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4 (목)

  • 맑음동두천 19.2℃
  • 맑음강릉 24.6℃
  • 맑음서울 19.2℃
  • 구름많음대전 18.7℃
  • 구름많음대구 26.7℃
  • 구름많음울산 22.4℃
  • 구름조금광주 20.7℃
  • 구름조금부산 18.1℃
  • 구름많음고창 16.3℃
  • 맑음제주 19.2℃
  • 맑음강화 16.1℃
  • 구름많음보은 20.0℃
  • 구름많음금산 19.5℃
  • 구름많음강진군 20.9℃
  • 구름조금경주시 27.0℃
  • 구름조금거제 18.8℃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단일기

현관에 꼭 ‘연혁과 목표와 교육관’이 걸려야하나?

옛해양수산부가 정부조직개편으로 해체돼 서울 종로구 계동 현대사옥 사무실을 비우고 보건복지가족부가 새로 이사오는 과정에서 멀쩡한 가구와 사무실 집기류 등이 거리에 내팽개쳐져 있어 시민들의 따가운 눈총을 받고 있다. 특히 이명박 대통령이 취임 후 줄곧 공무원들에게 ‘근검절약’ 정신을 강조해왔는데도 이같은 황당한 일이 벌어지자 공무원들의 무책임한 혈세낭비 행태에 시민들의 비난과 질책이 쏟아지고 있다.

3월 22일자 문화일보 정치면에 났던 기사다.

새정부가 들어서고 사람이 바뀌면 제일 먼저 하는 일이 옛것을 폐기처분하는 일일 것이다. 그런 뒤 자기의 입맛에 맞게 리모델링하는 일일 것이다.
헌것은 버려지고 새것으로 교체되는 현상은 정부가 아닌 다른 단체라고 해도 비일비재한 일이니까 이해할만한 일이다. ‘새술은 새부대에’라는 말도 있으니...
하지만 이렇게 멀쩡한 것을 내버리고 새것으로 교체해야만 새나라가 되고 선진국이 되는지는 의문이다. 버려지는 것도 국민의 혈세이고 국민의 돈이거늘.
만약 그 가구가 내 집 가구였다면 그렇게 쉽게 내다버릴 수 있었을까? 자기 소유였다면 이빨빠진 커피잔일지언정 정이 들어 폐기처분을 수십번 망설였을 것이다. 하물며 멀쩡한 가구임에야...

이런 현상은 학교라고 해서 별반 다를 바가 없는 것 같다.
우리 학교도 새관리자가 들어서고 제일 먼저 한 일이 책걸상을 교체한 일이기 때문이다. 그거야 그것을 매일 사용해야 하는 관리급 분들의 취향이니까 내가 상관할 바가 아니겠지만, 가장 탐탁지 않았던 일은 현관에 있던 대형수족관을 폐기처분한 일이었다.

대형수족관은 어른들에게는 찬밥이었지만, 아이들에게는 인기짱인 현관의 터줏대감이었다. 아이들은 학교에 등교하면 제일 먼저 수족관의 물고기에게 인사를 했고, 동태를 살핀 뒤에야 교실로 올라가곤 하였다. 그것은 꼬망둥이 1학년이나 덩치가 교사보다 더 커버린 6학년이나 똑같았다. 그래서 아이들인가 보았다.

어떤 물고기가 밤새 안녕했고, 어떤 물고기가 싸우다가 다치고, 어떤 물고기는 지금 배가 불렀고, 어떤 물고기가 그 세계의 짱이고, 어떤 물고기가 왕따인지 교사들은 몰라도 아이들은 다 알았다. ‘선생님 큰일났어요’ 하면서 호들갑을 떨며 손을 잡아 이끌 때도 가보면 수족관의 물고기가 변을 당했을 때였다.
그런 아이들 때문에 나 또한 수족관의 물고기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아이들 때문에 어항 벽면에 달라붙어 이끼를 청소하는 시커먼 물고기가 비파라는 것도 알게 되었다. 스트레스가 쌓일 때나 골머리가 아플 때 벽면에 딱 달라붙어 이끼를 청소하고 있는 우스꽝스러운 모습을 한 비파를 보면 괜시리 웃음이 나왔고 스트레스가 풀렸다.

그러했던 수족관이 어느 날 감쪽같이 사라지고 대신 그 자리엔 분홍보라색의 씨트지가 온 벽면에 붙여지고 커다란 액자 3개가 붙여지게 되었다.
학교장교육관, 설립정신, 학교교육목표.
깨알같은 글씨와 도표에 도식적인 이야기들...
어느 학교든 가면 제일 먼저 반기는 재미없는 얘기들...
이것이 아이들이 좋아하던 수족관을 대신할만큼 그렇게 중요한 것이었던가?

그런 것들을 현관에 굳이 진열하지 않더라도 그 학교를 들어서면 그 분위기만 보고도 어떤 학교인지 알 수 있고, 학교장을 한번만 대해도 어떤 교육관을 가지고 있는지 알 수 있는 일이다. 가정을 방문했는데 가훈이나 가정관이나 가정의 목표를 세운 글씨 하나 없어도 분위기를 파악하는 데는 몇분 걸리지 않는 것처럼 말이다.

일년에 한번 읽어볼까말까하는 전시용액자가 뭐가 그렇게 중요하다고 아이들과 생물과의 즐거운 대화 창구였던 대형수족관을 철거를 해버렸는지 모를 일이다.
학교요람에 늘 맨 첫장에 나오는 얘기들, 학교 홈페이지에 교장인사말 뒤에 연혁이니 뭐니 하면서 실리는 얘기들, 또한 학교교육과정 앞에 제일 먼저 실리는 내용 홍보만으로도 부족해 꼭 현관에 제시하여야만 하는가?

예전의 관리자가 현관에 그런 액자를 걸 줄 몰라서 수족관을 설치했겠는가? 현관이 먼저 아이들을 위한 첫공간이 되어야한다는 생각에 물고기가 살아 숨쉬는 수족관을 설치하고 그 전면에 식물을 배치한 것이다. 옛것이라고해서 무조건 나쁜 것만은 아니다.

보여주기 위한 전시행정?
그런 이벤트는 언제나 뾰룡나기 마련이다. 겉보기에는 어른들의 입맛에 맞는 깔끔한 환경인지 몰라도 아이들의 사랑을 전면에 깔지 않은 전시 행정은 금방 사막의 모래성처럼 힘을 잃고 말 것이다.

학교의 주인은 어린이라고 입으로만 떠들지 말고, 진정으로 아이들의 눈높이와 정서를 고려한 아이들을 위한 환경조성을 해주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수족관에 이끼가 끼면 또 어떤가? 그런 더러운 환경에서도 이끼를 갉아먹고 사는 생물체도 있다는 것에 아이들은 경이로움을 표한다.
이왕 돈을 들여 현관을 리모델링했다면 적어도 아이들을 위한 공간 하나는 배치했어야 하지 않을까?
아이들이 아닌 어른들이 머무는 공간이 되어버린 현관리모델링에 마음이 많이 씁쓸해지는 것은 왜일까?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