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교직 만족도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4개 회원국 가운데 최하위로 나타났다. OECD의 ‘2013년 교수·학습 국제 조사’를 바탕으로 회원국 중학교 교사 10만5000여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교사가 된 것을 후회한다’는 질문에 회원국 평균(9.5%)에 비해 우리나라는 20.1%로 크게 웃돌았다.
심지어 ‘다시 직업을 선택한다면 교사가 되고 실지 않다’는 비율도 36.6%로 회원국 평균(22.4%)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다. 더 심각한 것은 교직에 입문한 지 채 5년도 지나지 않은 새내기 교사들의 절망감이 갈수록 높아진다는 점이다.
교사는 자긍심과 보람을 먹고 산다는 말이 있다. 이는 교직을 단순히 직업적 의미가 아닌 성직(聖職)으로 여기는 전통에서 기인한 것이다. 그러나 사회적 압력과 책임은 날이 갈수록 높아지고 권위와 재량은 상대적으로 줄어드는 현실에서 학생의 인생의 방향을 이끌어주던 스승으로서의 자긍심과 보람이 버티고 있을 공간이 없다.
국가의 소중한 자원인 교사들이 무기력증에 빠진다는 것은 국가 경쟁력 차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물론 이런 현상을 교사 개인의 능력과 소명의식 부족으로 치부할 수도 있으나, 지나치게 그런 쪽으로만 보는 것도 온당치 못하다.
교사가 되기 위해 누구나 많은 노력 끝에 어려운 과정을 넘어 교단에 섰다. 자긍심과 열정, 그리고 전문성으로 학생 교육에 임해야 할 분들을 후회하게 만드는 현실이 더 문제지 이들의 자질을 탓하는 것은 나무만 보고 숲을 보지 못하는 우를 범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교사된 것을 후회하기 보다는 ‘정말 잘했다’는 반응이 폭포처럼 쏟아져 나와야 대한민국의 희망이 있다. 교사들의 보람이 충만할 때 아이들이 웃고 학부모도 안심하며 학교도 행복해 진다. 교사의 자긍심과 사기를 진작할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교육당국은 현장의 여건이 어떤 상황이고 또 어떤 애로사항이 있는지부터 파악해야 한다. 나락에 떨어진 교권을 바로 세우는 것은 교육 개혁의 시작이자 마무리임을 명심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