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을 잘 버는 사람을 유능한 사람이라고 하고 돈을 잘 쓰는 사람을 화통한 사람이라고 하며 검소한 사람은 꼭 필요한 사람이라고 하는 글을 읽은 적이 있습니다. 유능한 사람도 필요하고 화통한 사람도 필요하지만 우리나라를 이끌어 가는 가장 큰 힘은 역시 검소한 사람들이라고 합니다.
어느 학생의 ‘절약하기’에 대한 글을 읽었는데 가슴에 와 닿아 이렇게 옮겨 봅니다.
“편안한 신발로 걷기, 적게 먹기, 대중교통 ... 저렴한 것으로 골라 타기, 더위나 추위를 참아내기, 불편함이나 약간의 불평등은 참아내기, 책은 도서관에서 보기, 불필요한 사람들은 만나지 않기, 검소함과 절약은 미덕이라고 스스로에게 얘기하고 인지시키기~, 분명히 아무것도 없이 큰소리치는 깡통보다 밖은 허름해도 꽉 들어찬 저금통이 되고 싶당~”
이 학생과 같이 검소함과 절약을 미덕이라고 생각하고 다짐하고 실천하려고 하는 아름다운 마음씨를 가진 학생들이 있는가 하면 전혀 그렇지 않은 학생들도 참 많음을 보게 됩니다. 대중교통 이용은커녕 등교시간에 학교 앞이 복잡하여 일방통행으로 되어 있는데도 차를 타고 오는 학생들이 많습니다. 들어와서는 안 되는 학교 안에까지 차를 몰고 들어오기도 합니다.
그것뿐입니까? 빵이며 우유며 과자며 포도며 각종 건강식품이며 음료수며 가릴 것 없이 시도 때도 없이 먹습니다. 그것도 보란 듯이 먹고 난 것을 골마루에 그대로 버립니다. 자기만 배부르면 됩니다. 낭비가 너무 심합니다. 화장실에는 물이 철철 흘러도 아무도 관심이 없습니다. 쓸 데 없이 불이 켜져 있어도 꺼지 않습니다.
오늘 오후 교실을 둘러보는데 화장실에서 물이 내려가는 소리가 들렸습니다. 저가 가서 물을 흐르지 않도록 해야 했습니다. 그 때 만약 제가 지나가지 않았더라면 얼마나 많은 물을 낭비했겠습니까?
우리 선생님들은 학생들에게 검소함과 절약이 미덕이라는 것을 가르쳐야 할 것입니다. 다산 정약용 선생님은 유배지에서 자녀들에게 편지로 검소한 생활의 중요성과 근검생활에 대한 부탁의 말을 했는데 그 내용은 이렇습니다.
"금년 여름에 내가 다산에서 지내며 상추로 밥을 싸서 주먹덩이를 삼키고 있을 때 옆 사람이 구경하고는 '상추로 싸 먹는 것과 김치 담아 먹는 것은 차이가 있는 겁니까?'라고 묻기에, 내가 말하길 '그건 사람이 자기 입을 속여먹는 법입니다.'라고 말하여, 적은 음식을 배부르게 먹는 방법에 대하여 이야기해 준 적이 있다.
어떤 음식을 먹을 때마다 이러한 생각을 지니고 있어야 하며, 맛있고 기름진 음식만을 먹으려고 애써서는 결국 변소에 가서 대변보는 일에 정력을 소비할 뿐이다. 그러한 생각은 당장의 어려운 생활 처지를 극복하는 방편만이 아니라 귀하고 부한 사람 및 복이 많은 사람이나 선비들의 집안을 다스리고 몸을 유지해 가는 방법도 된다. 근과 검, 이 두 자 아니고는 손을 움직일 수 없는 것이니 너희들은 절대로 명심하도록 하라."
다산 선생님의 말씀을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시대에도 살아 숨쉬는 생명력이 있는 말씀으로 받아들여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아끼고자 하는 그 정신은 낭비벽이 심한 젊은 학생들에게 꼭 가르쳐야 할 것입니다.
과도히 아끼는 것도 문제지만 그렇다고 요량 없이 마구 쓴다는 건 더 큰 문제입니다. 유능한 사람이 많은 돈을 번다해도 화통한 사람처럼 마구 써버리면 무엇이 남겠습니까? 비가 올 때 댐에서 물을 저장함은 가뭄을 대비한 지혜로운 방법이듯이 귀한 모든 것-돈, 물, 전기, 음식, 기타-들을 아낄 때 아끼는 것도 지혜로운 방법 아니겠습니까?
최서해의 단편소설 탈출기를 보세요. 삶이 너무 비참하지 않습니까? 너무 부해 사람 구실 못하는 것도 문제가 있겠지만 너무 가난해 사람 구실 못하는 것 봐도 안타깝지 않습니까? 탈출기의 주인공은 추운 겨울. 찬바람을 이불로 뒤집어쓰고서 살아야만 했습니다. 굶어 가는 아들을 보고 위로하는 어머니. 임신한 아내가 굶어굶어 허기진 배를 채우기 위해 길에 떨어진 귤껍질을 먹다가 남편에게 들켜 부엌에 던지며 우는 아내.
주인공은 다시 심기일전하여 두부장사를 시작. 3원을 밑천 삼아 대구어(고기) 장사를 해서 콩으로 바꿔 두부장사. 두부를 만든다는 것도 쉽지 않구. 어떤 때는 두붓발이 서지 않아, 두부가 시어, 때로는 땔감이 없어 산에 나무하다 중국경찰서에 붙들려 가는 일 등으로 나날이 울음, 비통, 처참, 소조(蕭條)한 분위기 등등을 우리가 상상해 보면서 있을 때 아껴야 함을 가르쳐야 합니다. 우리 앞에 이런 가난이 오지 않으리란 법이 없습니다. 미리미리 대비하는 마음으로 아낄 것 아끼고 절약할 것 절약하고 근검, 절약정신을 미덕으로 삼는 지혜가 있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지금도 우리 주위에는 단돈 1,000원을 아끼기 위해 90분 동안이나 운동 삼아 걷고 있는 분이 있습니다. 시내버스 환승을 위해 돈을 버스요금으로 내지 않고 카드를 사용합니다. 단돈 100원이라도 아끼기 위해 말입니다. 이런 절약정신이 우리 모두에게 있어야 하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