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4.09.17 (화)

  • 흐림동두천 27.7℃
  • 구름조금강릉 27.1℃
  • 구름많음서울 29.6℃
  • 구름많음대전 32.0℃
  • 구름조금대구 33.1℃
  • 구름조금울산 29.7℃
  • 구름많음광주 28.8℃
  • 구름조금부산 30.3℃
  • 구름조금고창 29.5℃
  • 구름조금제주 29.5℃
  • 흐림강화 25.2℃
  • 구름조금보은 31.5℃
  • 구름많음금산 32.3℃
  • 구름많음강진군 28.9℃
  • 구름조금경주시 31.8℃
  • 구름조금거제 29.8℃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학술·연구

⑦ 사탐 - 교육과정 개정 반영해야

地形圖 읽기는 출제 안 돼

2014학년도 수능에서 A형, B형이 도입되면서 큰 폭으로 변한 국어, 수학, 영어에 비해 상대적으로 사회탐구 영역은 변화가 적다. 과목 선택이 3개에서 2개로 감소했으며, 교육과정이 변경되면서 단원 중 일부가 추가되거나 삭제됐다. 하지만 이런 작은 변화도 놓치지 않아야 올해 수능에서 성공할 수 있다.

2013학년도에는 3과목 응시가 가능했지만 대부분의 수험생들은 2과목만 반영되기 때문에 해당 과목만 집중적으로 공부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2014학년도에는 2개를 응시해 2개를 반영하게 됐다. 최대 2과목만 응시가 가능하므로 버리는 과목이 없다.

즉, 탐구 2과목을 반영하는 주요 대학에 지원할 경우 응시한 과목 모두 성적 산출에 활용되기 때문에 탐구 응시 과목을 선택하고 준비할 때 더욱 신중해야 한다. 그리고 버리는 과목이 없어짐에 따라 작년에 비해 좋은 등급을 받기가 더 어려워져 학생들의 사회탐구 영역 공부량도 예년에 비해 더 많아져야 한다.

또 2014학년도 수능은 교육과정이 바뀌고 처음 치르는 시험이다. 따라서 기존 기출문제 분석을 통해 학생들에게 단원별 출제 경향과 대표 문항 유형을 가르쳤던 학습지도안에도 변화가 있어야 한다. 2014예비수능과 6월 모의평가를 통해 살펴본 한국지리 출제 경향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능에 매년 출제되었던 지형도 읽기 문제가 더 이상 출제되지 않는다. 지형도의 축척, 등고선, 기호 등을 통해 이를 해석하고 계산하는 문제는 개정된 교육과정에서 삭제됐다. 단, 지형도는 모든 지형 공부의 기본이 됨으로, 기본적으로 지형도를 읽을 수 있는 수준에서 지도해야 한다. 지형도를 통해 ‘어떤 지형을 나타낸 것인지’ 정도를 알 수 있는 수준에서 출제되고 있다.

둘째, 개정된 교육과정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새롭게 추가된 주제인 ‘1단원 전통적인 국토관’ 주제에서 한 문제씩 계속 출제되고 있으며, 한∙중∙일 동북아 협력에 관해 6월 모의평가에 출제된 만큼 이에 대한 학습도 필요하다.

전체 8단원 중 2단원이 지역의 이해 단원으로 변경된 만큼 지역 지리 내용이 강화됐다. 지역의 개념과 구분 그리고 각 권역별 특징들에 대한 학습이 필요하다. 단, 개별적인 내용의 일괄적인 암기보다는 지역성을 통해 지역을 찾아내는 연습을 해야 하며, 특히 지형과 관련하여 생태(지형)관광으로 대표되는 지역에 대한 정리가 필요하다.

셋째, 인문지리 내용이 등급 결정의 중요한 변수다. 교육과정 상 자연지리에 비해 인문지리 단원의 비중이 높아졌고, 출제 역시 인문지리 단원에서 많이 되고 있다. 또, 6월 모의평가의 19번과 같은 고난이도 문제도 인문지리적 개념을 바탕으로 접근해야 한다.

이렇게 지역의 인문지리적 특성을 묻는 문제는 어느 한 개념이 아닌 여러 단원의 개념들을 토대로 출제되기 때문에 제조업과 서비스업, 생산자와 소비자 서비스업 등의 지역별 산업구조와 공업구조 그리고 인구밀도, 인구구조 등의 인구 특성들을 연결해 학습해야 한다.

수년간 한국지리를 가르쳤던 현장의 선생님들이 교과 내용을 처음 공부하는 수험생들에 비해 개정된 교육과정의 첫 번째 수능에 더 혼란스러울 수도 있다. 기존의 출제 경향에서 변경된 부분을 반영해 6월 모의평가 분석을 토대로 학습한다면 지리 과목이 갖고 있는 특성상 노력에 비례해 좋은 성적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