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울산과 제주를 제외한 전국 14개 시ㆍ도에서 실시될 제5대 교육위원 선거에서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ㆍ위원장 장혜옥)의 후보들이 얼마나 당선될지가 최대 관전포인트가 되고 있다.
임기 4년의 교육위원은 교육정책이나 예산배분 등에 합법적으로 그리고 직접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기 때문에 교육위원을 배출하고 안하고는 교육단체의 향후 활동 정도 및 위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제4대(2002년) 교육위원 선거에서는 전교조는 전국적으로 35명을 추천, 24명을 당선시켰다. 서울시 교육위원의 경우에는 전교조 출신이 전체 정원 15명 중 절반 가량인 7명이나 당선되고 의장직까지 차지하는 등 초강세를 보였다.
제3대와 제2대 서울시 교육위원선거에서는 각각 3명과 2명이 당선됐던 점을 감안하면 제4대 선거에서 한마디로 큰 도약을 한 셈이다. 제1대 때는 전교조에서 당선자를 한명도 내지 못했다.
하지만 전교조 부산지부 통일위원회가 지난해 10월 북한의 역사책을 발췌해 제작한 통일학교 행사 교재를 놓고 색깔논쟁이 야기되면서 이번 교육위원 선거에서만큼은 전교조 후보들이 제4대 선거 당시와는 달리 고전하고 있다는 얘기들이 들리고 있다.
특히 사립학교법 개정에 반발하고 있는 사학재단들이 종전과 달리 독자 후보를 낸 후 유권자인 학교운영위원들을 중심으로 표를 결집시키고 있고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ㆍ회장 윤종건) 서울지부(14명 입후보)도 가능한 한 많은 단일후보를 냈다는 점이 이런 견해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전교조는 제5대 서울 교육위원 전체 7개 선거구에 모두 단일 후보(7명)를 내는 등 전국적으로는 53개 선거구(132명 선출)에서 43명의 단일 후보를 공천했다.
15명을 뽑는 서울 교육위원 선거의 경우 모두 3명의 당선자를 내는 강남ㆍ서초ㆍ송파ㆍ강동 선거구인 제7선거구를 제외하면 나머지 6개 선거구에서는 2명씩이 당선된다.
따라서 선거구별로 2명 이상씩을 뽑는 중선거구제의 교육위원 선거에서는 여러명의 후보가 난립할 경우 전체 유권자 중 20∼30%의 고정표를 확보하고 있는 전교조 출신이 상대적으로 유리할 것이라는 게 교육계의 일반적 관측이다.
또한 예년 교육위원 선거를 볼 때 전교조를 지지하고 있는 유권자들의 투표율이 다른 유권자들보다 높게 나오고 있기 때문에 전체 투표율도 전교조 후보들의 당락에 영향을 주고 있다.
즉 전체 투표율이 낮고 후보가 난립할수록 전교조 후보들이 유리하다는 얘기다. 본격적인 여름 휴가가 시작되는 31일 전교조 지지자들이 밀면 적어도 2위 당선이 가능하다는 분석이 가능하다.
그러나 31일 치러지는 교육위원 선거에선 이런 예측이 빗나갈지도 모르겠다. 서울의 경우 전교조 출신 후보들이 4명 가량 당선될 것이라는 전망마저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사학재단에서 낸 후보들이 사립학교 운영위원 유권자들을 중심으로 예상외로 선전하고 있고 사립학교들이 투표를 독려하고 있는 점, 색깔논쟁 등이 전교조 후보들을 고전케 만들고 있다는 것이다.
전교조 관계자는 "서울지역의 경우 현재 4명이 당선 안정권에 들어가 있고 3명은 치열한 각축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일부 보수세력이 전교조를 마치 친북단체인 것처럼 호도하면서 교육위원선거에 나쁜 영향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교육위원은 시ㆍ도 교육청의 교육정책 수립, 예산 편성 및 집행 등을 감시ㆍ견제하며 연간 5천만원 내외의 의정비를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