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용산구 한남동 단국대 서울캠퍼스 이전 계획이 시행ㆍ시공사 간의 잇단 고소ㆍ고발과 복잡한 채무관계로 10여년간 표류하면서 학교 발전이 수년째 지연되고 있다는 학내 불만이 고조되고 있다.
21일 단국대에 따르면 구제 금융 당시 도산한 시행ㆍ시공사의 채무를 매입했던 예금보험공사가 수익권 증서를 공매해야 경기 용인에 새 캠퍼스를 지을 자금이 조성되지만 예보가 언제 공매에 나설지는 불투명한 상황이다.
단국대 관계자는 "예보로부터 언제 공매가 시작될 지 전해들은 바 없다"며 "10여년 간 학교 부지 재개발을 둘러싸고 사업자끼리 검찰에 진정서를 제출하는 등 각종 투서가 난무해 예보가 선뜻 공매에 나서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새 캠퍼스 이전 사업이 지지부진해지자 캠퍼스에는 "부지 이전을 이유로 학교가 최근 수년간 시설투자를 방기해 왔다"며 학생들이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총학생회장 배성수씨는 "13년전 이전 계획이 발표된 이래 새 캠퍼스로 옮겨 갈 수 없는 시설물에 대한 시설 투자가 끊기다시피 했다"고 주장했다.
배씨는 "고정식인 강의실 의자가 낡아 손으로 부술 수 있을 정도인데도 교체나 수리가 제대로 되지 않아 자리가 있어도 서서 수업을 듣는 학생이 있다"고 지적했다.
공대 학생회장 김효민씨는 "공대 각 과에서 부족한 기자재를 보충해달라고 신청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말했고 익명을 요구한 한 화학공학과 학생은 "기자재 부실로 기대한 만큼의 실험 결과가 나오지 않을 때가 있다"고 말했다.
단국대 관계자는 "현재 캠퍼스 건물을 신ㆍ개축하기는 재정적으로 곤란해 학교 근처 오피스텔에 방을 얻어 교수 20여명의 연구실로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그러나 "투자비가 많이 드는 건물 신ㆍ개축에는 손을 댈 수 없지만 시설 보수에는 적절한 투자를 해왔다"며 "2003년에 모 일간지가 실시한 강의실 정보화 추진도에서 1위를 차지하는 등 다른 학교에 비해 열악한 교육환경이 아니다"고 반박했다.
용인으로 단국대 서울캠퍼스를 옮기고 현 한남동 학교 부지에 고급 주택을 건설하려는 사업은 1994년부터 추진됐으나 외환 위기 당시 시행사와 시공사인 건설회사들이 부도를 낸 뒤 생긴 복잡한 채권ㆍ채무 관계로 난항을 겪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