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만해지지 않도록 협동학습, 규칙 등 충분히 사전 지도
스토리북, 게임, 노래 등 종합 활용, 수준별 학습 유도해 문자 언어의 비중이 커지는 초등 고학년으로 갈수록 영어 학습의 어려움을 겪고, 영어에 흥미와 자신감을 잃고 심지어 읽기 및 쓰기 학습에서의 학습 부진아가 발생되기도 한다. 또, 학생들 사이의 수준 차이가 크게 나타나기도 한다. 이런 영어 교육 현장에서의 실제적인 문제를 해결하고자 다양한 영어동화책을 접목하여 국가수준의 초등영어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재구성한 교수-학습 활동을 구안 및 적용함으로써 초등 고학년 학생들의 영어 문식성(literacy; 읽기와 쓰기 능력) 향상을 돕고, 나아가 학생들의 영어 의사소통능력을 다각적으로 향상시키고자 한다.
■ 기르고자 하는 학습능력첫째, 영어동화책을 활용한 교수-학습 활동을 통해 아동들이 언어 형식(language structure)에 자연스럽게 노출돼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목표 언어를 쉽고 재미있게 익히고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다양한 음소 인식(phonemic awareness) 활동과 파닉스(Phonics) 활동을 통해 EFL(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상황에서 영어를 배우는 학생들에게 좀 더 정확한 발음을 할 수 있도록 돕고, 나아가 스스로 영어로 된 간단한 단어나 문장 읽기 활동을 할 수 있는 기초를 다지게 한다. 셋째, 움직임을 좋아하는 아동들의 특성을 활용하고, 아동들이 흥미 속에서 즐겁게 영어를 배울 수 있도록 다양한 게임 활동을 적절히 활용해 목표 언어를 익히게 한다. 넷째, 아동들의 학습 수준 차이를 고려한 심화․보충형 수준별 학습을 통해 아동들의 영어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도모한다.
■ 학습형태의 조직가. 수준별 학습의 모둠 구성=해당 학습 시간 중 기본 학습 활동 이후에는 기본 학습 내용과 관련해 교사의 도움이 필요한 아동을 보충 학습 활동 구성원으로 배치하고, 나머지 아동들은 새로운 모둠으로 구성하여 활동시킨다.
나. 활동 코너 구성 및 자리 배치<보충학습 활동 코너>①: The Moon 1 & 2 (보충학습 활동 코너 : 기본 표현 익히기, Reading Words, whispering & fly Swatter Game)=심화 보충 학습 그룹은 매 시간마다 자발적으로 구성되나 학습 효율성을 고려해 6~7명 정도로 인원의 제한을 둔다. 교사의 도움을 받기를 원하는 학생들의 자발적 희망에 의해 매 차시별로 구성되나 경우에 따라 이전 학습 활동의 결과 및 해당 차시 기본학습 활동이 미흡하다고 생각되는 학생들을 교사의 임의에 의해 함께 활동하도록 유도하기도 한다. 교사의 도움을 받아 보충학습 활동을 하는 공간으로서 안정된 학습 분위기 조성을 위해 매트를 깔고 자리에 앉거나 한 모둠을 활용하거나 작은 칠판을 활용하여 활동한다. 먼저, 그림카드를 활용해 기본 학습 활동과 관련된 표현을 배우고 귓속말로 들은 이야기 빨리 전달하기 활동을 한다. 이 때, 학습자들이 게임을 좋아하는 특성을 적극 활용, white board와 그림 카드 및 플라스틱 놀이 기구 등을 이용해 활동한다.
<심화학습 활동 코너>학생들 중 기본학습 활동에 대해 자신이 있어 그와 관련된 여러 가지 학습 활동을 스스로 할 수 있다고 판단한 학생들은 매 차시별 새롭게 그룹을 구성해 학습 활동을 하게 된다. 교사가 주로 보충학습 활동 코너에서 학생들을 지도하게 되므로 심화학습 활동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새롭게 구성되는 학생들 사이에 자율성이 크게 보장돼 자유롭기는 하나 자칫 소란스러운 분위기로 학습 분위기가 산만해질 수도 있으므로 협동학습과 규칙 지키기 등의 사전 학습 지도가 충분히 이루어져야 한다.
② : The Sun 1 ( 심화학습 1코너 : Card Matching Game )
③ : The Sun 2 ( 심화학습 2코너 : Dart Game )
④ : The Sun 3 ( 심화학습 3코너 : Uncle Tom Game )
⑤ : The Sun 4 ( 심화학습 4코너 : Spinner Game )
⑥ : The Sun 5 ( 심화학습 5코너 : Rhyming Words Omok Game )
⑦ : The Sun 6 ( 심화학습 6코너 : Making Words Game )<기타 특징>모둠별 자리 선택학습으로 교사 중심에서 학생 중심의 교수-학습 활동을 추구한다. 교실영어의 활용과 교단선진화 멀티미디어 자료(PC, Power Point, CD-Rom Title, 등의 각종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적극적 활용, 아동들이 좋아하는 스토리북과 게임 자료를 종합적으로 활용한 교수-학습 활동을 전개한다.
