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학사정관제에 대한 고교와 대학의 정보연계가 부족해 일선 학교에서 혼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에서는 ‘성적은 나빠도 특별하면 된다’ 거나 ‘결국은 성적으로 뽑는다’ ‘화려한 스펙(비교과활동)이 필요하다’는 등의 겉핥기식 정보만이 나돌아 제도 자체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서다.
정광희 한국교육개발원 대입제도연구실장은 11일 ‘입학사정관제 제대로 가고 있나’를 주제로 열린 국회 토론회에서 “고교정상화와 대입자율화라는 두 가지 목적을 둔 정책 자체의 이중적 구조로 인해 고교와 대학 간의 이해차이가 혼란과 충돌을 준다”고 밝혔다.
고교에서는 교육활동과 성과 기록에 대한 교사의 평가, 학교의 역할이 우선되기를 기대하는 반면, 대학에서는 고교의 성적수준과 교사개인에 따라 평가가 달라 일정수준의 성적, 대학의 평가에 더 비중을 두고 해석하려는 입장 차이가 존재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정 연구실장이 소개한 고교·대학 관계자의 면담에서도 대학관계자들은 고교 교육과정이 같다보니 학생들의 제출자료가 차별화되지 않고 신뢰하기 어렵거나 평가에 사용할 만한 내용을 포함하지 않은 추천서가 많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교사나 학부모들은 대학이 전형요소나 비율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않아 사교육을 더 유발하고 여전히 성적으로 선발하는 것 같다는 의견이 나왔다.
조효완 서울진학지도협의회장(숙명여고 교사)은 “특기와 잠재력 위주로 선발하겠다고 하나 교과성적만으로 1단계에서 선발해 얼굴 가린 학업우수자 전형의 형태를 띠기도 한다”며 “17개 대학의 입학사정관제 선발 인재상을 비교해봐도 차이가 없고 대학에서 비교과 영역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공개하지 않아 일선학교에서는 대비가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러다보니 수험생들이 사교육을 찾거나 아예 입학사정관 전형을 외면하는 등의 부작용만 커질 수 있다는 우려다.
조 회장은 “대학에 대한 재정지원뿐만 아니라 고교에도 입학사정관 전형에 대해 기획하고 준비할 수 있는 보조교사를 지원하거나 대학의 교수와 상담센터를 활용해 고교 교육을 실질적으로 지원하는 협력 프로그램의 구축이 필요하다”고 요구했다.
이에 따라 수험생에게 혼란을 주지 않기 위한 제도의 신뢰성 확보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이기봉 교과부 교육선진화정책관은 “올해 3월부터 학교의 봉사활동, 진로체험활동 등을 누적 관리할 수 있는 창의적 체험활동 종합지원시스템을 개발해 일선 고교에서 활용토록 하고 대교협과 공동으로 입학사정관제 운영 공통기준을 수립해 입학사정관제를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양정호 대교협 입학전형지원실장은 “무늬만 입학사정관제인 대학을 구분하고 입학사정관이 사교육으로 빠져들지 않도록 이들에 대한 추적조사 등의 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라며 “3월에 입학사정관으로 선발된 학생에 대한 우수사례를 발표해 수험생들이 혼란을 느끼지 않도록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