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부터 공직선거법이 개정되어 ‘이동 약자의 투표소 접근 편의 보장’ 규정에 따라 사전투표소 대부분이 1층에 마련된 것은 다행이지만 거동이 불편한 뇌 병변 장애인, 저시력 장애인이나 발달장애인을 위한 구체적인 지원방안도 마련되어야 한다. 따라서 지나치게 행정편의주의적인 조치를 지양하고 2022년 대통령 선거와 지방 선거는 장애인의 참정권을 보장하기 위해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책임 있는 조치가 꼭 필요하다. 현행 선거에서는 시각장애인들을 위해 선거 공보물을 점자로 제공하고 있는데 공보물을 점자로 바꾸면 분량이 2.5-3배 늘어나서 면수를 제한해서 제작하므로 선거 정보가 누락 될 수밖에 없다. 청각장애인도 선거 관련 토론에 자막이나 수어 통역을 제공하고 있는데 선거법에 관련 내용이 의무사항이 아니기 때문에 일부 지역 방송사는 자막이나 수어 통역 제공을 기피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보다 적극적인 의미에서 장애인의 참정권 확대 정책을 펼쳐야한다. 장애인 참정권 확대를 위해서는 시각장애 개개인의 시력에 맞는 보조용구 비치, 발달 장애인을 위한 별도의 공보물과 투표용지, 청각장애인을 위한 자막을 포함한 수어통역사를 배치하여 이들을 잘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요즈음 살아가는 나의 모습을 돌이켜본다. ‘나는 얼마만큼 주변 사람들과 따뜻한 인간미를 나누며 살고 있을까? 만나고 헤어지는 아이들의 마음을 어루만지며 소통하고 있을까? 최근 코로나 19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일상화되었다. 지금 우리 사회는 코로나 19로 사람들의 마음이 꽁꽁 얼어붙은 것 같다. ‘사회적 거리두기를 하되 마음만은 가깝게’라고 하지만 그게 그리 쉽지 않다. '눈에서 멀어지면 마음도 멀어진다.(Out of sight, out of mind)'는 서양 속담이 괜히 생겨난 게 아닌 것 같다. 그러나 이러한 때일수록 이전 보다 더 많이 전화로라도 수다를 떨고 SNS상으로도 소통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인간은 결코 홀로 살 수 없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코로나 블루’라는 신조어가 생길만큼 코로나가 장기화됨에 따라 마음 챙김도 각별히 신경을 써야 할 때가 왔다. 코로나 블루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기간이 장기화하고 집에 갇혀 지내면서 사회적 고립감이 증대돼 우울감이나 무기력증으로 이어지는 현상을 말한다. 특히 1인 가구는 더욱 큰 고립감을 느낄 수 밖에 없다. 이제는 너나할 것 없이 하나의 상생전략으로 서로 양보하고 먼저 인사하고
“선생님, 커피 한 잔도 안 되나요?” 몇 해 전, 청탁금지법 시행 직후 학부모 상담주간에학부모님께 걸려 온 전화다. 아들의 진로진학 상담을 받으러 갔을 때 담임선생님께서 커피를 타 주며 맞춤형 진로진학 상담을 해주셨을 때고마웠다. 청탁 금지법만 없었다면작은 선물이라도 드렸을 것이다. 그러나 작은 선물이 뇌물이 되고 괜한 오해의 불씨를 키울 수 있다. 청탁금지법은 공무원들이 직무를공정하게 수행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되었다. 청탁금지법으로 공직사회는 새롭게 긍정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제 우리 사회는세계 어느 나라와 견주어 봐도 손색이 없을 만큼 선진국이 되었다. 지하철이나 식당에서도 남을 배려하며 질서를 지키는 문화가 정착되었다. 제2회 청렴 에세이 우수상 수상작 아내의 손을 읽고 큰 감동이 있었다. ‘아내의 손을 잡았다. 따뜻한 손이었다.’라는대목이 내 가슴을 찡하게 울렸다. 산하기관 박과장의 청탁이 나쁜 것임을 알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가정을 위한답시고 순간적으로 청탁성의 뇌물을 받은 것은비난받아 마땅하다. 알량한 자존심을 세우기 위해 심적 갈등을 하다가 불의한 행동을 한 것도 잘못된 행동이다. 검은돈으로 아내에게 목걸이를 선물했지만 그 목걸이를 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