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학자이자 미래학자인 유발 하라리 교수는 저서 『호모 데우스』에서 신이 되려는 인간 세상에는 “변화만이 유일한 미래의 상수(常數)”라고 주장했다. 하루가 다르게 변모하는 요즘 세상은 첨단 과학⋅기술 문명의 요람인 4차 산업혁명 명찰을 달고 입학한 아이가 얼마 지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눈을 비비고서야 알아볼 정도로 괄목상대(刮目相對)하게 성장한 상태라 할 수 있다. 이제 현실과 가상의 상호작용을 이용한 3차원의 디지털 세상과 챗GPT, AI와 로봇기술 등 첨단과학기술은 앞으로 어떤 모습으로 인류를 변화시킬지 상상의 끝을 측량하기 어려울 정도다.
하지만 인간은 역사적으로 볼 때 약간의 성공을 거두면 이내 오만해지는 속성이 있다. 그래서 결국 영원히 성공한 사람도, 영원히 실패한 사람도 없다. 우주의 섭리가 조화로운 것처럼, 인간의 흥망성쇠 역시 공평하다. 한때 예루살렘은 바빌론 제국에 의해 무너진 것이 아니라, 자멸했던 것이다. Covid-19가 가져온 지난 3년 여의 기나긴 역경의 시간은 인류에게 새로운 삶을 다시 시작해 보라는 경고와 같았다. 마치 르네상스가 죽어가는 유럽을 살려냈듯이, 이제 인류에게 필요한 것은 과거의 체계를 대체하여 다시 태어나려는 용기와 지혜임이 분명하다.
그러나 초고속, 전광석화(電光石火)처럼 변화의 시대에도 불구하고 안타깝게도 관성의 법칙을 굳건하게 지키며 변화가 더딘 곳 중의 하나가 바로 학교다. 지금 학교 현장은 교육 불평등, 교육 격차, 학교 밖 청소년 양산, 학교 폭력, 학생-학부모와의 학교 사법화 등 각종 문제에 휩싸여 있다. 이를 회복하거나 정상화할 수 있는 지혜는 교육의 주체인 교사들에게 달렸다.
그런데 교사들 역시 이젠 약자가 되어 학부모의 갑질, 악성 민원, 아동학대 신고, 교권 침해 등으로 잔뜩 움츠려 있다. 교육부와 교육청이 나서 해결사 역할을 하려 하나 실효성이 미진한 정책들로 신뢰를 얻지 못하고 있다. 교권 확보와 보호를 위한 ‘교권 5법’도 오히려 ‘교권 학대법’ 내지 ‘교사 때리기 법’으로 둔갑한 채 소리만 요란하지 실질적인 변화는 체감하기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제 우리 교육은 다양성 추구와 더불어 창의성, 상상력 개발에 전력투구해야 한다. 그러려면 지금까지와는 다른 세상의 변화를 만드는 사람 즉, 체인지 메이커가 필요하다. 개개인에게 체인지 메이커는 궁극적으로 자기 삶의 주인이요, 진정한 민주시민으로 살아가는 길이다. 지방자치의 시대에 학교 자치도 예외가 아니다. 여기엔 교사, 학생, 학부모, 지역사회 간의 연대와 협력의 정신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이것이 현재의 유명무실한 공교육의 신뢰를 회복하는 길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멈춤이나 중단 없는 변화의 파도를 타고 험난한 대양을 건너야 한다. 그러려면 호모 사피엔스의 생존을 보장한 공존, 공생의 힘으로 인류의 역사를 다시금 회복해야 한다. 이는 우리 교육을 더 이상의 수렁에 빠지지 않도록 건져야 한다는 말이기도 하다. 여기엔 외로운 나그네이자 고독한 순례자이며 세상을 이롭게 하는 존재이자, 생명을 자라게 하는 영양분과 거름이며, 세상을 향한 용기로 변화를 만드는 사람으로서의 교사의 역할이 중요하다.
“앞으로 한 사회의 성공은 그 안에 체인지 메이커들이 얼마나 있느냐에 달렸다”고 말한 최초의 사회적 기업가이자 글로벌 비영리 조직인 <아쇼카> 재단의 창업자인 빌 드레이튼의 말은 우리 교육의 현실을 극복할 주체로서의 교사의 역할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필자는 교사의 시대적 아픔과 상처의 치유에 정부와 교육당국의 획기적인 지원, 정책에 대한 제언과 함께 목청껏 함성을 질러본다. “선생님, 당신은 이 시대의 위대한 체인지 메이커가 되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