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정 경기도교육감이 내년부터 야간자율학습(야자)을 폐지하겠다고 밝혔다. ‘9시 등교’에 이은 교육감의 학교혁신 2탄이다.
일단 명분은 훌륭하다. 입시·성적·성과주의에 매몰된 경쟁주의 교육이 ‘야자’라는 비정상적인 제도를 만들었기에 이를 혁파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학생들에게 저녁이 있는 삶을 통해 스스로 진로를 개척하고 상상력과 창의력을 기르는 방향으로 교육 패러다임을 바꾸겠다는 것이다.
이전에 시도됐다 실패했던 ‘카드’
현재 경기 도내 ‘야자’ 참여율은 20.3%로 10명 중 2명 꼴이다. 높은 참여율이 아니지만 이마저도 폐지하겠다는 것은 학생부종합전형 중심의 현행 대입 체제에서 더 이상 일제식 강제 학습은 학생들이 자기역량을 기르는데 한계가 있다는 설명이다.
이재정 발(發) 야자 폐지를 접하며 떠오른 것은 이해찬 전 교육부 장관이다. 그는 1999년 새로운 대학입시제도를 마련한다면서 고등학교의 보충수업과 야간 자율학습을 폐지했었다. 획일적 일제학습 대신 특기·적성 교육을 강화해 한 분야만 잘하면 대학에 진할 할 수 있다고 공언한 바 있다. 문제는 그 결과 ‘공부 안 해도 대학에 갈 수 있다’는 잘못된 인식을 심어 전반적인 학력저하 현상을 초래했다. ‘이해찬 세대’라 불린 당시 학생들은 청년 실업의 주역으로 전락한 바 있다.
야자 폐지에 따른 가장 큰 걱정은 사교육 팽창이다. 학교의 관리를 받아 공부하던 학생들이 적절한 교육프로그램 없이 방치된다면 학원이나 과외로 몰려갈 것은 뻔한 이치다. 학생부종합전형이 대입의 핵심 전형으로 떠오른 것은 맞지만 아직도 수능의 영향력은 수시와 정시 전반에 걸쳐 막강하다. 또한 치열한 내신경쟁도 엄존하는 상황 속에서 학업을 제쳐두고 실체조차 불분명한 진로 개척에 매진하기란 쉽지 않다.
이 같은 점을 감안해 경기도교육청은 ‘예비대학 교육과정(가칭)’이란 프로그램을 제공하겠다고 대안을 제시했다. 그러나 수능과 내신이 당장 급한 학생들이 이 같은 프로그램에 적극 참여하기란 쉽지 않다.
이재정 발(發) 야자 폐지는 진보교육감을 중심으로 공감대를 형성하며 외연 확대를 시도하고 있다. 물론 야자는 획일화된 입시제도의 전근대적 유물이라는 점에서 언젠가는 청산돼야 할 구시대적 유물임에는 틀림없다. 그러나 당장 내년부터 폐지하면 대다수 학부모들은 자녀를 사교육에 의탁할 수밖에 없다. 더욱이 형편이 어려운 학부모들은 자녀를 방치할 가능성이 높아 교육 양극화만 더 심화될 수도 있다.
‘포퓰리즘의 대가’ 학생 피해 불보듯
대입에서 수능이나 내신 중심의 하드웨어는 그대로 둔 채 야자와 같은 소프트웨어만 바꾼다고 교육 패러다임이 바뀌는 것은 아니다. 지난 2011년에도 경기도교육청이 야자 폐지를 추진했다가 사교육만 증가했다는 비판을 받고 흐지부지된 전례가 있다. 교육의 본질을 무시하고 인기에 영합한 포퓰리즘 정책의 대가는 이를 추진한 교육감이 아니라 학생, 학부모가 짊어지게 된다. 야자 시행 여부는 학교가 교육 여건을 고려해 자율적으로 결정할 일이다. 학교의 권한을 무시하고 교육감이 획일적으로 통제하려는 시도는 거둬들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