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내딸과 식탁에 앉았다. 영어교과서가 놓여 있다. 영어는 앞에서 배운 것을 알아야 뒤에 나온 것이 이해된다. 1학기 때 배운 것을 모두 잊어버렸다면 복습을 통해 다시 익혀야 한다. 모르는 단어와 숙어가 누적되면 큰 부담이 된다. 그런 부담이 자꾸 마음에 쌓이면 나중엔 흥미를 잃게 되고 결국 손을 뗄 수밖에 없다.
1학기 기말고사 시험범위였던 교과서 4·5·6과를 펴게 했다. 단어와 숙어를 얼마나 잊지 않았는지 알아볼 참이다. 1회고사보다 2회고사에서 20점 이상 점수가 떨어진 원인을 알고 싶었다. 문제풀이를 하지 않은 것과 구석구석 자세하게 공부하지 않는 것이 주원인이었을 것이다.
교과서 내용을 번역해 보라고 했다. 대체로 정확하게 번역을 했다. 중요한 구문 몇 개와 단어와 숙어 몇 개를 잊어버렸다. 문법 문제를 물어보다가 아연 실색하고 말았다. 부정사의 개념도 모르고 있었다. 번역은 했지만 문장구조를 이해하고 한 것은 아니었다. 점수가 잘 나올 리가 없다. 예전보다 요새는 문법교육이 매우 소홀하다. 학생들이 제일 어려워하는 부분이 어법문제, 바로 문법문제다. 외국어 학습에서 문법은 내비게이션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영어 시험에서 실수하는 요인은 대충 공부하는 것과 응용력 부족이다. 많은 문제를 접하고 기본에 충실해야 응용력도 생긴다. 폭넓은 배경지식도 중요한데 배운 교과서 부분만 공부하고 넘어가니 조금만 문제를 바꿔 출제해도 허를 찔리고 마는 것이다.
다음 영문은 중 3교과서의 한 부분이다. 대충 단어의 뜻을 알고 의미는 파악이 될지 모른다. 그러나 시험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단어, 숙어, 구문을 알아야 한다. 어휘문제는 건축에 비유하면 기본 자재다. 문장이라는 언어의 건축물에 벽돌이고 유리고 기왓장이고 배관이다. 건축자재가 없는데 집을 지을 수 있겠는가?
“Sometimes inventions take place by accident. We use the microwave oven to have food cooked. The inventor of the microwave oven had little interest in cooking. He was working for a radar company when he discovered that microwaves could be used to produce heat."
우선 어휘부터 보자. sometimes는 종종, 때때로란 뜻이지만 동의어로 now and then, from time to time이 있다는 것까지 알아야 한다. ‘occasionally’까지 알아두면 더 좋다. inventor는 invent에서 왔고 invention, inventive도 마찬가지다. take place, by accident라는 숙어를 모르면 불완전하게 이해될 수밖에 없다. microwave oven은 전자 렌지, have foods cooked의 have+사물+과거분사가 have+사람+동사원형과 어떻게 다른지 알아야 한다. 부정사(Infinitive)의 개념도 알아야 한다. 기본문법을 모르고 하는 영어공부는 아무런 장비 없이 무조건 산에 오르는 것과 같다. 물론 지나치게 문법에 치우쳐선 안 된다. 문법도 깊이 들어가면 무척 복잡하다. 그것은 영어학 전공자의 몫으로 남겨놓고 학생들은 기본 문법에 충실하자.
little과 a little은 어떻게 다른지, when이 의문사로 쓰이는 경우와 접속사로 쓰이는 경우, that이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관계대명사, 지시대명사, it~ that 강조용법 등 다양하게 쓰인다는 것도 알아야 한다. ‘어디에 근무한다’ 할 때 전치사 for가 쓰이는 것도 알아두면 좋다.(was working for a radar company) 수동태의 형태와 용법(could be used)을 알아두어야 한다. 이런 기초적인 어휘와 문법은 중학교 때 끝내야 한다. 고등학교에 올라가면 문법을 따로 할 시간적 여유가 없다. 선생님들도 이런 기본 문법은 알고 있겠지 하고 넘어가기 일쑤다. 문장마다 단원마다 수없이 반복되는 기초문법을 모른다는 것은 정말 안타까운 일이다. 선생님들도 모두 알겠지 하고 매번 그냥 넘어갈 게 아니라, 가정법, 수동태, 분사 구문, 부정사, 관계대명사 등 기본 문법을 인쇄물로 정리하여 과제로 부여할 필요가 있다.
또 하나 중요한 것은 앞에서 얘기했지만 배경지식이다. 이 문단에서도 전자 렌지의 작동원리를 알고 있다면 훨씬 쉽게 영문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야구게임의 규칙, 환경문제의 심각성 등 평소에 폭넓은 독서로 교양을 쌓고 배경지식을 늘리는 것은 영어공부에도 필수적이다. 국어와 영어는 다 같은 기능과 유사한 구조를 가진 언어라는 점에서 동일하다. 국어능력과 영어능력이 별개가 아니다.
