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주 교수가 전주교대 제7대 총장 후보에 당선됐다. 16일 열린 전주교대 총장 임용후보자 결선 투표에서 총 18표 가운데 10표를 얻어 김우영 교수를 2표 차로 제치고 1순위에 올랐다. 이 총장 후보는 교육부와 청와대의 총장 임명 절차를 거치게 된다. 최종 임명될 경우 내년 2월 23일부터 임기가 시작된다. 한편 이 총장 후보는 1991년부터 전주교대 교수로 재직 중이며 교육정보원장과 교수협의회장 등을 지냈다.
2014-12-18 19:30한국교총과 대한변호사협회가 운영하는 ‘1학교 1고문변호사 제도’에 참여하는 학교가 전국 1366개교로 확대된다. 교총은 16일 새로 선정된 115명을 추가 발표했다. ‘1학교 1고문변호사’는 학교와 변호사를 일대일로 연결해 교권 침해와 학교폭력 등 학교 구성원 간의 분쟁을 원만하게 해결하도록 돕는 제도다. 교총과 대한변협은 2010년 ‘학교폭력 예방 및 교육권 보호를 위한 업무협약’을 맺고 2011년부터 운영하고 있다. 고문변호사들은 위촉 기간 동안 ▲교권 침해 및 학교 분쟁 발생 시 무료 법률 상담 ▲학교 내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 위원 참여 ▲학교 구성원 대상 법률 특강 등을 지원한다. 활동 기간은 위촉일부터 2017년 2월 말까지다.
2014-12-18 19:2833년간 교직생활에 몸담다 ‘첫사랑’ 소재 글쓰기 도전 초판 완판 될 정도로 인기 유도 선수, 교직생활 33년, 첫사랑, 소설, 작가…. 연관성 없지만, ‘그’를 소개하려면 빼놓을 수 없는 단어들이다. 유도 선수로 전국을 주름잡던, 지난 33년 동안 체육 교사로 학생을 가르치던, 퇴임을 앞두고 첫사랑을 소재로 소설을 집필한, 그렇게 출간한 소설 ‘봉인된 그리움’ 초판(初版) 완판을 기록한 그, 임종화 씨다. 그는 “중학교 시절, 가장 힘든 숙제가 글짓기였다”고 말문을 열었다. 평생을 교단에 섰던 그에게 글쓰기는 도전이었다. 학창시절, 해마다 열리는 백일장에서 문장 몇 줄을 써내려가지 못했다. 교직에 몸담으면서 문서를 작성하고 연수 자료를 만들었던 게 전부였다. “교직생활을 하는 동안 쓴 글은 공문서를 만드는 수준이었습니다. 평소 책을 좋아해 틈틈이 도서관에서 책을 빌려 읽기는 했어요. 명예퇴직을 앞두고 도서관에서 소설을 읽게 됐습니다. 문득 ‘퇴직 전에 나도 소설 같은 걸 한번 써볼까?’ 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뭐랄까, 뭐든 열심히 한다면 이룰 수 있다는 걸 보여주고 싶은 마음이었죠.” 마음은 굴뚝같았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았다.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
2014-12-18 19:26‘아프니까 청춘이라 했던가, 아이들은 크느라고 곳곳에서 아프다. 어제 본 아이의 얼굴과 오늘 만난 아이의 얼굴이 다르다.…(중략) ‘나를 닮은 인형들’ 아니, 너를 닮은 인형들. 가끔은 상담 중에 가슴이 쿵 내려앉는다. 내 안에도 너를 닮은 낯선 표정의 인형이 웅크리고 있기 때문이다.’ 채경순(사진) 경기 지평중 전문상담교사가 31일부터 2015년 1월 6일까지 서울 인사동 갤러리 ‘시:작’에서 ‘나를 닮은 인형전(Dolls look like me)’을 개최한다. 지난해부터 학생들을 상담하며 만들기 시작한 인형들을 SNS에 올렸는데 주변에서 좋은 반응을 얻어 전시회도 개최하게 된 것이다. 채 교사는 30여년 국어교사로 근무하다가 2012년 상담교사로 전향했다. 교과 교사에서 상담교사로의 변화는 컸다. 좋은 학교, 높은 점수만 바라보며 목적 지향에 맞춰져있던 교육관을 배려와 이해, 공감을 최우선으로 여기는 상담교사 체질로 바꾸는 것은 하루아침에 되는 것이 아니었다. 불안한 아이, 자존감 없는 아이, 왕따 당하는 아이, 가정형편이 어려운 아이들의 이야기를 종일 듣다 보면 그 슬픔이 채 교사에게도 온전히 전이됐다. “어떤 날은 아무 말도 하기가 싫었어요. 모든 것
