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는 지난해 12월 안병영 교육부총리 주재로 열린 실국장회의를 통해, 특수교육보건과에서 학교급식과 보건업무를 분리해 올 3월 학교건강정책과를 신설키로 결정했다.(본지 24일자 보도). 신설되는 학교건강정책과에는 학교정책과에서 맡고 있는 학교체육 업무도 포함된다.
교육부 관계자는 “체육과 보건, 급식 분야를 포괄할 수 있는 명칭으로 학교건강정책과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십수년간 관련 부서 신설을 요구해 오던 체육과 보건, 급식 분야의 단체들이 반발하고 나서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한국체육학회와 대한체육회, 국민생활체육협의회, 한국중등체육연구회 등 체육관계자 100여 명은 27일 오후 정부종합청사 후문에서 학교체육 전담부서 설치를 요구하는 시위를 벌였다.
이들은 “교육부가 학교건강정책과라는 명칭을 추진하는 것은 학교체육 정상화라는 막중한 시대적 요구를 퇴색시키는 근시안적 정책 결정”이라며 ‘체육’이란 명칭이 명시적으로 들어간 학교체육정책과를 설치하라고 주장했다.
교육부에 따르면, 대한영양사회 관계자들도 지난해 차관 면담을 통해 ‘학교급식’이 명시된 전담부서 신설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은 초중고교 학교급식 대상자가 704만 여명에 이르고 연 소요경비도 3조원을 넘지만 교육부 전담 직원이 2명에 불과하다며 과 신설을 주장하고 있다.
학교보건학회 등 보건관계자들도 마찬가지다. 한 관계자는 “일선 학교서 보건교육을 도외시하고 있다”며 “보건교과 및 보건교육과 신설을 오래전부터 요구해 왔다”고 말했다.
교육부에서 보건업무는 98년까지 학교보건환경과에서 다뤄왔으나 99년 학교시설환경과, 2001년부터는 특수교육보건과에서 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