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 대학교 등 여기저기, 이런저런 고교생 문예백일장에 다녀왔다. 학생들을 인솔하여 직접 참가했지만, 같은 날 두 개가 겹친 경우 한 곳에는 애들만 보내기도 했다.
학생들 입상 성적은 상위도 하위도 아닌 그저 보통 수준이었다. 어느 학생은 장원을 하여 무려 1백만원의 상금을 거머쥐기도 했다. 반면 참가 학생 전원이 입선하지 못한 때도 있어 공연히 나까지 코를 빠뜨린 채 발길을 돌려야 했다.
솔직히 나이 50이 넘은 문학평론가인 내가 고교생들을 데리고 백일장에 중뿔나게 다닐 ‘군번이냐’는 회의에 시달리기도 하지만, 한편으로 그 일은 즐겁고 보람된 교직 수행이다. 나의 지도에 의해 제자들의 글쓰기가 점차 향상되어가고 거기에 상까지 받는 것을 보는 마음이 그렇다.
실제로 내가 인솔한 백일장대회 참가자 중 여러 명이 문예창작과나 국문학과에 진학하기도 했다. 내가 보낸 것이 아니라 그들이 선택한 진로였다. 나름대로 그들은 문학에 꿈을 두고 글쓰기에 청춘과 영혼 모두를 바치고 있을 터이다.
그런데 최근 우울한 소식이 들려온다. 대개 고교생백일장대회를 주관하는 대학교의 문예창작과가 구조조정 1순위라는 것이다. 어느 대학은 폐과가 되어 신입생 모집이 내년부터 중단된다는 소식까지 들려오고 있다.
하긴 문예창작과의 신입생 모집난이 심각한 건 사실이다. 국립대학교를 빼곤 대부분의 사립대 문예창작과는 정원의 반절도 채우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단 대학측으로선 구조조정 1순위로 문예창작과를 내세워 열악한 신입생 등록률에 대한 고민을 덜어볼 생각을 할 법도 하다.
참으로 이상한 일이다. 고교생백일장대회에 참가한 대학당 그 수백 명의 학생들은 도대체 어디로 가는지. 글쓰기 쪽으로 진학하려고 하루내내 수업도 빠진 채 백일장대회에 참가하는 것이 아니었단 말인가?
그러고 보면 아직도 ‘글쟁이는 배고픈 직업’이라는 일반의 인식이 해소되지 못한 것 같다. 실제로 재학 동안 백일장에서 5~6회나 수상한 나의 제자도 올 2월 졸업과 함께 취직이 보장된다는 신설학과에 진학해 버렸다. 나로선 아쉬웠지만 강력히 만류할 수도 없는 노릇이었다.
그러나 글쓰기는 비단 소설가나 시인이 되기 위해서만 필요한게 아니다. 유감스럽게도 우리나라 중·고생들의 글쓰기 실력은 형편없다. 엄격한 잣대를 들이댈 경우 수행평가에서 만점을 받을 학생이 거의 없을 정도이다. 기본적으로 글쓰기는 고졸이나 대졸자에게 필요한 ‘교양필수’인데도 그렇다.
또한 글쓰기는 유망 직종 중 하나이다. 소설가나 시인만으론 배고플지도 모르지만 글쓰기는 어느 직업이나 직장에서도 두각을 나타낼 수 있는 특기이다. 이공계 기피도 심각한 수준이고, 인문학의 기초인 글쓰기마저 푸대접받는 정도가 날로 거세지니 나라의 장래가 걱정스럽다.
대학측은 폐과라는 손쉽고도 극단적 대책보다 문예창작과 활성화 방안 및 신입생 유인책을 적극 찾기 바란다. 학생 선호도가 높은 전공만 살린다면 대학 균형발전에 바람직하지 못할 뿐 아니라 ‘글쓰기 죽이기’라는 혐의로부터도 자유로울 수 없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