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전 우리학교에 장기간 결석으로 인해 자퇴를 해야 될 처지에 놓인 학생이 한 명 있었습니다. 그 때 담임선생님은 이 학생 처리문제에 대해 의논을 했는데 교장선생님께서는 아무리 결석을 많이 해도 자퇴를 시키지 말고 이 학생 장래를 생각해서 담임선생님이 잘 설득해 학교를 다닐 수 있도록 하셨습니다.
그러고 나서 이 학생은 담임선생님의 설득으로 학교를 다시 다니게 되었고 무사히 졸업을 하고 대학에도 진학하게 되었습니다. 이 학생은 졸업할 때에 담임선생님과 교장선생님께 찾아가 고맙다고 인사를 하고 가더라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습니다. 그 때 만약 이 학생의 장래를 생각하면서 보호하지 않고 자퇴를 시켰다면 어떻게 되었겠습니까?
저가 교육경력 7∼8년 정도 되었을 때 함안종고(현,함안고등학교)에서 고3 담임을 한 적이 있었습니다. 방학이 끝나는 8월 말쯤 우리 반 학생 한 명-착하고 공부도 잘함-이 학교주변에서 친구와 자취를 하고 있었는데 어느 날 하루 반말을 쓴다고 시비 끝에 동네 20대 청년-중1, 2정도의 체격-과 싸움이 벌어졌는데 그 이후 그 청년은 시름시름 앓기 시작하여 보름 후에 죽게 되었고 검사의 지휘하에 부검 결과 사인(死因)은 구타가 아니라 어릴 때부터 앓아온 지병-폐결핵-인 것으로 판명되었습니다.
그런데도 그 청년의 부모들은 죽음의 원인을 우리 반 학생에게 덮어씌웠습니다. 그 과정에서 저는 우리 반 학생을 보호하고 살릴 책임이 있어 그 청년의 부모에게 찾아가 머리를 숙이며 온갖 수모를 겪으면서 문제가 잘 해결되도록 노력했습니다. 그 결과 원만하게 일을 마무리 짓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문제가 끝난 것은 아니었습니다. 이 학생의 처벌문제였습니다. 그 때 당시의 상황으로 봐 퇴학을 시켜도 아무도 말 못할 그런 상황이었습니다. 학교 명예도 실추시켰고 우리 반 전체에게 미친 악영향도 컸고 전체학생의 진학지도에 매진해야 할 때인데 많은 기간 동안 이 학생 문제해결에 신경을 썼으니 얼마든지 퇴학조치를 할 수 있었습니다.
그렇지만 그 때 저는 교장선생님에게 이 학생을 내가 책임질 테니 퇴학을 시키지 말고 저에게 맡겨 달라고 해 퇴학을 면하게 되었고 무사히 졸업해 지금은 마산에서 공무원으로 근무를 잘하고 있습니다.
전봉건(1928∼88)의 ‘옥수수 환상가’ 시(詩)에 이런 싯구가 나옵니다. ‘옥수수의 잎사귀가 날린다/ 다산형(多産型) 공주님을 지키는 늙은 무사의/ 큰 칼날이다.’ 저는 이 싯구를 보면서 이런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나에게 맡겨진 학생들은 꿈과 희망으로 가득 찬 옥수수 알과 같다. 그리고 학교라는 왕국의 공주님과 같다. 그리고 선생님은 옥수수의 잎사귀와 같다.’고요.
그렇습니다. 옥수수의 잎사귀와 같이, 공주님을 지키는 늙은 무사의 큰 칼날같이 우리는 언제나 학생 곁에서 방패막이를 합니다. 때로는 땡볕 더위를 이겨가면서 옥수수 알을 지키듯이 온갖 힘든 일을 참고 견디면서 학생들을 품습니다.
우리 선생님들은 다산형 공주님을 지키는 늙은 무사의 큰 칼날이라는 자부심을 가져봄 직합니다. 한 학생 한 학생 잘 보호하고 교육시켜 놓으면 반드시 사회에 봉사할 큰 사람이 됩니다. 그 때 만약 그 학생을 제가 보호하지 않고 성질대로 퇴학을 시켰다면 그 학생은 평생 저를 원망할 것이고 큰 상처를 안고 불행하게 살아갈 것 아니겠습니까? 그 때 저는 늙은 무사의 큰 칼날 같았다는 생각에 뿌듯함을 느끼게 됩니다.
배움에 있는 학생들은 배추 알에 비유될 수 있고 선생님은 배추 껍데기에 비유될 수 있습니다. 배추가 병이 들면 농약을 치지만 배추 알은 보호받고 배추 껍데기는 시련을 겪습니다. 바람이 불고 비가 와도 속은 보호되지만 겉은 온갖 고생을 다합니다. 나중에 서리가 내려도 속은 배추 알의 모습을 그대로 지니지만 배추 껍데기는 시들해집니다. 결국 배추 알은 맛좋은 김치재료가 되지만 배추 껍데기는 씨레기 취급만 받습니다.
학생들은 배추 알과 같이 언제나 보호되고 대접받아야 합니다. 반면에 선생님은 씨레기 취급을 받더라도 사명을 다해야 한다. 그게 선생님들이 가야할 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