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01 (월)

  • 맑음동두천 21.9℃
  • 구름조금강릉 21.3℃
  • 맑음서울 22.4℃
  • 구름많음대전 22.1℃
  • 구름많음대구 24.6℃
  • 구름많음울산 23.7℃
  • 광주 23.1℃
  • 흐림부산 22.2℃
  • 구름많음고창 22.9℃
  • 제주 25.1℃
  • 맑음강화 21.3℃
  • 구름많음보은 21.7℃
  • 구름많음금산 22.3℃
  • 흐림강진군 23.3℃
  • 구름많음경주시 24.0℃
  • 흐림거제 22.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단일기

지금은 교장의 감성리더십 시대

  리더는 조직원들의 감성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끌어 내는 역할을 해야 한다. 감성지수가 높은 리더는 다른 사람들의 감정에 공감할 뿐 아니라 조직원을 대신하여 그 감정을 표현해 주기도 한다. 이는 조직공동체 사람들의 열정과 일치감을 불러일으켜 조직원의 조직력을 높이는데 효율적이다.  이렇게 인간이 가지고 있는 감성적 리더십의 요인은 자기인식, 자기관리, 사회적 인식, 관계관리 등으로 나누며, 이들 능력은 조직원의 마음을 헤아릴 줄 아는 감성적인 리더십 수행의 필수적인 요소들이기도 하다.

  리더는 조직원들에게 희망과 용기를 주는 사람이어야 하며, 과거의 리더처럼 “나를 따르라”는 일방적인 명령보다는 최근에는 “함께 하자”고 제의하는 리더가 되어야 한다. 이렇게 리더는 조직원을 이해하고 그들에게 희망과 용기를 주어 그들 스스로 조직목표를 달성하게 해야 한다. 이것이 바로 최근에 나타난 새로운 리더십의 공통적인 특징이다.

  학교장은 학교의 리더로서 교직원들의 감정과 학교조직의 감성적 현실을 잘 이해하고 공감하는 일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잘 이해하지 못한다면 학교조직의 변화를 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학교장이 바라는 학교의 변화나 개혁은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학교조직은 복잡한 감성적인 인간관계로 구성되어 있어, 학교장의 감성이 여러 분야에서 골고루 전달되고 발휘해야 하며, 진실성, 투명성, 성실성 뿐 아니라 감정이입까지도 가능한 건전한 인간관계를 형성해야 한다. 그러므로 학교장은 학교조직원들과 공감의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또한 중요한 과제이다.
 
  학교장은 감성시대를 이끌기 위해서는 감성적 역량을 함양하고, 감성적인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 먼저 교장 자신의 내면을 이해하고, 거기에 자기만의 감성형태를  바르게 인식하고 그 특성을 찾아야 한다. 그렇게 하면 그것이 곧 교장 자신의 감성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교직원들의 마음을 이해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들이 학교에 요구하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현재 이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를 찾아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주어야 한다.

  과거 아날로그시대를 '감성분할의 시대'였다고 한다면 지금의 디지털시대는 '감성융합의 시대'이다. 아날로그 시대에는 하나의 미디어에 하나의 감성능력을 대응시킬 수밖에 없었지만 디지털 시대는 다양한 미디어를 동시에 적용하는 복합적 감성능력을 발휘해야 한다. 그러므로 디지털시대의 학교장은 학교조직에 다양한 감성능력을 동시에 발휘해야 효율적인 학교경영을 할 수 있다. 

  지금은 감성 시대, 이제 우리는 더 이상 이성만 고집하여 살수는 없다. 젊은 교사들의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사고도 중요하게 인정해야지만 학교장의 따뜻하고 감성적인 한마디 말은 직원들이 불만을 한순간에 녹일 수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이들의 마음을  인정하고 격려해 줌으로써 혼자가 아닌 함께라는 공동체를 느낄 수 있게 하여 학교의 공동목표를 수행하도록 해야 한다. 그러므로 감성시대의 학교장은 혼자서 학교를 경영하는 것이 아니라 전교직원이 함께 공감하여 학교교육을 계획하고 실천하는 폭 넓은 소통의 학교문화를 만들어야 한다. 이러한 리더십이 바로 '감성리더십'이다.

  이제 학교장을 포함한 모든 교직원은 서로 마음을 열고 학교의 미래를 위하여 함께 고민하며 진정한 자신의 내면을 볼 수 있어야 한다. 여기서 자기만이 가지고 있는 감성적 특성을 찾아 그것을 다른 사람들에게 잘 전달해야 자신의 감성적 리더로서 감성 콘텐츠를 자리 메김 할 수 있다.
 
  이처럼 교직원의 감정을 정확하게 읽고 자신의 감정을 설득력 있게 표현하는 것이 감정인식능력이며, 학교장의 감정이 교직원의 생각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를 아는 것이 감정활용능력이다. 또한 학교장 자신의 감정이 어떻게 진행될지를 미리 예측하는 감정이해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감성리더십의 핵심은 ‘나 중심’ 마인드에서 ‘상대방 중심’ 마인드로 전환하는 데 있다. 나의 판단보다는 상대방이 어떻게 느끼는지에 관심을 갖는 일이다. 학교의 근무규정이 관련법규를 따지기 이전에 교직원의 인식은 무엇이고 공정하게 느끼고 있는지를 살피는 것이 더 중요하다. 또한 교장 자신의 전문성에 갇혀서 ‘나는 이미 다 안다’는 태도로 내가 하고 싶은 말을 일방적으로 늘어놓는 것이 아니라, 교직원의 생각은 무엇인지를 진지하게 경청하는 것도 중요한 일이다.

  이젠 학교장의 권위나 군림의 시대는 역사 속으로 사라진지 오래다. 군림보다 도와주고 지원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감성적인 학교장은 이성의 옳고 그름만큼이나 교직원의 마음 속에 깊숙히 들어가 그들의 마음이 학교목표에 향하도록 움직이도록 이끌어야 한다. 그래야 스스로 학교에 헌신하고 교육본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고 교육자의 보람도 얻을 수 있다. 감성은 따뜻하고 포근합니다. 교직원의 마음을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센스있는 감성적 학교장이 효육적인  학교경영의 원동력입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