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는 한국전력공사와 26일 직업계고 인재의 역량 강화와 취업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전국 직업계고 교원과 학생 200명 정도가 참여하는 2025년 한전 채용설명회도 개최했다.
이번 업무협약에 따라 한전은 ‘정규직 고졸 제한채용’과 ‘체험형 고졸 인턴’의 채용 규모 확대를 위해 적극 노력하고, 직업계고 졸업(예정)자 취업 활성화를 위한 ‘한전 맞춤형 직무교육과정’을 운영한다. 입사 후에는 대학의 계약학과(서울과학기술대에 ‘에너지 신기술 융합학과’ 개설·운영)를 통해 직업계고 취업자의 학위 취득 및 경력개발을 지원한다.
교육부는 한전의 직업계고 인재 채용을 뒷받침하기 위해 각종 자료 제공과 채용 홍보를 지원하고, ‘한전 맞춤형 직무교육과정’을 직업계고 현장실습 프로그램으로 공인하게 된다. 또한 운영에 따른 교육비용 등을 교육부·시도교육청 사업과 연계해 한전이 참여하고 있는 계약학과의 원격 수업 비중 확대 등 학사 운영을 지원하기로 했다.
한전은 작년 9월 ‘고졸 인재 종합지원 대책’을 통해 올해부터 3년간 고졸 일자리 200개 창출 계획을 밝힌 바 있었으나, 이후 교육부와 협의를 통해 그 규모를 300개로 확대했다. 그중 정규직 고졸 제한채용이 170명이고 체험형 고졸 인턴이 130명이다. 맞춤형 직무교육과정 (에너지인재 취업지원교육)을 운영한 뒤 우수 수료자(상위 50%)를 대상으로 정규직 채용 필기전형에서 가점(총점의 3∼5%)을 부여하게 된다.
한전은 이번 채용설명회에서 ‘기업 소개, 채용 인재상 및 근무조건, 에너지 분야 직무 현황, 2025년도 직업계고 인재 채용 계획 및 전형 절차’ 등 채용정보와 채용 후 지원·육성 프로그램 등에 대해 안내할 예정이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이번 업무협약을 계기로 교육부는 한전과 같은 공기업의 고졸 인재 채용 수요에 부응할 수 있도록 맞춤형 교육과정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고, 현장실습 프로그램 지원을 통해 직업계고 학생이 내실 있게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김동철 한전 대표이사는 “고졸 채용 확대를 위한 한전의 노력은 조기 취업을 통해 경제적 자립을 앞당겨 부모 세대의 교육비 부담을 줄이고, 더 나아가 사회 조기 진출에 따른 안정적인 경제 기반으로 결혼 및 출산율 증가에도 기여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한전은 학력 중심 사회에서 선취업 후진학으로의 인식 전환을 위해 마중물 역할을 수행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