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2.12 (목)

  • 맑음동두천 -1.5℃
  • 구름많음강릉 2.6℃
  • 맑음서울 0.9℃
  • 맑음대전 0.7℃
  • 맑음대구 1.1℃
  • 구름조금울산 5.3℃
  • 맑음광주 3.3℃
  • 맑음부산 6.2℃
  • 맑음고창 0.6℃
  • 구름조금제주 8.6℃
  • 맑음강화 0.1℃
  • 맑음보은 -2.9℃
  • 구름많음금산 -2.2℃
  • 맑음강진군 5.1℃
  • 맑음경주시 3.3℃
  • 맑음거제 3.2℃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기고] 특성화고의 미래 재설계 필요해

현재 학령인구 감소로 인한 학생 수 감소가 교육 현장에서 심각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서울에서는 일반고에 불합격한 학생이 26년 만에 ‘0명’을 기록했고, 경북 일부 고교는 외국인 유학생 72명을 선발했다는 소식이 전해진다.

 

취업률에 목매선 안 돼

고교 3학년 학생 수는 이미 30만 명대로 줄어든 지 오래다. 특히 특성화고는 이러한 위기를 가장 직접적으로 마주하고 있다. 많은 학교가 정원을 채우지 못하고 있으며, 설립 취지였던 ‘취업’이라는 목표도 점차 희미해지고 있다.

 

특성화고는 취업을 목표로 하는 학교로 알려졌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많은 학생이 대학 진학을 선택하고 있으며, 특히 중학생들에게 인기 있는 특성화고는 수시모집 특별전형을 통해 대학에 진학하려는 학생들로 채워지고 있다. 이런 상황 속에서 교육부가 마이스터고 설립과 협약형 특성화고 정책을 추진했지만, 대부분 특성화고의 취업률과 학생 선호도는 여전히 답보 상태다.

 

문제는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기업들은 생산직 채용 시 군필자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대부분 특성화고 학생은 졸업 후에도 병역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 양질의 일자리를 얻기 어렵다. 중학생이나 학부모들에게 ‘중소기업에 취업해 병역특례를 받고 이후에 이직하라’고 권유한다고 해서 얼마나 공감을 얻을 수 있을까? 게다가 현재 많은 학생이 병역특례보다는 군 입대를 선호하는 것이 현실이다.

 

이제 특성화고의 교육 목표와 평가 기준을 근본적으로 재정립해야 할 때다. 대한민국은 이미 국민 대부분이 대학을 졸업하는 사회로 변했다. 이런 현실에서 특성화고 학생들이 대학 진학을 선호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실제로 고교에서 전공을 경험한 후 전문대로 진학해 심화된 교육을 받고 진로를 구체화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러한 흐름은 정책적으로 충분히 반영되지 않고 있다.

 

특성화고는 직업교육의 시작 단계로, 학생들이 기초적인 현장 기술을 배우고 흥미를 느끼는 공간이어야 한다. 이후 전문대에서 더 심화된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진학률을 포함한 다양한 지표로 학교를 평가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제는 취업률만으로 특성화고를 평가하는 방식을 탈피해야 한다.

 

생존 아닌 성장으로 전환하자

또 현장 실습생의 비극적인 사고를 접할 때마다 안타까움을 금할 수 없다. 대부분은 전공과 맞지 않는 업무를 강요받거나 과도한 업무로 인해 사고를 당한 경우다. 이러한 문제의 근본 원인은 학교 평가 기준이 취업률에 지나치게 치중돼 있기 때문이다. 직업교육을 위기에서 구하기 위해 학교와 학생 모두를 위한 새로운 정책이 필요하다.

 

특성화고가 본래의 역할을 되찾으려면, 학생들에게 더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하고 이들 스스로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중요하다. 직업교육을 ‘생존’에서 ‘성장’으로 전환하는 것이 특성화고의 미래를 구할 길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