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고 폐지론에 대한 논란이 갈수록 확산하면서 주무부처인 교육과학기술부가 해법 찾기에 골몰하고 있다.
외고 폐지를 직접 언급하는 것 자체가 매우 민감하고 파급력이 클 수 있는 까닭에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는 있지만 내부적으로는 교육계를 비롯한 여론의 추이에 촉각을 곤두세우며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정치권에서 제기된 '외고 폐지론'의 핵심은 외고를 자율형 사립고로 전환하자는 것이고, 이에 대한 교과부의 공식 입장은 "결정된 바 없다"는 것이다.
안병만 장관도 이달 초 열린 교과부 국감에서 '자율고 전환을 통한 외고 폐지'에 대한 입장을 묻는 의원들에게 "검토해 보겠다"고만 답변했다.
이와 관련, 교과부는 외고 입시안 개선을 비롯해 자율고 전환 여부 등을 주제로 한 연구용역을 외부에 의뢰하기로 했으며, 결과가 나오는대로 교과부의 입장을 정리해 발표할 계획이다.
이처럼 교과부는 자율고 전환 여부에 대해선 매우 신중한 태도를 견지하고 있지만 논의 자체는 바람직하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교과부의 정책 목표가 '상향 평준화'에 맞춰져 있는 만큼 외고를 둘러싼 이러한 논의들이 결국 뒤처진 학교들을 끌어올려 외고와 함께 경쟁하는 체제를 만드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또 외고 문제가 이슈화하면서 최근 전국 외고들이 자체적으로 사교육을 유발하지 않는 방향으로 입시 개선안을 모색하는 등 바람직한 움직임도 뒤따르고 있다는 점에도 긍정적이다. 아직 결정된 것은 없지만 정치권 주장대로 외고가 자율고로 바뀐다고 하더라도 외고라는 학교 자체가 없어지는 건 아니라는 게 교과부의 설명이다.
이주호 1차관은 19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자율고로 전환한다는 시나리오에서도 외고라는 이름은 그대로 유지된다. 학교는 그대로 존속하되 다만 학교의 형태가 바뀌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차관은 "다만 자율고로 전환되면 교육과정이 훨씬 자율화되고 입시가 지금의 선발고사가 아닌 선지원 후추첨이 되는데, 이게 핵심"이라고도 강조했다.
교과부는 일단 여러 가능성을 열어 두고 교육계의 의견을 수렴하면서 대책을 찾되 이번 논란으로 학생, 학부모들이 큰 혼란을 겪지 않도록 늦어도 올 연말까지는 입장을 내놓을 계획이다.
이 차관은 "해법을 찾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외고 관계자들과도 소통할 것이다. 연구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연말에 교과부의 입장을 발표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