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급별․ 수석교사 등에 맞는 세부항목 제시돼야 결과는 연수대상자 선정에만?…활용방식 전환 필요
교원들은 교원평가 결과에 따른 연수 참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나 아직 그에 상응하는 연수 지원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행 3년 차에 접어든 교원능력개발평가가 진정한 교원의 능력개발을 위한 평가가 되기 위해서는 연수 지원을 늘려 실질적으로 학교교육의 질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다.
김이경 중앙대 교수는 한국교육개발원이 11일 서울교대에서 개최한 ‘교원평가제도의 진단과 제언을 위한 전문가 토론회’ 주제발표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김 교수는 “7월2일부터 4일간 실시한 17개 연구학교 대상 설문조사(설문응답 교원 386명)결과 ‘교원평가 실시 후 교육활동 개선과 전문성신장을 위한 연수지원을 늘리고 있느냐’는 질문에 교원의 32.2%만 긍정적 반응을 보였다”고 밝혔다. 모든 학교 급에서 연수지원은 ‘보통 이하’로 응답하는 등 연수지원이 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는 설명이다.
그는 “OECD 교수-학습 국제조사연구(TALIS)에서도 우리나라 교원들이 조사대상국과 비교할 때 연수시간이나 비용지원 면에서 저조하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와 일맥상통한다”며 “교원능력개발이 평가만 한다고 저절로 달성되는 것이 아닌 만큼 향후 교원전문성신장을 위해 평가 결과에 따른 연수지원을 확대해 나가야 한다”고 제언했다.
토론자로 나선 김희규 신라대 교수는 “실효성 있는 단위학교 교원평가체제 구축을 위해 교육청 단위의 행․재정적 지원과 동시에 맞춤형 연수 방안, 교원평가 컨설팅을 적극 운영할 필요가 있다”며 “교육행정기관의 교원평가 지원체제도 책무의 일환으로 정착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수석교사에 대한 교원평가 세부 항목이 제시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정수현 서울교대 교수도 “교원평가는 전문학습공동체로서 학교를 구현해 나가는 과정이 돼야 한다”며 “평가 결과활용 방식을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평가결과를 학습연구년 특별연수 대상자 선정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자기연구계획서의 적절성을 반영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교원평가에서 지적된 자신의 약점을 얼마나 잘 보완하도록 연구 및 연수계획을 세웠는지가 연수대상자 선정에서 우선시돼야 한다”며 “장기능력향상 연수도 일괄적으로 기간․방식을 지정하는 데서 벗어나 대상 교사의 약점이 가지는 특성에 따라 다양한 개인 맞춤형으로 전문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했다.
김이경 교수는 “교원평가에 대한 소모적 논쟁은 이제 그만 할 때”라며 “대통령령(교원 등의 연수에 관한 규정)이 아닌 초중등교육법으로 법제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교원평가가 교원의 전문성을 확보하고 공교육 신뢰회복의 기제로 정착될 때까지는 최소한의 국가적 공통기준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한편 한국교육개발원은 이날 토론회 제언 내용을 바탕으로 2012년 평가 실시 후 시·도 권역별 협의회 등을 통해 현장 의견을 수렴, 2013년 평가 개선방향을 제시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