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서울대 총장이 “교육의 목적은 한편으론 가르치고, 한편으론 솎아내는 데 있다. 좋은 원자재가 있어야 좋은 물건을 만들 수 있다”고 말함으로써 중 고등학교에서 학생을 가르치고 길러내는 일을 열무 '솎아내기'에 비유하고 대학이 질 좋은 원자재만을 독점하려 한다는 것을 스스로 고백함으로써 그의 교육관을 다시 한번 의심케 했다.
본 리포터는 대학입시 제도에 대한 갈등에 대해서는 논하고 싶지 않다. 다만 능력이 있는 사람에게는 있는 대로, 부족한 사람에게는 부족한 대로 각자 수준에 맞게 창의적으로 가르치는 것이야말로 이 나라 공교육이 떠맡아야 할 일이며 제7차 교육과정의 취지에 맞는 교육인 것이다.
정부가 제7차 교육과정을 개정한 주요 취지 중의 하나는 학생들에게 적합한 교육을 실시하기 위하여 학생들의 학업 성취 수준에 따라 서로 다른 교육과정을 제공해 주자는 것이었다. 이러한 취지가 제 7차 교육과정에 반영되어 등장한 개념이 바로 수준별 교육과정이며, 21세기를 대비한 열린교육·참교육의 구현이라는 목표로 제시되고 시행되어 온 수준별 교육과정의 기본 개념은 개개인의 수준별 다양성을 고려하지 않았던 과거의 획일화된 교육을 변화시킬 수 있는 매우 긍정적인 사고로 이루어진다.
즉, 학생능력의 개인차가 고려된 수업과 다양한 특적성 교육활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학생 개개인의 학업성취의 가능성을 극대화하고, 학생능력의 개인차뿐 아니라 흥미와 필요 및 진로의 개인적 차이까지 고려될 수 있는 학교 교육을 통하여 생산되는 이른바 원자재는 그 품질이 바로 나타나지 않는 법이다.
서울대 총장의 좋은 원자재가 있어야 좋은 물건을 만들 수 있다는 말도 모순이 많다. 대학은 제품을 만들어내는 공장이고 중·고등학교는 원자재를 만들어 공급하는 하청업체인가. 우리 교육이 우수한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이뤄지는 것도 아니며, 그래서는 더더욱 안 되거늘 교육이 우수한 학생과 그러지 못한 학생을 고르는 과정이 되면 정말 곤란하다.
그동안 대학은 자신들의 몸집을 키워 자본금을 키우는 방식으로 원자재의 질에 기대어 기업을 유지하는 이른바 ‘땅 짚고 헤엄치기’를 해왔을 뿐 자체 품질향상 교육에는 충실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고급 원자재를 독점해 온 생산자가 그 동안 만들어낸 제품이 원료에 비해서 훌륭하지 못했다면 그 공장은 더 이상 원자재 탓을 하지 말고 자진 도태해야 한다. 더구나 그 이유가, 일류 원자재에만 눈독을 들여온 탓에 생산 기술이나 방법을 발전시키지 못한 결과라면, 한 걸음 더 나아가서, 이에 따라 하청업체들의 생산 행위가 심각하게 교란되고 있다면 이것 또한 경제원리에 어긋나는 것 아닌가.
이제 대학은 '질 좋은 원자재'를 독점하려는 데 혈안이 되어 있는 만큼, 원자재 업체인 중·고등학교로부터 공급받은 원자재를 질 좋은 상품으로 만들 지 못한 과오는 반성해야 한다. 그들은 질 좋은 원자재로 훌륭한 제품으로 만들어내지 못하는 문제를 공교육에 떠넘기려함으로써 고교 교육 전체는 물론 중학교와 초등학교까지 줄 세우는 교육으로 내모는 범죄를 저지르고 있는 것이다.
품질이 다소 떨어지거나 똑같은 원자재를 가지고도 우수한 제품을 만들어 시장에서 경쟁력에 앞서 잘나가는 기업이나 벤처 산업체는 얼마든지 있다. 이제라도 대학이나 기업은 더 이상 원자재 탓으로 공교육 시장을 교란시키지 말고 중 고등학교와 초등학교 등 공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수준별 교육과정을 도입함으로써 품질 향상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