정년퇴직한 한 선배교사는 공부도 승부욕이 있어야 한다고 했다. 승부욕도 타고나는 거겠지만 습관들이기에 따라 생기기도 할 것이다. 학습동기를 부여하면 흥미도 승부욕도 생기고 시간관념도 생기지 않을까?
공부를 못하면 관심 밖으로 밀려날 수밖에 없다. 진도를 나가야 하는데 학습부진아를 언제까지 기다려 같이 갈 수는 없는 것이다. 결국 이해하고 따라오는 학생 위주로 수업이 진행되고 따라오지 못하는 아이들은 방치되는 수밖에 없다.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중학교 과정부터 다시 할 수는 없다. 딸이 고교에 진학해서 공부를 못하는 상황을 생각하면 답답할 뿐이다. 아무리 노력해도 안 된다면 다른 대안을 찾을 수밖에 없다.
나는 인도 유학을 생각해보았다. 자율과 자연 속에서 오로지 행복과 희망을 키워가는 교육도시. 샨티니케탄은 인도의 시성 라빈드라나트 타고르가 세운 교육도시다. 유치원에서부터 비스바바라티 국립대학까지 오로지 자연과 어울려 자연스럽게 우주와 생명의 신비를 체험하는 곳, 나는 관련 자료를 검색해보며 꼬박 밤을 새웠다. 우리나라보다 훨씬 적은 비용으로 공부할 수도 있다. 나는 그곳 물가를 알고 있다. 몇 해 전 한 달간 샨티니케탄을 비롯 인도 여러 도시를 여행했기 때문이다. 비스바바라티 대학 캠퍼스도 그때 둘러보았다.
딸에게 내 생각을 강요할 생각은 없다. 내가 청소년 때 생각했던 것과 요새는 모든 것이 다른데 내 생각대로 시인이 세운 대학도시로 유학을 보낸다면 과연 딸이 흡족해 할까. 그러나 이것도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놓기로 했다. 그리고 그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하진희씨가 쓴 “샨티니케탄”을 인터넷 서점에 신청했다. 꼼꼼히 읽어보고 딸의 교육과 연관하여 생각해볼 것이다.
하지만 국내교육에 적응 못해서 나가는 도피 형 유학은 반대다. 우리나라 언어, 역사, 문화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외국으로 간다는 것은 정체성의 혼란을 가중시킬 수도 있는 문제다. 거대한 강물처럼 흘러가는 대한민국 청소년의 대열에서 이탈한다는 것은 한편 커다란 위험성도 내포하고 있는 것이니 신중을 요하는 일이다.
나의 생각은 다시 국내 대안학교와 특성화고교에 이르게 되었다. 거리상으로 비교적 가까운 수도권을 살펴보았는데 분당의 모 대안학교는 기숙사가 없으니 통학이 힘들고 수도권은 아니어도 비교적 가까운 천안의 모 특성화고등학교는 학교의 비교육적 처사가 인터넷에 올라 있어 제외하기로 했다.
제일 눈길을 끈 학교가 강화의 모 특성화고등학교였다. 나는 학교의 교육목표, 교육 시설, 학교연혁, 교직원등을 꼼꼼히 살펴보았다. 자연과 자율로 진행되는 교육 프로그램이 딸에게 좋은 체험을 제공할 것 같은 분위기다. 그러나 딸의 의견이 중요하다. 역시 하나의 가능성으로 열어두기로 했다.
이튿날 나는 딸을 불러 인터넷으로 강화의 특성화 고등학교의 여러 자료를 살펴보았다. 전교생이 62명인 학교. 배설물이 자연친화적 퇴비로 바뀌는 화장실, 1실 4인의 기숙사. 가족과 마주 앉아 식사를 하듯 하는 온돌 형 식당, 각 학생들에게 할당된 3평의 농토……. 딸은 흥미롭게 보고 있었다. 일단 어떤 판단이나 결정은 보류하고 딸에게 이런 학교도 있다는 정보제공 차원이었다.
그날 저녁 딸은 수학 과외선생에게 모 고등학교 얘기를 했나보다. 수학선생님이 거기 가면 대학 못 간다고 했다며 가지 않겠단다. 나는 그냥 딸의 심중을 짐작하는 선에서 듣고 있었다. 과외선생은 학원에 다니면서 틈나는 주말에 두 번씩 딸을 지도하고 있다. 한 아파트 이웃집에 살았고 집사람의 성당 대녀이기도 하다. 딸은 과외선생을 잘 따르고 숙제도 열심히 하고 있다.
딸은 과외선생을 멘토로 생각하고 있는 것 같다. 멘토가 반대의사를 보였다면 딸은 분명 가지 않을 것이다. 이제 선택의 폭은 조금 더 좁아졌다. 한동안 실업계냐 인문계냐 고민하더니 실업계는 이제 스스로 포기한 상태이니 말이다. 특성화고교와 인도 유학은 아직도 가능성을 열어두고는 있지만 아무래도 딸의 진로는 스스로 인문계로 결정할 거 같기도 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