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삶을 위한 대학 전공선택 어떻게 할 것인가?
지난 15일 실시된 대입 수학능력시험을 통해 초·중·고 12년 동안 땀 흘려 공부한 성과를 정리했다. 이제 당장 필요한 것은 올바른 대학 전공 선택이다.
수험생들은 대학을 마친 뒤에도 수십년간 직업 활동을 해야 하는데 그 첫 단추가 바로 적성에 맞는 전공 선택이기 때문이다. 마라톤처럼 긴 인생살이는 대학에서 어떤 전공을 택하느냐에 따라 많은 부분이 달라질 수 있어 수험생들은 매우 신중하게 결정해야 할 것이다.
행복한 삶을 위한 대학 전공선택에서 고려해야 할 10가지를 정리해 보자.
1. 자신을 돌아보는 시간을 갖자
먼저 수능을 끝낸 입장에서 자기 자신에 대해 곰곰히 생각해보는 시간을 갖자.이미 수험생들은 고등학교까지 적성검사,흥미검사 등을 실시한 경험이 있겠지만 이제는 본격적인 전공 선택을 위해 다시 한번 자신이 △진짜 하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 △잘하는 것이 무엇인지 △자신이 옳다고 믿는 것이 무엇인지 △자신이 남들과 틀리는 점이 무엇인지를 알아보자. 앞으로 무한경쟁 시대에는 결국 자신이 잘하거나,하고 싶은 일을 선택해야 성공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2. 앞으로의 사회 변화에 대해 생각해 보자
청소년들이 본격적으로 활동하는 시기는 지금 당장이 아니라,1인당 국민소득이 3만∼5만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15~20년 뒤일 것이다. 그때는 지금과 다른 직업활동 형태가 다양하게 나타날 것이므로,이에 대비하는 전공선택이 바람직하다.
'20+50'이란 것이 있고 '50+20'이란 것도 있다. 앞으로의 사회에서 50세는 20년 더 직업활동을 해야 하고,20대 청년들은 50년 동안 직업활동을 해야 한다는 의미다. 평균수명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미래학자 앨빈 토플러는 "청소년들이 어떤 직업에 대해 준비할 때는 10년 뒤를 바라보라"고 강조했다. 인생은 마라톤과 같은 것인 만큼 장기적인 트렌드를 반영하는 전공 선택이 되어야 하겠다.
3. 인생의 목표를 세우자
자신에 대한 분석과 미래사회를 전망하면서 자신의 인생목표를 세워보자.세계 65억 인구 가운데서 자신이 '과연 무엇을 하고 싶은가'를 생각해 보라는 것이다.
일생 동안 영위해야 할 직업활동이 단순히 생계를 유지하기 위함만은 아닐 것이다. 직업활동을 통해 이 세상에서 자신이 무엇을 남기고 싶은가를 생각하라는 것이다. 만약 자신이 어떤 인생목표를 가져야 할지 확신이 서지 않으면 스스로 본받고 싶은 '역할 모델'를 찾아볼 것을 권하고 싶다. 앞으로 15년 뒤에 '저 사람'처럼 되고 싶다는 사람을 찾아보는 것이다.
4. 자신만의 인생관을 갖자
수험생들은 역사적·사회적 큰 맥락에서 경제활동과 직업활동이 어떤 의미를 갖는가를 자신만의 주관이나 관점으로 생각해보자. 이런 거시적 시각에서 과연 직업이 어떤 의미가 있으며 올바른 직업인의 자세는 무엇인가 하는 자신만의 관점,즉 인생관을 가져야 하겠다. 직업활동의 상당 부분은 개인이 어떻게 생각하고 어떤 자세로 직업에 임하는가에 달려 있기 때문이다.
5. 인생 설계도를 만들어 보자
멋진 건물을 지으려면 먼저 설계도가 필요하듯이 자신의 인생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인생 설계도를 만들어보자.여러분의 인생은 매우 소중한 것이다. 이렇게 소중한 존재이기에 어떤 방향이나 계획이 없이 이것 조금,저것 조금하면서 우왕좌왕 닥치는 대로 살아선 안 된다. 인생의 로드맵을 만들어도 중간에 상황이 달라져 꼭 계획대로 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방향을 잡고 열심히 노력하다 보면 반드시 무엇이든 이루어진다.