2014-12-11 19:05우리나라 초등학생의 방학을 책임지는 ‘EBS 겨울방학생활’이 새롭게 출간됐다. 교육방송 프로그램을 보면서 학기 중에 배운 내용을 심화 학습하고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게 특징이다. TV와 교재만 있으면 교사나 학부모의 도움 없이 학생 스스로 학습할 수 있어서 자기주도학습 습관을 기르는 데에도 안성맞춤이다. 바뀐 교육과정에 맞는 다양한 학습 자료를 담은 점도 눈길을 끈다. 책 속 부록도 더욱 알차졌다. ‘방송 학습 기록장’과 ‘술술 풀어내는 수학’ 코너가 바로 그것. ‘방송 학습 기록장’은 방송을 보면서 중요 학습 내용을 제대로 이해했는지 학생 스스로 확인하도록 퀴즈 형식으로 구성됐다. 새 학기를 앞둔 학생들이 미리 학교생활을 준비할 수 있도록 학습과 생활에 대한 가이드도 곁들였다. ‘술술 풀어내는 수학’은 스토리텔링 수학과 친해지도록 돕는다. 수와 연산, 도형, 측정, 규칙성, 확률·통계 등 5개 영역과 실생활 사례를 접목했다. 수학자 이야기, 수의 발전 등 수학 이야기도 접할 수 있다. 방송 프로그램은 오는 22일부터 8주간(1~4학년) EBS 지상파 채널과 EBS 플러스2에서 볼 수 있다. EBS 홈페이지(primary.ebs.co.kr) 무료 다시보기
2014-12-11 18:10조영미 경북 매원초 교장이 지난달 동시집 ‘식구가 늘었어요’를 펴냈다. ‘식구가 늘었어요’는 어린이들에게 들려주고 싶었던 이야기를 담았다. 교실에서 일어나는 사소한 일부터 학교생활을 하면서 느끼고 생각한 것들을 조곤조곤 들려준다. 조 교장은 동시 발간을 기념해 동시집 100권을 재직 중인 학교에 기증했다. 그는 “학생들이 동시집을 읽으면서 가족을 생각하는 마음, 친구를 생각하는 마음, 자연을 아끼는 마음을 갖게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2014-12-11 18:03허종렬 서울교대 교수가 5일 영훈학원 신임 이사장에 선임됐다. 서울시교육청은 지난해 9월 입시비리가 밝혀진 영훈학원 임원 전원에 대해 취소 처분하고 임시이사 7인을 선임한 바 있다. 이후 임시이사들은 전 이사장의 개인 횡령액 전액 환수, 법인 정관 개정, 비리 관계자 징계 처리 등 학교 정상화 조치를 이행했다. 이번 이사장 교체는 임시이사의 이행 내역을 점검하고 영훈학원 정상화에 매진하기 위해 이사회가 자체 결정했다.
2014-12-11 18:00황수연 학교체육진흥연구회 이사장은 9일 서울 올림픽파크텔 3층 대한체육회 회의실에서 ‘2014 학교체육진흥연구 세미나’를 열었다. 이날 세미나는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이 좋아하는 스포츠를 통해 체력을 키우고 인성을 기를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마련됐다. ▲체육 진로교육의 현황과 발전 방향 ▲초등 여학생 체육 활성화 프로그램 구안 등을 주제로 진행됐다. 양재완 대한체육회 사무총장과 이창섭 국민체육진흥공단 이사장, 일선 학교에 재직 중인 초·중·고 교사 200여 명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2014-12-11 17:57백순근 한국교육개발원장은 지난달 26일 ‘2014 태국 교육지도자 심포지엄’에 초대돼 ‘한국교육의 지속적 혁신방안-한국교육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를 주제로 기조강연을 했다. 태국 교육지도자 심포지엄에는 세계 각국의 교육계 리더들이 대거 참석해 지식정보화 시대의 다양한 교육혁신 방안을 살펴보고 교육 철학과 비전, 노하우 등을 공유했다. 백 원장은 심포지엄에서 한국 경제 성장과 사회 발전의 원동력이 된 한국 교육의 경험, 성과와 함께 혁신을 위한 노력을 소개했다.
2014-12-04 19:31차승민 경남 전안초 교사가 ‘선생님 사용 설명서’를 펴냈다. 학교 현장에서 아이들을 관찰하고 연구한 내용을 바탕으로 교사와 학생이 좋은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한다. 학교에서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에피소드를 통해 학생과 교사가 어떻게 행동하는지를 알려준다. ‘선생님과 친해지는 60가지 행동’ ‘선생님을 사용하는 39가지 방법’ 등 학생들이 바로 실천해볼 수 있는 정보를 담은 게 특징이다.
2014-12-04 1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