■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한 단원별 영어동화책 및 파닉스 지도 내용 추출
제7차 교육과정의 5학년 각 단원 별 내용과 관련, 가르칠 수 있는 영어동화책 선정과 파닉스(Phonics) 내용 선정을 위해서는 국가수준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어휘 내용 파악 및 어휘 수준 분석 활동이 전제되어야 한다. 3, 4학년 과정에서 익힌 어휘에 5학년 과정에서 익히게 될 어휘를 더해 그에 알맞은 아동들의 발달 단계와 어휘 습득의 적절한 수준을 고려, 영어동화책과 파닉스의 지도 요소를 추출할 수 있다.<표 1 참조> 영어동화책 및 파닉스 활용 수업 모형 구안 및 적용은 <표2>와 같다.
■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수 학습 활동 전개 방법이 활동은 본인이 2000년, 의정부시에서 3학년 아동들을 지도할 때 고안해 현재까지 꾸준히 사용하고 있는 방법으로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학습 활동을 할 수 있는 시간과 여건을 조성, 학습 부진아를 방지하고 수월성 교육이 가능하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단위 학습 시간의 기본 학습 활동을 마친 후 또는 한 단원의 학습 활동을 마친 후 기본 학습 활동의 내용이 어렵거나 교사의 도움이 필요한 아동은 해당 아동의 의사에 따라 혹은 교사의 임의적 판단에 따라 보충 학습 활동 구성원을 선정해 활동하되 이 그룹의 명칭은 The Moon Group(달 그룹)으로 칭한다.
아동들의 희망에 의해 구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나 경우에 따라 이전 학습 활동의 결과, 전 차시 평가 결과 및 해당 차시 기본학습 활동이 미흡하다고 생각되는 학생들을 교사의 임의에 의해 함께 활동하도록 유도하기도 한다. 교사의 집중적 도움을 받아 이루어지는 보충학습 활동을 하는 공간으로서는 주로 교실 앞부분의 넓은 공간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 때 안정된 학습 분위기 조성을 위해 매트를 깔고 자리에 앉거나 한 모둠을 활용하거나 작은 칠판을 활용해 활동하기도 하며, 매 차시 그룹의 구성원이 달라진다. 또한 학습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6~7명 정도로 인원의 제한을 둔다.
학생들 중 기본학습 활동에 대해 자신이 있어 그와 관련된 여러 가지 학습 활동을 스스로 할 수 있다고 판단한 학생들이 매 차시별 새롭게 그룹을 구성해 학습 활동을 하게 된다. 교사는 이들에게 미리 기본 학습 활동 당시의 모둠 책상 위에 제시되어 있던 번호표 상자 안에서 심화 학습 활동 그룹인 The Sun Group(해 그룹)의 번호를 하나씩 뽑게 해 자기가 뽑은 심화 학습 활동 그룹에서 학습하게 한다. 교사가 주로 보충학습 활동 코너에서 학생들을 지도하게 되므로 심화학습 활동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새롭게 구성되는 학생들 사이에 자율성이 크게 보장되어 자유롭기는 하나 자칫 소란스러운 분위기로 학습 분위기가 산만해질 수도 있으므로 협동학습과 규칙 지키기 등의 사전 학습 지도가 충분히 이루어져야 한다.
교사의 학습 활동 신호에 따라 기본 학습 활동 그룹에서 심화, 보충 학습 그룹으로 제각각 새로운 모둠으로 그룹이 형성되므로 학생들의 흥미를 더욱 높일 수 있고, 이와 같은 학습이 지속적으로 꾸준히 이루어지게 되면 교사 중심의 교수 학습 활동에서 학생 중심의 활동 패턴에 따라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이 생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본 학습 활동에서 학습 부진이 생긴 학생들을 단위 시간을 활용, 교사가 주도적으로 집중 지도해 학습 부진아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는 점도 장점이다.
심화 학습 활동의 내용은 기본 학습 활동을 심화 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학습자 상호 간에 협력하여 활동이 충분히 가능한 활동으로 준비하며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게 된다. 심화 학습 그룹에 속하게 된 학생들은 기본 학습 내용을 충분히 이해하였기에 그보다 한 단계, I+1 수준의 학습 활동을 다양하게 접할 수 있게 한다는 의미에서 수월성 교육을 가능하게 한다는 의의를 찾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