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후소샤 역사 교과서의 검정 발표를 며칠 앞두고 돌출된 일본 문부과학상의 ‘독도를 일본 땅으로 표기해야 한다’는 발언에 대해 한국 교총이 강력 반발하고 나섰다.
교총은 31일 오후 ‘일본의 독도 망언과 역사 왜곡을 강력 규탄 한다’는 제목의 성명서를 통해, 일본 문부과학상은 해당 발언을 즉각 취소·사과하고 역사 교과서 왜곡을 중단하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5일 검정 통과가 확실시되는 일본 후소샤 역사 교과서는 ▲고조선의 기원을 부인하는 등 한국사를 부정하고 ▲한일 합방을 일부 한국민이 수용하고 ▲창씨개명을 인정했다는 등의 역사 날조를 서슴지 않는 만큼, 우리 정부는 이에 강력히 대처하라고 촉구했다.
교총은 이 같은 주장을 관철하기 위해 ▲주한 일본 대사관을 방문해 문부과학상에 대한 항의 서한 전달 ▲일본 및 세계 교원단체와 연대해 역사교과서 왜곡 저지 ▲일본의 UN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 진출 반대 운동 전개 등을 펼쳐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성명서에서 교총은 “3월 17일 일본 시마네현의 ‘다케시마의 날 조례’ 제정에 이은 나카야마 문부과학상의 발언은, 우리 민족의 자주권과 영토주권을 근본적으로 부정하는 도발행위”라고 해석했다.
이어서 “일본 교과서 검정의 최고 책임자인 문부과학상의 발언은, 독도에 대한 영토주장과 역사교과서 왜곡을 정부 차원에서 강행하겠다는 의도를 드러낸 것으로, 지방자치단체와 비정부단체의 역사 왜곡과는 문제의 심각성에서 차원이 다르다”고 밝혔다.
교총은 “과거 불행했던 일제 역사를 청산하고 2002년 월드컵 공동 개최와 2005년 한일 우정의 해 선포 등 미래 지향적인 한일 관계를 다지는 시점에서의 일본의 역사 왜곡은 양국간의 신로와 우의를 한순간에 무너뜨리는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에 따라 교총은 “일본이 동반자적 미래 관계 구축을 위해 과거의 잘못된 역사를 솔직히 인정하고, 반성하는 모습을 보여줄 것”을 촉구했다.
한편 교육부총리 자문기구인 국사교육발전위원회는 29일 “역사교육을 강화하기 위해 중학교 사회과목에서 역사를 분리 독립시키고, 고교의 한국근현대사를 필수과목화 하며 각종 공무원 시험에 국사를 포함”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국사교육 발전방안’을 김진표 부총리에 보고하고, 중앙인사위등 관련 기구와 협의에 들어갔다.
같은 날 나카야마 나리아키 일본 문부과학상은 ‘학습지도요령’에 독도와 센카쿠열도를 일본 영토로 명기해야 한다고 발언했다.
일본의 학습지도요령은 교과서 기술 기준으로, 초ㆍ중ㆍ고교 등 각급 학교 단위로 10년마다 개정된다. ’중학교 학습지도요령’의 경우 2002년 4월 개정 시 일본 우익진영의 ’자학사관’ 비판이 반영돼 ’역사에 대한 애정’, ’국민으로서 자각’ 등 국가주의를 강화하는 내용의 문구가 추가됐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