활동 등 비교과영역을 반영하는 대학은 많지 않다.
학생부의 외형 반영률을 100%로 했을 때 경북대는 정시모집에서 자격증 및 수상경력 2.7%와 체험활동 2.7%를 반영한다.
또 고려대가 수시모집에서 체험활동 5%, 서강대는 정시모집에서 봉사활동 10%, 숭실대는 정시모집에서 특별활동 3.125%, 아주대는 수시모집에서 학교활동 10%, 한양대는 정시모집에서 봉사활동 10%를 각각 반영하는 정도다.
그나마 학생부 실질 반영률이 대부분 10% 이하인 점을 감안하면 이들 전형요소가 당락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수준인 것으로 분석된다. 연세대는 수시모집에서 서류평가를 포함, 비교과영역을 25% 합쳐 반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