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는 하나의 지역 또는 사회의 일원에 속한다. 지역 또는 사회를 떠난 학교란 존재할 수 없다. 학교가 지역, 사회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학생이 국가에 대한 애국심을 키울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애국심을 가지려면 우리가 사는 국가의 역사, 특성, 문화 그리고 미래상을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국민 바다 헌장’ 선포 배경
국민이 애국심을 가졌을 때 그 사회가 발전하고 미래를 가꾸어 나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 국민이 애국심을 발휘했을 때 국가의 꿈과 내일, 미래가 있다.
애국심을 키우기 위해서는 해양 교육도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해양 교육을 통해 바다를 미래의 희망과 도전의 대상으로 삼는다면 애국심을 기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어려서부터 해양 국가 및 지역의 특성과 역사 등을 찾고 고찰해 해양 국가에 맞는 해양 문화를 꽃피워야 한다.
이를 실천하기 위해 우리나라는 1996년 5월 31일을 바다의 날로 지정했다. 신라 해상왕 장보고 대사가 전라남도 완도에 청해진을 설치한 해가 828년 5월이었다. 그래서 5월의 마지막 날인 31일을 바다의 날로 정하게 된 것이다. 정부에서는 제1회 바다의 날을 기념해 ‘국민 바다 헌장’을 선포함으로써 우리나라를 세계적인 해양 국가로 발돋움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들었다.
‘국민 바다 헌장’을 선포한 배경은 해양과 해양 환경, 연안 및 해양자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전 세계적으로 관심을 유도해 세계 인류 또는 각국 정부에 해양 여건을 인식시키기 위함이다. 가장 위대한 유산을 유지하기 위해 책임 있는 행동을 하도록 한 것이다.
일찍이 육당 최남선 시인은 ‘누가 한국을 구원할 것인가? 한국을 바다의 나라로 일으키는 자가 될 것이다’라고 말씀하셨다. 바다로 향할 우리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 준 말이다. ‘국민 바다 헌장’을 선포한 나라답게 이제는 해양화에 대한 적극적인 도전이 필요한 때다.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열려 있으며 많은 섬과 긴 해안선이 존재하는 천혜의 자연조건을 보유하고 있다. 과거 우리 조상들은 바다를 외면하면서 살아왔다. 이제는 사고를 전환해 해양화로 향하는 다양한 접근 방식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해양 교육 의무화 고려해야
학교에서 어릴 적부터 해양 교육을 실시한다면 우선 우리나라의 해양 역사와 문화를 알려줘 애국심을 고취시킬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해양의 중요성과 가치를 배워 해양 보호와 보전에 대한 인식을 높일 수 있다. 셋째, 미래 세대인 청소년들에게 해양에 대한 꿈과 희망을 심어줄 수 있다.
이를 위해 정부는 학교에서의 해양 교육을 의무화해 우리나라가 해양 강국으로 발전하고 찬란한 해양 문화를 꽃피우도록 지원해야 한다. 정부와 학교의 노력을 통해 ‘해양 교육, 해양 강국 그리고 해양 문화’라는 새로운 시대의 항로가 열리는 때가 오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