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정부 국정과제로 내년부터 학교 내 돌봄 기능강화가 추진되면서 초등 돌봄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학교의 역할이 ‘학생 교육’ 뿐 아니라 ‘돌봄’ 영역까지 넓어지면서 학부모들은 ‘기대’가, 교원들은 ‘부담’이 크기 때문이다. 본지와 한국교육개발원이 공동 기획한 ‘연구학교를 가다’ 두 번째는 초등 방과후 돌봄 모델학교로 선정된 광주 경양초(교장 최수길)를 찾았다. 돌봄교실을 성공적으로 운영해온 경양초 교원, 학부모, 백순근 한국교육개발원장 등 전문가들과 간담회를 통해 초등 돌봄 확대를 위한 과제를 짚어봤다.
학부모 환영, 기대 vs 교원 부담, 걱정
1·4·6시간 등 분화 프로그램 운영해야 내년부터 초등 저학년을 대상으로 하던 오후 5시까지 방과후 돌봄이 희망하는 모든 학생으로 확대되고, 밤 10시까지 추가 돌봄이 필요한 맞벌이·저소득층·한부모 가정 자녀에게는 무상돌봄이 제공된다. 무상돌봄은 내년 1~2학년, 2015년 3~4학년, 2016년 5~6학년 등 연차적으로 적용될 계획이다.
무엇보다 돌봄 기능 강화로 학교의 부담이 커지는 만큼 간담회(
사진)에서는 학부모들과 교원들 간의 온도차가 드러났다. 교원들은 유휴교실 부족, 지역사회 연계 인프라 마련, 교원 인센티브, 저녁 돌봄 인력 추가 배치, 안전관리 강화, 학생 생활지도 등의 문제를 지적한 반면 학부모들은 돌봄 확대를 환영하면서도 학부모 여건에 맞춘 자율적인 운영을 늘렸으면 하는 바람을 나타낸 것.
최수길 경양초 교장은 “돌봄교실을 운영해보니 1년 내내 할 일이 너무 많아 교사들에게 미안한 마음”이라며 “지속적인 정책이 되려면 학교가 모두 떠안기보다 학교는 장소를 제공하고 지역사회가 컨소시엄을 구성해 공동 돌봄 벨트로 묶어 관리하는 등 모두가 함께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안영숙 교감은 “유휴교실이 부족한데도 방과후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돌봄교실을 만들다 보니 교사들이 연구할 장소가 없다”며 “모델학교를 운영하는 2학기부터는 겸용교실까지 필요해 걱정이고, 저녁 돌봄 아이들의 생활지도도 고민”이라고 털어놓았다.
오인수 부장교사는 인센티브 마련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했다. 오 교사는 “방과후와 돌봄교실을 동시에 운영하니 효율적이지만 혼자 하기에는 업무가 과중하다”면서 “초등 돌봄이 확대된다면 관리교사 가산점, 수업시수 및 업무경감 등 확실한 인센티브가 필요하다”고 했다.
박세영 돌봄강사는 “케어와 공부를 함께 하며 6시간을 돌보기에는 돌봄강사 1명당 학생 20명은 너무 많아 12~16명 정도로 줄여야 한다”고 말했다. 또 학생 수를 무조건 20명으로 한정할 것이 아니라 돌봄교실에 1~2시간 머무는 베이스캠프형, 4시간형, 6시간형 등으로 구분·운영하면 신청 학생 수를 늘리면서도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하다고 제안했다.
학부모 김안순 씨는 “자영업으로 12시에 일이 끝나는 만큼 10시 학교 무상돌봄이 너무 반갑다”면서도 “야간 돌봄 학생 학부모 동행귀가 원칙 때문에 일하다가 뛰어 나오는 등 곤란을 겪는 경우가 많은데 융통성 있게 운영됐으면 좋겠다”고 했다. 이미란 씨는 “학부모들은 누구나 학교에 아이를 맡기고 싶다”면서 “돌봄교실에서는 프로그램 운영보다 가정의 품 같이 돌봄을 우선했으면 좋겠다”는 의견을 밝혔다. 또 “대학생 멘토링은 지속성이 없어 아이들이 오히려 산만해 질 것 같아 재고해봤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학부모들이 학교를 신뢰하는 만큼 안심하고 자녀를 맡길 수 있는 정책이라고 입을 모으면서도 학교 부담을 줄이기 위한 방안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양애경 한국교육개발원 방과후학교연구팀 연구위원은 “정규수업과 달라 돌봄은 더 부담이 되는 것은 사실”이라며 “교사들이 중심이 된 태스크포스팀(TF)를 구성, 범부처·지자체, 대학 등 교육기관 연계, 학부모 재능기부 및 자원봉사, 대학생 및 엄마 멘토링 등 현장 적합성이 높은 방안들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양 연구위원은 “돌봄 강화를 계기로 지역사회 연계를 탄탄히 해 온 마을이 함께 키우는 패러다임으로 전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가와 학교로부터 ‘자녀 돌봄’이라는 큰 도움을 받는 만큼 학부모들도 아이를 맡기는 것에 그치지 말고 함께 나서야 한다는 따끔한 지적도 이어졌다. 백순근 한국교육개발원장은 “맞벌이 하면서 내 아이 1명 키우는 데도 온 가족을 동원하는 등 어려움을 겪지 않냐”면서 “학교가 맡는 만큼 서로 배려하고 함께 고민해줘야 내실화가 된다”고 말했다. 그는 “안정적 정착을 위해 저녁 돌봄 학부모들이 순번을 정해 학생들의 안전한 귀가를 책임지는 등 학교를 도울 방법을 찾아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정적인 예산지원 문제도 거론됐다. 장영신 광주시교육청 장학관은 “교육부 사업들이 대체로 2~3년만 예산지원이 되고, 그 이후는 교육청 부담이 된다”며 “돌봄교실의 경우 인력 확대가 필수적인데 교육청이 이 문제를 계속 안고 가야 하는 만큼 예산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