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이진숙(사진)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지명을 20일 철회했다. 한국교총은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 부실 인사 검증을 인정하고, 교육계의 요구를 수용한 당연한 결정”이라고 밝혔다.
이 후보자 지명 초기부터 불거진 제자 논문 표절 의혹, 자녀의 불법 유학 등은 단순한 사생활 문제라기보다 교육자의 자격을 묻는 본질적인 사안으로 보고 이같이 판단했다는 것이 교총의 설명이다. 교총은 기초적인 검증조차 거르지 못한 정부의 인사시스템 전반에 대한 근본적인 개선도 요구하고 나섰다.
이 후보자는 도덕성과 책무성의 문제는 물론 국회 청문회에서 교육 전반에 대한 이해 부족을 드러냈다. 초·중등 수업일수는 물론 ‘나이스 시스템’의 개념조차 모르는 상태였다.
이에 대해 교총은 차기 교육부 장관 후보자 자격으로 교육자로서의 도덕성은 물론 유·초·중등 교육의 이해와 전문성 등을 갖추고 교권 회복을 우선시하는 인물을 꼽았다.
이는 교육계의 반응도 마찬가지다. 교육계 전체를 아우르며 작은 부분까지 촘촘하게 챙길 수 있는 인사가 등용돼야 한다는 의견이 힘을 얻고 있다. 하지만 현재 거론되는 차기 후보들 역시 대학교수들이 다수여서 이진숙 후보의 전철을 밟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한 사범대 교수는 “교육계 전반을 잘 알아야 하는 자리인 만큼 교수들만 고집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며 “현재 거론되는 후보들도 도덕적 흠결, 유·초·중등 분야에 대한 이해 부족이 우려되는 인물들이 눈에 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