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최근 교원평가를 포함한 학교교육력 제고 방안 마련을 위해 가칭 학교교육력제고를위한특별위원회(이하 위원회)를 구성하자고 교총 등에 제안한 데 대해, 교총과 전교조 등으로 구성된 학교교육 정상화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공대위)는 “교원평가 9월 시범실시 여부가 위원회서 논의된다면 참여할 수 있지만 9월 시범실시를 기정화한다면 참여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25일로 계획된 ‘졸속 교원평가 저지 및 학교교육 정상화를 위한 교원 총궐기 대회’를 준비하고 있는 교총과 전교조는 각각 3일 시도교총회장단 회의와 7일 전교조 중앙집행위원회의를 통해 이 같이 결정했다고 관계자들은 밝혔다.
위원회 구성과 관련 교육부는 3일 교육발전협의회 산하 특별위원회 형태를 제안했다가 9일 교원 3단체와의 협의에서는 부총리 산하 별도 기구로 하자고 수정했다. 경제계와 언론계 등이 포함된 교육발전협의회의 인적 구성이 위원회 성격에 맞지 않다고 판단한 것.
이에 따라 교육부는 부총리와 교원 3단체장, 인간교육실현학부모연대, 참교육학부모회, 좋은교사운동본부 대표, 교장, 평교사 등 10명으로 위원회를 구성하자고 했다.
교육부는 위원회를 통해 ▲교원평가 방안을 포함해 학습지도능력 증진 프로그램 개발 ▲학교와 지역사회 시설 활용을 통한 교육력 제고 사업 ▲학부모의 교육활동 참여 확대 등 학교교육력을 제고할 수 있는 제반 방안에 대해 논의할 것이라고 3일 밝혔다.
한편 교총은 3일 시도교총회장단 회의를 열고 교육부가 교원평가 철회나 9월 시범 실시 연기 등 획기적인 변화를 보이지 않은 한 25일 대회는 강행하기로 결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