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01 (월)

  • 맑음동두천 21.9℃
  • 구름조금강릉 21.3℃
  • 맑음서울 22.4℃
  • 구름많음대전 22.1℃
  • 구름많음대구 24.6℃
  • 구름많음울산 23.7℃
  • 광주 23.1℃
  • 흐림부산 22.2℃
  • 구름많음고창 22.9℃
  • 제주 25.1℃
  • 맑음강화 21.3℃
  • 구름많음보은 21.7℃
  • 구름많음금산 22.3℃
  • 흐림강진군 23.3℃
  • 구름많음경주시 24.0℃
  • 흐림거제 22.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제언·칼럼

학생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교육

학교교육의 목표는 궁극적으로 학생들의 변화에 있다. 다시 말해서, 학생들은 학교교육을 통하여 지적성장과 행동의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학생의 바람직한 변화가 곧 교육의 성과로 나타나므로 학교장은 학생들의 올바른 교육성과를 얻기 위하여 교사들에게 교수방법, 학습방법, 교육과정 등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우리교육의 성공사례는 대부분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향상과 직접 관련된 것으로 개념화되고 있다. 사실 우리의 학교교육은 학업성취도 뿐만 아니라 학생의 인성교육, 생활지도, 건강지도 외에도 최근에는 방과후 교육활동, 특기적성교육, 24시간 탁아교육의 기능까지도 하고 있다. 이처럼 학교교육의 역할은 점점 다양해지고, 확대되고 있는 것이 요즘 교육의 트랜드라고 할 수 있다.

초등학교는 전인교육을 통해 학생의 잠재력을 찾고, 길러 미래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있다. 이와 같이 학생들의 학교 삶의 질은 무엇일까? 또한 학생들의 삶의 질을 결정하는 요인은 무엇일까? 여기에 대한 해답을 찾기위해서 초등학생들의 학교 삶에 대한 논문을 준비하면서 우리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발견하게 되었다.

학생의 삶에 대한 최초 연구는 단국대 박삼철(2007) 교수의 ‘고등학교 학생들의 삶의 질을 결정하는 학교변인들의 효과’ 연구라고 할 수 있다. 그는 학생들의 학교 삶의 질을 결정하는 하위요인은 ①  학교에 대한 긍정적 인식, ② 학교생활의 불안정성, ③ 선생님의 돌봄(caring), ④ 선생님의 수업지도 만족도, ⑤ 친근한 교우관계, ⑥ 학교에서의 학업 및 일반적 성취감, ⑦ 학교교육과정에 대한 만족이라고 하였다. 이 6가지 요소들을 다시 정리하며, 학교장, 교사, 친구의 관계를 찾은 수 있다. 이 중에서도 무엇이 학생의 삶의 질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일까? 그에 대한 후속 연구로 초등학생의 학교 삶의 질을 조사 분석한 결과, 고등학교 학생들보다는 낮은 비중이었지만 친근한 친구관계를 제1순위로 꼽고 있었다.

학교생활에서 가장 주요한 요인은 친구라는 사실이다. 즉 학생들의 행복한 학교생활을 결정짓는 제일 중요한 요인이 바로 친구이다. 이렇게 중요한 친구관계도 중․고등학교에선 내신, 초등학생들에겐 과외라는 과열교육에 막혀 우정에 금이 가고 그 신뢰성마저 잃었다. 급기야는 왕따로 까지 나타나는 우리교육의 현실이 안타깝기만 하다. 어디에서 어떻게 손을 써야 될지도 모른다.

우리교육, 과연 제 모습을 찾은 수 있을지? 이젠 교사의 말도 잘 통하지 않는다. 학교장의 말도 학부모의 목소리에 밀려 외쳐도 들리지 않는다. 모두가 공교육이 무너졌다해도 우리는 우리교육을 바르게 세워야 한다. 우리나라의 근대화의 성장발전의 원동력은 바로 우리 교육의 역할인 것이다. 그래서 “학생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교육은 학교경영자인 학교장이 앞장서야 한다”고 말하고 싶다.

학교교육은 학교장의 리더십에 따라 목적과 효과가 분명히 달라진다. 그 이유는 학교장의 교육철학, 학교경영관이 리더십의 방향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이기 때문이다. 이제부터 학교장의 리더십의 방향을 학생들의 행복한 학교 삶에 두어야 한다. 지금까지 우리교육은 학생들의 행복한 삶과는 달리 입시에만 두었다. 학생들이 우정관계, 선생님의 돌봄보다는 틀에 짜인 교육과정을 매시간 수행하기도 바빴다. 말로만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이 6-7차 교육과정이었다. 따라서 얼마나 맞은 교육과정을 만들었는지 되묻고 싶다.

이웃 일본은 유도리 교육을 하고 있다. 즉 유도리(ゆとり)라는 말은 여유라는 뜻으로 입시위주, 주입식, 암기교육이 아니라 스스로 생각하고 해결하는 여유있는 교육이란 것이다. 우리도 이젠 한번쯤 생각할 때다. 학생들이 미래의 행복한 삶을 준비하는 교육이 우리교육의 본질 아니겠는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