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의 계절, 도서관을 바라보며
더운 날씨에도 공공도서관에 가보면 사람들로 북적거린다. 엄마와 손을 잡고 오는 아이들, 책을 읽거나 공부를 하러 오는 청소년들과 성인들로 자리는 만원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공공도서관이 설립정의와 다르게 개인공부를 위한 학습공간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공공도서관에서 일반열람실 이용자들은 다른 이용자들과 달리 독서나 문화활동으로 이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용자의 요구에 따른 수요와 공공성이 맞물려 대부분의 공공도서관에서 일반열람실을 운영하고 있으나 일부에서는 다른 시설로 전환하거나 폐지를 주장하기도 한다. 공공도서관은 그동안 사회적으로 부족했던 학습공간을 제공해 주었고 문화에 대한 욕구를 일부나마 해소해주어 지역주민들과 청소년들에게건전한 자기계발 기회와 독서문화 발달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일반열람실 이용자와 도서관 자료의 이용 사이에는 유의한 관계가 성립된다는 조사에 따라 열람실을 자주 이용하던 사람들이 이후 공공도서관의 다른 시설과 프로그램 이용에 좀 더 적극적으로 이어질 수 있어 장기적으로 독서문화 확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도 있다. 자기주도적 학습공간 제공이란 측면에서는 한국의 공공도서관은 많은 역할을 하였으나 이것에 너무 치우친 나머지
- 노명수 울산광역시 울주군(온산읍사무소)
- 2011-09-09 13: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