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6 (수)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

취업후 상환 학자금 대출 예상보다 저조

총 대출의 28%…고금리·복리 등 단점 지적
`학자금 대출 100만명 시대' 예측 빗나가

 1학기 대학생 학자금 대출이 전년 대비 15% 증가했지만 교육과학기술부가 올해 처음 도입한 취업후 상환 학자금(든든학자금) 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28%에 그쳤다.

5일 교과부에 따르면 올해 1학기 학자금 총대출은 39만5천387건, 1조4천756억원으로 전년 동기(34만4천430건, 1조3천205억원)에 비해 건수로 15%, 액수는 12% 늘어났다.

든든학자금 대출이 10만9천426건(28%), 일반 대출이 28만5천961건(72%)이었고, 든든학자금만 보면 신입생이 6만6천92건으로 60%, 재학생이 4만3천334건으로 40%를 차지했다.

교과부는 재학생 대출자 27만5천명 중 든든학자금 대출 자격조건을 충족하는 6만6천213명의 65%가 이 대출 방식을 선택했다고 강조했다.

든든학자금을 받으려면 기초생활수급자나 소득 1~7분위, 성적 평균 B학점 이상, 35세 미만 등의 요건을 갖춰야 한다.

재학생 대출자 중 일반 대출을 받은 이유는 성적 미달(22.7%), 소득 8~10분위(12.2%), 소득분위 없음(27.5%), 연령 초과(1.3%), 대학원 재학(12.2%) 등으로 조사됐다.

교과부는 취업후 학자금 상환제를 도입할 당시 예상했던 큰 폭의 학자금 대출 증가 현상은 나타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교과부는 앞서 새 제도가 시행되면 학자금을 대출받는 학생 비율이 전체 대학생(197만명)의 20.3%(40만명) 수준에서 50%(100만명) 이상으로 늘어날 것으로 봤으나 예상치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 셈이다.

교과부는 한국장학재단을 통해 대학생 300명을 상대로 설문조사한 결과, 학자금을 대출받지 않은 이유로 부모 지원(71%), 대학 장학금(8%), 교외 장학금(8%), 본인 마련(3%) 등이 꼽혔다고 전했다.

든든장학금 제도의 장점으로는 학업을 포기하지 않아도 된다(35%)거나 부모 부담을 덜어준다(31%), 학업을 중단하지 않고 지속할 수 있다(24%) 등을 들었다.

반면 문제점으로 높은 금리(56%), 저소득층 이자 무지원(13%), 거치기간 후 이자 복리 계산(12%), 성적 제한(6%), 복잡한 신청절차(6%) 등을 지적해 `평생 갚아야 할 빚이 너무 많아진다'는 교육계 일각의 주장대로 상당수 학생이 이 제도 이용을 꺼렸던 것으로 파악됐다.

교육계 일각에선 "이자율 5.7%를 대폭 낮추고 이자 계산 때 복리 적용도 폐지해야 하며 B학점 이상의 대출 자격조건도 없애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교과부와 장학재단은 제도 홍보를 강화하고 소득분위 파악에 열흘 가량 걸리는 기간을 국민건강보험공단과 협의해 최대한 단축하기로 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