6. 인생설계에 대학진학과 전공을 맞추자
자신의 인생설계에 비추어 대학 진학과 전공을 무엇으로 할 것인지 결정해야 한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조사에 의하면 중·고생의 95%가 대학에 진학하려 하고 있다. 남들이 가니까 나도 대학에 가는 식이 되어서는 안 된다. 자신이 생각하는 인생목표에 걸맞은 직업인이 되려면 대학과 전공을 어떻게 결정할 것인지 알아야 한다. 경우에 따라선 일단 직업활동을 해보고 나중에 대학에 진학할 수도 있고,직업활동을 하면서 진학할 수도 있다.
7. 전공선택도 전략적으로 하자
친구 따라 강남 가는 식이거나,아무런 고민도 없이 안일하게,합격 위주로 성적에 맞춰 진학하는 것은 결코 현명한 전공선택이 아니다. 더구나 2008학년도 대학입시부터는 2007학년도와 달리 수능의 원점수와 표준점수가 제공되지 않고 과목별 등급만 표시된다. 따라서 수능 1등급의 경우 2만4000여 명이 같은 등급을 받고,가장 숫자가 많은 5등급에는 무려 12만여 명이 같은 등급에 속하게 된다.
교육인적자원부에서는 큰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지만 12월12일 수능 등급이 나오고,수능·내신이 같은 등급에 속하는 학생이 수만명에 달한다는 점을 떠올려보면 혼란스럽지 않을 수 없다. 현재 수험생들이 대학 진학을 할 수 있는 수백 가지 방법 중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방법을 찾는 노력이 필요하다. 내신이 유리한지,자신의 상황에 맞추어 수능의 특정 과목이 유리한지,논술이나 심층면접이 유리한지를 알고 그에 적합한 전공과 대학을 선택해야 하겠다.
8. 전공을 독단적으로 결정하지 말자
수험생들은 전공선택시 자신이 주도적으로 결정하되,반드시 부모님과 상의하고 교사나 전문상담가들의 도움을 받자.수험생의 전공선택은 자신만의 문제가 아니다. 최근 대학 졸업생의 상당수가 실업상태여서 부모들이 노후준비를 포기하면서까지 자녀 뒷바라지에 신경을 쓰는 형편이다. 따라서 대학 입학과 함께 독립할 수 없는 이상,전공선택을 부모님과 함께 고민해야 한다. 부모님은 가장 든든한 조언자가 될 것이다.
9. 전공을 알고 선택하자
자신의 전공 분야가 어떤 학문이고,어떤 직업활동을 할 수 있는지 알고 선택(informed choice)하자.각 대학의 특성과 10년 후의 직업과 학과에 대해선 '커리어넷'(
http://www.careernet.re.kr)을 참고할 수 있다. 직업에 관한 상세 정보와 대학 전공에서 무엇을 배우는지,졸업 후 취득 자격과 진출 분야 등에 관해선 'KNOW'(
http://know.work.go.kr) 등을 참조하면 도움이 될 것이다.
아울러 각 교육청과 시·군·구에서 실시하는 입시설명회와 12월13일부터 실시되는 대입박람회 등에서도 대학과 전공 분야 관련자를 만나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실제로 많은 학생들이 무엇을 배우는지도 모르고 전공을 선택해 대학 입학 후 자퇴하거나 반수를 하는 실정이다.
10. 선택한 전공에 적극적인 자세로 임하자
수험생 입장에서는 인생 최초의 중요한 선택인 만큼 가보지 않은 길에 대한 두려움도 있고 불안할 것이다. 그래서 합리적이고 최적인 선택을 못하는 겅우도 많다. 일단 합격만 하고 보자는 식이거나,부모님의 강요에 의해 특정 전공을 선택하기도 한다. 수험생들은 지금의 전공 선택이 자신의 일생을 결정하는 것인 만큼 다른 사람의 일이 아니고 자신의 일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진지하게 임하자.
자신의 진로는 자신의 것이고 다른 어느 누구도 대신할 수 없다. 위에서 제시한 원칙들이 수험생이나 가족에게 원론적인 이야기로 들릴지 몰라도,장기적으로 수험생들의 행복한 삶과 성공적인 직업활동을 위해 꼭 필요하다. 자신을 돌아보고 진지하게 결정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