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4.11.16 (토)

  • 맑음동두천 10.9℃
  • 구름많음강릉 16.0℃
  • 맑음서울 14.0℃
  • 맑음대전 13.2℃
  • 맑음대구 13.6℃
  • 구름많음울산 17.4℃
  • 맑음광주 14.1℃
  • 맑음부산 19.2℃
  • 맑음고창 11.3℃
  • 맑음제주 19.9℃
  • 맑음강화 12.4℃
  • 맑음보은 11.3℃
  • 구름조금금산 7.5℃
  • 맑음강진군 15.9℃
  • 구름조금경주시 14.7℃
  • 맑음거제 17.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정책

(3) 인터넷 속으로 사라진 '괘도의 추억'

학교의 모든 것을 바꿔라

PC 1대당 초등생 수 96년 25.8명→2005년 7.2명
28만 여건의 콘텐츠 양산, 도서관은 제2의 교실로
시행착오 속에 질 관리·제도 정비 등 과제도 남겨


우리나라 교육에 정보화가 도입된 것은 ‘괘도’와 ‘칠판’으로 추억되는 1971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971년 덕수상고에 우리나라 최초의 교육용 컴퓨터가 설치되고, 1974년 문교부에서 우리나라 최초로 컴퓨터 교육과정을 도입하면서 교육정보화의 싹이 트기 시작한다. 특히 1981년 등장한 최초의 300bps 상용화 모뎀과 1983년에 양산되기 시작한 4Mhz CPU의 SPC-1000 컴퓨터는 본격적인 교육정보화 시대가 임박했음을 예고했다.
본격적인 교육정보화의 출발을 알린 것은 에듀넷(www.edunet.net)이라고 할 수 있다. 1996년 9월 개통한 에듀넷은 우리나라 최초의 교육정보 포탈서비스로서 교사와 학생들에게 교수-학습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개통 당시 모뎀접속용 통신망을 통해 주로 활용되었던 에듀넷은 현장 교사들이 수업에 ICT를 활용하는 데 상당한 역할을 하게 된다.
에듀넷 개통에 따라 물적 인프라 구축이 시급한 과제로 대두됐고 정부는 결국 1997년 ‘교육정보화 종합추진계획’을 발표한다. 약 3조원 정도가 투입된 이 계획에 따라 학교 현장에는 멀티미디어교육실이 구축됐고, 인터넷도 연결됐다. 1991년 PC 1대당 초등학생수가 54.8명으로 교실 하나에 한 대꼴의 PC 보급률을 보였지만, 2005년에는 PC 1대당 초등학생수가 7.2명일 정도로 기본적인 물적 인프라가 완비됐다. 물적 인프라 측면에서만 본다면 세계 최고 수준에 올라선 셈이다. 또한 1988년 10% 미만이던 교원정보화 연수가 2002년 40%대로 높아지면서 교원들의 정보화 능력도 상당한 수준에 이르게 됐다.
인프라 구축이 어느 정도 수준에 이르게 되면서 이를 활용한 교육용 콘텐츠의 개발 및 보급이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  
  교육용 콘텐츠는 2000년 이전 8비트 컴퓨터에서 486 컴퓨터까지 사용된 컴퓨터보조학습(CAI) 프로그램이 그 효시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개별학습을 지원하기 위해 주로 개발된 CAI 프로그램은 교실수업에 적극적으로 활용되지는 못했다. 또한 당시 PC가 가정까지 일반화되지 못하였기 때문에 기대했던 것만큼 활성화되지 못하였다. 이후 교실마다 컴퓨터와 대형 모니터로 구성된 교단선진화 장비가 보급되면서 본격적으로 새로운 개념의 교수용 콘텐츠가 개발되기 시작했다. 2000년도부터 2004년도까지 1만 749종(공공기관 4678종, 민간 6071종)의 교육용 콘텐츠가 개발됐다.
또 2002년 5월에는 ‘전국 교육정보공유체제’가 개통됐다. 이에 따라 각 시․도 교육청과 학교 현장에서 개발된 각종 콘텐츠들이 전국적으로 공유됨에 따라 교사들은 손쉽게 맞춤형 수업자료를 확보할 수 있게 됐다. 2005년 8월 현재 공유체제를 통해 검색되는 자료는 총 27만 6000여건에 이른다.
