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4.11.15 (금)

  • 맑음동두천 10.9℃
  • 구름많음강릉 16.0℃
  • 맑음서울 14.0℃
  • 맑음대전 13.2℃
  • 맑음대구 13.6℃
  • 구름많음울산 17.4℃
  • 맑음광주 14.1℃
  • 맑음부산 19.2℃
  • 맑음고창 11.3℃
  • 맑음제주 19.9℃
  • 맑음강화 12.4℃
  • 맑음보은 11.3℃
  • 구름조금금산 7.5℃
  • 맑음강진군 15.9℃
  • 구름조금경주시 14.7℃
  • 맑음거제 17.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제언·칼럼

수능 성적 공개와 우리 교육에 대한 반성



1994학년도 입시에 도입된 이래 계속 비밀의 커튼 안에 있던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이 베일을 벗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4월 15일 최근 5년 동안(2005~2009학년도)의 수능 성적을 16개 시도별, 232개 지역별로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수능 성적 공개에서 단연 주목을 받은 곳은 광주광역시이다. 광주시는 5년 내내 대부분 영역에서 1그룹 비율이 가장 높았다. 제주도도 선전을 했다. 제주도는 언어영역이 2007~2009학년도에 3년 연달아 1그룹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서울은 해가 갈수록 외국어영역만 1그룹 비율이 약간 늘어났을 뿐 나머지 영역에서는 중위권의 성적을 나타냈다. 충남과 전북도 해마다 성적이 저조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에 대해 언론도 나름대로 분석을 하고 교육 관계자도 거들고 있다. 하지만 안타까운 측면이 많다. 우선 광주시교육청은 언론 인터뷰에서 ‘광주 시내 대부분 고교에서는 담임교사가 야간 자율학습을 직접 챙기고 있다’고 말했다. 광주뿐만 아니다. 경북 양양여고도 ‘전교생을 밤 11시 반까지 자율학습을 시켰다.’고 자랑을 했다. 결국 좋은 성적을 낸 것은 시간 투자와 교사들의 노력이라는 것이다.

교사의 직무 중에서 학생의 보살핌(Caring)이 큰 부분을 차지한다. 그에 따라 성적이 좋은 것은 당연한 결과이다. 하지만 전국의 인문계 고등학교에서 ‘담임교사가 야간 자율학습을 직접 챙기지’ 않는 곳이 어디 있단 말인가. 이것이 성적 우수 요인이라고 분석하기에는 너무 초라하고 비과학적이다.

오히려 언론에 언급된 지역은 대부분 다른 요인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광주광역시의 성적 우수는 동일 지역에 사립고가 많고 주변 지역의 우수 학생이 몰렸다. 제주의 선전도 실상을 알면 우수하다고 말할 수 없다. 즉 제주의 일반계고 수는 서울의 8%에 불과하고 표집 크기가 엄청나게 커서 비교가 불가능하다. 게다가 제주에는 외고, 과학고가 1곳씩 있어 특목고 비율이 11%에 달해 서울 4%에 비해 월등히 높은 수치다. 전남 장성고나 경남 거창고도 ‘기숙형 자율학교’로 이미 우수 학생이 선발되어 있는 곳이다. 기타 지역도 외국고와 국제고가 있거나, 지역의 우수 학생이 모이는 환경이 조성되면서 애초부터 성적 우수자들이 모여 있었던 곳이다.

이러다보니 성적 공개 후 상대적으로 하위권으로 지목받은 지역도 학교 교육의 경쟁력과 질 향상을 위한 교육 정책에는 관심이 없다. 오직 특목고, 자립형 사립고, 기숙형 자율학교 등을 유치해 경쟁력을 키우겠다고 한다.

수능 성적 공개를 단행한 이유는 정보 공개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밀려서 한 것이다. 그러나 성적 공개는 심각히 걱정되는 바가 많다. 평가원은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공개 범위를 등급별로 묶고 개별 학교의 성적은 대상에서 제외했지만 학교 현장에 미치는 파장은 엄청나게 크다.

교육 현장이 자조적으로 변하고, 사회적 혼란이 야기되고 있다. 이번에 성실한 교육을 실천하고도 성적 낙후 지역으로 언급되어 비난의 대상이 되는 것이 그 예이다. 묵묵하게 교육 현장을 지키던 교사들도 앞으로는 특목고나 기타 우수 집단이 모여 있는 곳에서 손쉽게 아이들을 가르치려고 기웃거릴 것이다.

언론은 성적 우수 학교를 집중 조명하고 있지만, 이 학교들은 대부분 학원식으로 아이들을 잡아놓고 공부시키는 곳이다. 이렇게 하면 수능 성적은 어느 정도 올라가게 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교육 형태는 개인의 소질과 적성이 무시되는 획일적 체제와 수동적 활동만 있다. 학생을 고립된 존재로 인식하고 궁극적으로는 창의성을 키우지 못하게 된다.

또 하나 수능 시험은 대학 선발 제도이다. 이는 암기 위주의 교육을 파급시키면서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신장에 필요한 수업과 평가를 왜곡시켰다. 최근 대학이 다양한 입학 전형 제도를 실시하고, 입학 사정관 제도 등을 도입하는 것도 결국은 수능시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이다. 그런데도 수능 성적 공개를 하는 것은 교육의 정의를 흐리게 하는 것이다.

정부는 앞으로 개별 고교별로도 수능 성적을 공개한다는 방침을 세워놓고 있다. 이젠 지역간 경쟁이 아닌 학교간 경쟁을 통해 경쟁력을 쌓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번 성적 결과가 선생님과 학교의 특별한 노력에 의한 결과인지, 입학생의 성적에 따른 당연한 결과인지, 아니면 그 지역의 경제력 등 다른 요인에 의한 것인지 세밀한 분석이 없는 가운데 진행을 한다면 그 역효과는 엄청나게 커진다.

21세기 사회에서 성적을 위해 온 나라가 매진하고 객관식 점수 몇 점 더 높은 경쟁을 하는 것은 진정한 의미의 경쟁이 아니다. 학습자들로 하여금 경쟁의 늪에 허우적거리게 하는 것은 교육의 낭비다. 우리는 아이들이 더 큰 경쟁을 하도록 독려해야 한다. 21세기 사회에서는 불확실한 상황에서 도전 의식과 모험심을 갖는 경쟁을 시켜야 한다.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할 수 있는 인재를 키우는 경쟁에 몰입해야 한다. 아울러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경쟁은 교육 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급선무이다. 질 높은 교육을 위한 교육 공급 서비스의 경쟁이 우리의 과제이다. 아이들이 학교에서 꿈과 희망을 키울 수 있는 국가적 역량을 다하는 것이 우리가 감당해야 할 경쟁 분야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