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19 (수)

  • 맑음동두천 -6.5℃
  • 맑음강릉 -2.4℃
  • 맑음서울 -5.4℃
  • 맑음대전 -4.0℃
  • 맑음대구 -2.1℃
  • 맑음울산 -2.2℃
  • 구름조금광주 0.3℃
  • 맑음부산 -0.7℃
  • 구름조금고창 -1.3℃
  • 구름많음제주 3.9℃
  • 맑음강화 -4.8℃
  • 맑음보은 -4.2℃
  • 맑음금산 -3.7℃
  • 맑음강진군 1.0℃
  • 맑음경주시 -2.0℃
  • 맑음거제 0.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학술·연구

외국인 이공·의약 박사 절반 “한국살이 원해”

직능연, 현황 분석 결과 발표
“타 전공보다 거주 의지 높아…
취업 분야, 처우 등 개선 필요”

 

한국 거주를 원하는 이공·의약계열 외국인 박사의 비율은 타 전공 박사보다 상당히 높은 수준이지만, 대부분 박사후연구원 취업으로 소득이 낮은 편인 데다 장학금 비중도 감소한 상황이어서 추후 경력 경로 개발과 처우 개선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은 13일 'KRIVET Issue Brief 298호 (이공·의약계열 전공 외국인 국내 박사 양성 및 노동시장 이행 분석)'를 발표했다.

 

이번 분석은 2017년~2023년 국내 대학에서 자연계열, 공학계열, 의약계열 등에서 박사학위를 신규 취득하고 조사에 응답한 박사 4만2408명(내국인 3만7338명, 외국인 507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노동시장 이행은 학업전념 박사 2만6339명(내국인 2만1734명, 외국인 4605명)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공·의약계열 외국인 박사의 학비에서 장학금이 차지하는 비율은 2017년 83.1%에서 2023년 71.2%로 감소하고, 같은 기간 자부담(본인 부담 혹은 가족 지원) 비율은 13.2%에서 2023년 24.4%로 늘었다.

 

이공·의약계열 학업 전념 외국인 박사의 연구프로젝트 참여 경험은 최근 7년 평균 76.0%(2.72개)로 동일 계열 학업전 념 내국인 박사 93.9%(5.72건)보다 낮았다.

 

이공·의약계열 학업 전념 외국인 박사의 취업률은 48.9%로 내국인 박사 58.3%에 비해 낮았다. 반면 외국인 박사 중 73.1%는 박사후연구원으로 내국인 박사 비율(43.7%)에 비해 상당히 높다.

 

국내에 취업한 이공·의약계열 학업전념 외국인 박사 중 연 근로소득이 5000만 원 이상은 7.8%로 내국인 박사 42.7%에 비해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공·의약계열 전공 외국인 박사의 한국 거주 계획 비율은 45.7%로 타 전공 박사 14.8%에 비해 매우 높았다.

 

본 연구를 수행한 장광남 직능연 부연구위원은 “학업전념 박사의 비율이 높은 외국인 박사과정생의 학비 자부담 비율 상승은 학업과 동시에 학비 마련에도 신경써야 하는 환경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공·의약계열 외국인 박사의 대부분이 박사후연구원으로 취업해 상대적으로 임금이 낮다”며 “외국인 고급 인재의 국내 정착을 위해서 외국인 박사후연구원의 처우 개선과 경력경로 개발 방안 검토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