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발표 1]
"AI는 와해성-파괴적 기술"
한선관 경인교대 교수는 인공지능을 '와해성-파괴적 기술'이라고 설명했다. '와해성-파괴적 기술'은 바퀴, 전구, 자동차, 가깝게는 스마트폰과 같이 우리 생활을 크게 변화시킨 기술을 말한다.
교육분야에서도 학습자에 대한 지원 뿐만 아니라 교사의 진단·피드백 활동, 교육기관의 자원 관리·장학·의사결정 등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인공지능이 인간의 일자리를 위협한다는 논란에 대해서는 "직업인들이 기술로 대체되지는 않겠지만, 기술을 활용하지 않는 직업인은 기술을 적극 수용하는 직업인으로 대체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교육계가 인공지능 등 신기술을 받아들이는 데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으면 도태될 수 있다는 메시지로 풀이된다.
한 교수는 인공지능 교육이 '시대적 요청'이라고 강조했다. 3대 영역으로 볼 수 있는 이해교육, 활용교육, 가치교육이 고르게 이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스마트교복을 도입해 사생활 침해 논란을 일으킨 중국 구이저우 고등학교나 도입 후 되려 학업성취도를 떨어뜨리고 문맹률을 높인 미국 알트 스쿨 사례를 들어 데이터 수집이나 활용 시 주의가 필요하다는 점도 지적했다.
[주제발표 2]
학습성향과 태도 구조화에 AI 활용
김봉제 서울교대 교수는 AI를 활용해 지식의 구조화에 초점을 둔 현행 교육방식을 변화시켜야 한다고 봤다. 그는“현재는 지식을 중심으로 학생이 이해하기 쉽게 지식을 구조화하는 것을 성공적인 교육으로 보는데 이는 약간의 문제가 있다”며 “이와 함께 학생의 학습성향과 태도의 구조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예컨대 현장체험을 통해 더 잘 배울 수 있는 학생이 있는 반면, 벌레 하나 때문에 괴로움만 느끼는 학생도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학생의 특성을 진단해 구조화하는 역할은 AI에 맡기고, 교사는 학생 개개인에 맞는 학습 콘텐츠를 디자인해 제공하는 데 집중할 것을 제안했다. 이를 위해 교총 등 교원단체가 앞장서 새로운 교사상을 정립하고 학습 분석을 지원할 ‘교육 빅데이터센터’를 구축해야 한다고 했다.
임준호 블루가 대표는 그동안은 교육 관련 데이터가 기계적으로 수집됐다며, 명확한 목적을 설정하고 어떤 데이터를 모을지 기획부터 다시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통해 학생 성향에 맞게 개별화된 학습공간을 제공하면 학습 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주장이다.
[주제발표 3]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가치 이미 검증
“메타버스는 과거에도 있었고, 앞으로는 더 융성할 것입니다.”
김상철 NHN에듀 부대표는 메타버스의 파급력에 주목했다. 그는 메타버스의 4가지 유형으로 꼽히는 증강현실, 라이프로깅, 미러월드, 가상세계를 설명하며, 이미 우리 생활 깊숙이 들어와 있음을 강조했다.
과거부터 존재한 메타버스가 최근에 급격히 확산된 데에는 불만족스러운 현실의 대안 , 창작·소통 욕구, 디바이스·플랫폼·네트워크의 급속한 발전, 실물경제와의 연결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고 봤다.
김 부대표는 교육분야에서도 메타버스를 접목한 다양한 시도가 있으며 교육적으로 상당한 효과 검증됐다고 설명했다. 전세계 2000개 이상의 기관과 300만 명의 학생에게 첨단 가상 실험실을 제공 중인 플랫폼 기업 랩스터, AR·VR 기기를 활용한 가상 체험 등 다양한 사례도 제시했다.
SNS를 통해 호감을 산 뒤 결혼 등을 빌미로 돈을 뜯어내는 ‘로맨스 스캠’이나 메타버스 세계 안에서 발생할 수 있는 노동권, 콘텐츠 유통권, 시선·뇌파·생체신호 같은 민감한 개인정보 수집 등은 해결이 시급한 사회·윤리적 과제로 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