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4월호에서는 앞서 소개된 기조발언과 자유토의에 이어, ‘정리발언’을 효과적으로 구성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합니다. 이는 2월호와 3월호에서 다룬 ‘2024년 대구 중등 교육전문직 문제(학령인구 감소와 지방교육재정교부금 변화 속 공교육 역할 강화 방안)’와 관련된 실제 대화 사례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정리발언의 개요
1. 진행 방식
정리발언은 자유토의에서 도출된 생각을 정리하여 발표하는 단계로, 논술로 비유하면 결론에 해당하는 부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논의된 내용을 정리하고, 핵심적인 메시지를 강조하여 논의를 마무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2. 발언 규칙
정리발언은 다음과 같은 원칙을 기반으로 진행됩니다. 이러한 규칙을 준수하여 정리발언을 수행하면 논의가 체계적으로 마무리되며, 참가자들의 협력적 태도와 논리적 사고력을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습니다.
① 발언시간은 1분 이내로 간결하게 정리하여 발표합니다.
② 기조발언과 반대 순서로 진행됩니다. 기조발언이 1번부터 6번 순서로 진행되었다면, 정리발언은 6번부터 1번 순서로 진행됩니다.
③ 다른 사람의 의견을 인용하여 발표하면 공동체역량을 강조할 수 있어서 더욱 효과적입니다.
④ 남은 시간을 고려하여 6명의 참가자가 고르게 발표할 수 있도록 서로 시간 조율하며 발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리발언 예시
사회자 또는 주도적 진행자: “시간이 6분 남았으니 정리발언을 해야 하겠습니다. 기조발언은 1번부터 했으니, 정리발언은 6번부터 역순으로 하면 어떨까요?”
[모두]: “네, 동의합니다.”
•사회자는 남은 시간을 고려하여 발언순서를 조정하며, 논의의 균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역순 발언 방식은 모든 참가자에게 균등한 기회를 보장하며, 논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마무리할 수 있습니다.
•참가자들이 이에 동의함으로써 집단토의의 협력적 분위기가 지속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