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2 (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내생각은> 학부모의 교원평가 객관적일까

금년부터 초·중·고 교사에 대한 전면 평가가 실시된다. 그 구체적인 내용이 나오리라 믿지만 평가가 객관적이지 못하고, 실시과정에서 오류가 나오지 않을까 걱정이 되는 것 또한 사실이다.

주지하다시피 교원이 돼 교단에 서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사람들은 어렸을 때부터 꿈을 꾸며 생활한 사람들이다. 즉흥적으로 교사가 되겠다고 해서 교단에 서있는 사람이 드물 것이라는 점이다. 그러기에 미래에 내가 선생님이 되겠다는 뜻을 세우고 학교 공부를 꾸준히 해왔으며, 교육대학 또는 사범대학을 진학해 교단에 섰다.

교사를 양성하는 대학에서는 교직생활의 전문성을 생각해 교양과목, 교직과목을 이수하게 하며 학년과 학기 중에는 교사가 되기 위한 실무실습도 열심히 한다.

이렇게 해 대학을 졸업하고도 치열한 임용고시에 도전해 교육적 이론 시험, 교육에 임하는 교육자적 자질을 검증받아 교단에 선다. 교단에 서게 돼 학생들을 지도하게 되면 크게 두 가지 사항이 대두되는데 그 한 가지는 학생들의 몸과 마음을 살찌워주는 실력 향상이고, 나머지 한 가지는 생활지도다.

예전과 달리 지금 선생님들은 학생들의 생활지도에 남다른 관심을 갖고 있다. 한 가정에 한 두 자녀들이 과잉보호 속에서 자라고 있기 때문에 그를 잘 조정해주는데 매우 수고하고 있음을 본다. 현대의 교육의 수요자에 충족하는 교육, 체벌 없는 학원 교육 풍토에 정착하고자 심혈을 기울이는 모습을 보인다.

지금 이런 막중한 교사들의 업무수행이 평가 대상이 된다는 것이다. 교사를 평가하는 사람은 단위 학교 교장, 교감도 될 수 있고, 또 동료교사, 학부모도 참여할 수 있다고 한다.

교직생활에서 선생님들은 학생들을 가장 사랑하며 하루하루 생활을 성실히 하는 사람이 교육의 본분을 다하는 훌륭한 선생님이라는 생각을 개인적으로 한다. 그러나 학부모가 교사를 평가할 경우 그 평가의 객관성이 과연 어떤 것 일까하는 생각이 든다. 학교생활을 하다보면 학부모들은 자녀들이 전하는 내용을 전부 수용해 여과 없이 고정관념을 갖는 것을 종종 보는데 대부분이 자녀 중심적 이야기들이란 점에서 객관성에 의문이 들지 않을 수 없다.

학부모의 경우 교사들과 직·간접적인 만남은 학생들보다 많지 않기 때문에 자녀들 이야기를 많이 수용하는 것은 이해를 한다. 하지만 그런 일방적인 생각을 갖고 교사를 평가하는 획일적인 사고는 위험하다.

모든 평가는 객관적이어야 한다. 교사와 교사 상호 평가, 학생들이 보는 교사의 평가, 교장·교감이 보는 교사의 평가, 학부모가 보는 교사의 평가 그 모든 것이 합리적이고 타당성이 있어야 한다.

앞으로 교사를 평가하는 구체적인 잣대가 나올 테지만 학생들 교육에 소신을 갖고 임하는 교사가 평가를 의식한 나머지 그 틀에 잣대를 맞추고 생활하려는 생활패턴이 나오지 않을까 걱정이 된다. 또한 교사들 개인의 평가가 잘못돼 학생들을 위해 소신 있게 정진하는 교사가 마음에 상처를 받지 않을까 걱정도 해본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