이후 정부는 학교 현장에서의 교육정보화 활성화에 초점을 맞추게 된다. 학교 현장에서의 ICT활용교육 활성화를 위한 계획이 잇따라 발표되고, 학교홈페이지 구축, 교수용 소프트웨어개발, ICT 교수학습과정안 개발 등이 각 시․도교육청, 연구시범학교, 학교현장에서 이뤄졌다. 특히 교육부는 제7차 교육과정이 발표하면서 국민공통기본교과 10개 교과의 수업시간 중에 약 10%를 ICT 활용교육으로 추진하도록 권고했다.
교육정보화로 인한 변화는 교실에만 국한되지 않았다. 어릴적 집에서 가져온 손 때묻은 동화책 위에 소복이 내려앉은 먼지로 기억되는 학교도서관도 ‘제2의 교실’로 불릴만큼 달라졌다. 학생들의 창의성 신장과 심화학습을 위해 학교도서관의 중요성은 갈수록 커졌지만, 우리나라 학교도서관은 기본여건이 열악하여 대출․열람 등 기본적인 기능도 어려운 상황이었다. 하지만 2000년 3월 정부의 ‘도서관정보화 추진종합계획’이 시행되면서 도서관은 달라지기 시작했다. 디지털자료실과 시․도 교육청 디지털자료실지원센터(DLS)가 구축되면서 학교도서관은 단순한 도서 및 수업자료 제공 공간에서 정보교육 활동, 교과 연계학습활동을 사이버 공간에서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또 하나의 교실로 변모했다.
한동안 사회적 이슈였던 교육행정정보서비스(NEIS) 역시 교육정보화의 산물. 인터넷 기반의 교육행정업무 처리시스템인 NEIS는 교사들의 실질적인 업무 부담을 줄여 교수-학습 지도에 보다 많은 시간을 할애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됐다. NEIS는 학생개인정보침해 문제로 사회적 이슈가 되기도 했지만, 올해부터 모든 학교에 적용돼 시행되고 있다.
물론 10년간의 정책 추진과정에서 문제점이 많이 노출되기도 했다. 연차적이 하드웨어 보급으로 학교간의 불균형이 생기기도 했고 노후 컴퓨터에 대한 처리 문제도 발생했다. 또 상대적으로 유지․보수에 대한 대책이 상당부분 학교현장에 넘겨져 교사들의 불만을 사기도 했고 또 개발된 콘텐츠의 질 관리 문제 등도 주요한 이슈로 부각되기도 했다. 정보화 기기의 발전 속도와 수업의 변화를 신속하게 뒷받침할 법․제도의 정비, 전인교육에 대한 대책 등은 여전한 과제로 남아있다.
하지만 교육정보화가 우리 교육을 풍성하게 했다는 점은 인정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프로젝트 학습과 협동 학습이 용이해지면서 학생들의 자발적인 수업 참여가 활발해졌고 인터넷 커뮤니티가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 간의 의사소통을 더욱 높이는 계기가 된 것은 분명한 사실이기 때문이다.
교육정보화는 수십년간 이어온 교실 풍경을 바꿔버렸다. 당번 두 명이 낑낑대며 괘도를 옮기던 풍경은 사라진지 오래고, PC가 고장날까봐 감히 켜지도 못하는 교사들의 모습도 사라진지 오래다. 무엇보다 전통적인 면대면 학습에 의존하던 수업에서 다양한 교육용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이 진행되면서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흥미 또한 높아졌다.
국가적인 사업이었던 물적 인프라 구축은 ‘e-러닝’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에 바통을 넘겨주게 된다. 2004년 사교육비 경감대책과 ‘e-종합발전방안’ 등의 발표와 함께 e-러닝은 사회적 관심사로 떠오르게 됐고 에듀넷․중앙교수학습센터, EBS수능강의 서비스, 사이버가정학습체제 등 정부 차원의 대규모 e-러닝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이제 교육정보화는 e-러닝의 등장으로 새로운 국면은 맞고 있는 양상이다.

<도움말>
교육부 지식정보정책과 김정연 사무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정책기획실 손병길 실장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