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개 시·도교육청 중 청렴도 최하위라는 결과가 발표된 뒤 서울시교육청은 이번 발표에 큰 의미를 부여하지 않으려 하면서도 실망감을 감추지 못하는 모습이다.
시교육청은 “현재 파악된 것은 언론에 보도된 전체 점수와 순위가 전부”라면서 “청렴위로부터 세부항목에 대한 결과를 넘겨받아야 개선책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는 입장이다. 교육청 직원들은 “청렴위 조사 자체가 교육청들에 불리하지 않느냐”고 불만을 표시하기도 했다. 민원인에 대한 설문조사로 청렴도가 좌우되기 때문에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은 일반 국민들의 불만이 시·도교육청에 쏟아졌다는 지적도 어느 정도 일리는 있다. 시·도교육청의 평균 성적이 다른 공공기관에 비해 낮게 매겨진 것도 이와 맥락을 같이 한다.
그러나 16개 시·도교육청 가운데서도 유독 서울이 3년째 최하위를 맴돌고 있는 것은 교육청 운영에 구조적인 문제가 있지 않느냐는 지적이다. 시교육청은 교육비리를 근절하겠다며 지난해 ‘맑은 서울교육’ 캠페인을 대대적으로 전개해왔지만 결과적으로 빈 수레만 요란한 꼴이 되고 말았다.
작년 한 해 급식과 편·입학 관련 비리는 연이어 불거졌고 수천만원을 착복한 전산사무관이 구속되기도 했다. 시교육청은 곧바로 해당 사무관을 직위해제하고 “개인비리”라며 애써 의미를 축소하려 했지만 교육청 전체에 치명타가 아닐 수 없었다. “촌지를 제공한 학부모의 자녀는 각종 포상 대상에서 제외시키겠다”는 시교육청의 촌지 근절책은 비교육적인 처사라는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시교육청 감사담당 관계자는 “청렴도 제고를 위해 업무개선사항을 철저히 파악하라는 교육감님의 지시가 있었다”면서 “현재 각 과로부터 개선사항을 수합하고 있다”고 밝혔다. 올해는 서울이 ‘탈꼴찌’에 성공할 수 있을지 지켜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