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년 만에 돌아온다는 흑룡의 해, 국운이 풍전등화의 위기에 놓였던 임진왜란이 일어난 지 420년, 그 후로 여섯 번째 흑룡의 해를 맞았다. 저마다 흑룡의 기운을 받아 새로운 희망을 꿈꾸며 출발한 임진년도 벌써 달력에서 두 장이 떨어져 나갔다. 역사(임진왜란)를 통하여 알 수 있듯이 흑룡의 해는 그만큼 기회이기도 하고 위기가 몰려오는 전환기로도 볼 수 있다. 다른 분야는 모르겠지만 교육계만큼은 흑룡의 기운은커녕 한치 앞도 내다볼 수 없을 만큼 절체절명의 위기상황으로 빨려 들어가고 있다.
학교폭력을 방관했다는 이유로 모 중학교 교사가 형사입건 된 이후, 학교와 교사를 고소하는 사건이 연이어 발생하고 있다. 연초부터 학교폭력으로 언론이 들끓더니 급기에 모든 책임을 교사에게 뒤집어씌우는 형국으로 치닫고 있다. 하기야 교사가 사회적 존경은커녕 개혁의 대상으로 몰린 지 오래니 그럴 만도 하다. 정년 감축, 교원평가제 도입, 성과급 차등 지원, 학생인권조레 제정에 이어 급기야 사법적 책임까지 묻겠다니 교직은 더 이상 매력적인 자리가 아니다. 이런 현상은 사대나 교대를 지원하는 학생들이 해마다 급감하는 현상만 봐도 알 수 있다.
학교를 떠나는 교사들, 기간제 교사로 채운다
담임이라는 자리가 고되지만 어려운 처지의 제자들에게 꿈을 심어주고, 온전한 인격체로 성장하도록 도와준다는 점에서 교사의 꽃이자 보람임에 틀림없다. 그런데 교사들이 이토록 자랑스러운 자리를 기피한다. 중·고등학교만 해도 일과의 대부분을 25평 남짓한 교실에서 40여명의 각기 다른 개성을 가진 학생들이 생활하는데 어떻게 사소한 문제라도 발생하지 않겠는가? 설령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담임교사가 방치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어떻게 해서든 교육적으로 지도하겠지만 이제부터는 가해자와 피해자 간의 오해가 생기면 담임교사가 법적 책임을 질 수도 있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2011학년도에 명예퇴직을 신청한 초․중․고교 교사가 5,117명으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고 한다. 아직 근무할 수 있는 기간이 남아 있음에도 학교를 떠나는 교사들의 고뇌는 상상을 초월한다. 아마 물 한 모금 없는 사막으로 떠나는 심정일 게다. 반평생을 헌신한 교단을 떠난다는 결정을 했을 때는 아마도 속이 새까맣게 타들어갔을 것이 뻔하다. 손자뻘 같은 아이들에게 험한 꼴 당하기 전에 차라리 마지막 자존심이라도 지키겠다는 그 안타까운 결단이 참담할 따름이다.
울며 겨자 먹기 식의 명퇴 도미노로 생기는 자리는 기간제 교사가 채우고 있다. 기간제 교사라고 해서 정규직 교사에 비해 수준이 떨어진다는 얘기는 아니지만 그래도 학생과 학부모들이 무시하는 경향이 있어 오히려 학생 지도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학교폭력이 상대적으로 심한 초등학교 고학년이나 중학교 1, 2학년의 경우에는 기간제 교사들이 담임을 맡는 사례도 있다고 한다. 일정 기간만 채우면 되는 기간제 교사의 입장에서는 과연 학생지도에 얼마나 열의를 갖고 임할 수 있을지 걱정스러울 따름이다. 게다가 일부 학생들 가운데는 기간제 교사를 만만히 보고 함부로 행동하는 경우도 있어 생활지도에도 문제가 될 수 있다.
학교의 중심은 교사, 권력으로 흔들지 마라
교육계에 닥친 오늘의 난맥상에 대해 가슴에 손을 얹고 생각해 보자. 필자는 교단에 서있는 교사로서가 아니라 자녀를 둔 학부모로서도 수차례 이 물음을 던져봤다. 학교가 제 역할을 못하게 된 이유는 사실상 점수 몇 점에 따라 인생이 결정되는 경쟁체제에 근본 원인이 있지 않은가? 친구를 적으로 만드는 점수 따기 경쟁과 이것을 바탕으로 명문대학에 진학하고자 하는 사회적 욕구가 학교를 이 지경으로 만든 원인임은 알 만한 사람은 다 알고 있다.
학교는 지식만 가르치는 곳이 아니다. 인간 됨됨이부터 시작해서 사회생활의 예비 과정인 공동체 의식과 봉사성, 책임성, 진취성, 창의성 등 다양한 가치를 배우고 익히는 공간이다. 그런데 아이들을 새벽부터 밤늦게까지 치열한 점수경쟁으로 몰아넣고 호랑이 담배피던 시절의 인내심을 요구하는 것이 21세기 대한민국 교육의 현실이다. 교육당국에 바란다. 제발 교육문제에 접근할 때는 현상에 집착하지 말고 본질부터 파악하기 바란다. 이제라도 아이들을 비인간적인 점수경쟁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내신 평가 방법을 바꾸고 수능을 자격고사화한 후, 학생 선발권은 대학에 넘겨야 한다.
학교가 망가지는 것은 일순간이다. 교육의 중심인 교권이 무너지고 결코 명예롭지 않은 명퇴가 도미노처럼 번지고 있는 상황에서 그 피해는 결국 학생, 학부모 더 나아가 국가 전체로 미칠 것이다. 교육정책을 지휘하는 장관과 시도 교육을 관장하는 교육감들에게 분명히 말한다. 교사가 좌절하는 사회는 미래가 없다. 교육은 오랜 경륜 속에서 참다운 가르침이 나오게 마련이다. 권불십년(權不十年)이라고 했다. 제발 십년도 못가는 권력을 갖고 교육을 흔드는 일은 더 이상 없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