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생각은> 학부모의 교원평가 객관적일까
금년부터 초·중·고 교사에 대한 전면 평가가 실시된다. 그 구체적인 내용이 나오리라 믿지만 평가가 객관적이지 못하고, 실시과정에서 오류가 나오지 않을까 걱정이 되는 것 또한 사실이다. 주지하다시피 교원이 돼 교단에 서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사람들은 어렸을 때부터 꿈을 꾸며 생활한 사람들이다. 즉흥적으로 교사가 되겠다고 해서 교단에 서있는 사람이 드물 것이라는 점이다. 그러기에 미래에 내가 선생님이 되겠다는 뜻을 세우고 학교 공부를 꾸준히 해왔으며, 교육대학 또는 사범대학을 진학해 교단에 섰다. 교사를 양성하는 대학에서는 교직생활의 전문성을 생각해 교양과목, 교직과목을 이수하게 하며 학년과 학기 중에는 교사가 되기 위한 실무실습도 열심히 한다. 이렇게 해 대학을 졸업하고도 치열한 임용고시에 도전해 교육적 이론 시험, 교육에 임하는 교육자적 자질을 검증받아 교단에 선다. 교단에 서게 돼 학생들을 지도하게 되면 크게 두 가지 사항이 대두되는데 그 한 가지는 학생들의 몸과 마음을 살찌워주는 실력 향상이고, 나머지 한 가지는 생활지도다. 예전과 달리 지금 선생님들은 학생들의 생활지도에 남다른 관심을 갖고 있다. 한 가정에 한 두 자녀들이 과잉보호 속에서 자라고 있기 때
- 최신열 전주북초 교사
- 2010-02-04 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