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01 (월)

  • 맑음동두천 21.9℃
  • 구름조금강릉 21.3℃
  • 맑음서울 22.4℃
  • 구름많음대전 22.1℃
  • 구름많음대구 24.6℃
  • 구름많음울산 23.7℃
  • 광주 23.1℃
  • 흐림부산 22.2℃
  • 구름많음고창 22.9℃
  • 제주 25.1℃
  • 맑음강화 21.3℃
  • 구름많음보은 21.7℃
  • 구름많음금산 22.3℃
  • 흐림강진군 23.3℃
  • 구름많음경주시 24.0℃
  • 흐림거제 22.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단일기

최근 기업경영에 나타나는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는 ‘인재 전쟁(talent war)’이라고 할 수 있다. 소위 명문대학 및 MBA 출신의 엘리트 확보를 위해 CEO가 앞장서 유치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다. 그 이유는 바로 ‘1등 리더’의 탁월한 리더십 없이는 결코 ‘1등 사업’을 창출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진정한 1등 리더가 되기 위한 자질과 특성은 무엇일까? 이에 대해서 리더십의 전문가인 Tomas J. Neff와 James M. Citrin이 ‘Lessons from the Top’이란 책에서 세계 1등 사업으로 이끌고 있는 성공한 리더의 자질 15가지 중 3가지는 지적, 기술적 능력, 그리고 감성지능이라고 했다. 그러나 이 3가지 중에서도 대부분이 소프트한 차원의 감성지능을 기반으로 한 태도나 의지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이처럼 감성지능은 ‘자신의 한계와 가능성을 객관적으로 판단해 자신의 감정을 잘 다스리며, 상대방의 입장에서 그 사람을 진정으로 이해하고, 타인과 좋은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감성지능을 리더십 측면에서 보면, 바로 감성적인 리더십이다. 즉, 감성리더십(emotional leadership)의 본질은 우선 리더 스스로가 자신의 내면을 깊이 있게 성찰하는 데서부터 시작된다. 그리고 직원들이 가지고 있는 감성과 욕구를 파악하고 배려함으로써 서로가 함께 추구하고 달성해야 할 공동의 목표를 찾아 이를 향해 자연스레 직원들을 리드할 수 있는 능력이라 할 수 있다.  반면, 감성지능이 부족한 리더는 대부분이 직원들을 이해하고 배려하기보다 자신의 입장과 이익을 먼저 생각하고 행동한다. 또한 현장에서 직원들과 함께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서로의 의견을 나누기 보다는 자신의 직위와 권위를 앞세워 독선적이고 강압적인 리더십을 발휘하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감성지능이나 감성리더십이 이젠 학교현장에서 교장의 기본 자질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우선 학교환경이 변화하는 속도만큼이나 교직원들의 가치관도 빠르고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다는 사실은 신규 교사와 4~5년 경력교사 간의 세대차를 겪은 사례에서 찾아 볼 수 있다. 따라서 교장은 교직원들의 다양한 가치관과 시각을 제대로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어야 하며, 교직원들과 밀접한 상호 관계를 형성해야 한다. 즉, 교장의 풍부한 감성지능을 바탕으로 한 감성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그래야만 교직원들이 바라는 욕구를 충족시켜 교직에 대한 만족감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교직원들은 교직에 열정을 다해 몰입하게 함으로써 보다 높은 교육적 성과를 창출할 수 있고, 더 나아가 교장과 교직원 간의 이해와 배려를 바탕으로 한 인간적 유대감을 형성하여 신바람 나게 일하게 하는 강한 학교조직문화를 형성하는 토대를 마련해 줄 수 있다.
 
이러한 감성지능에 대해서는 Daniel Goleman은 성공적인 리더와 그렇지 못한 리더 간의 차이는 기술적 능력이나 지능지수(IQ)보다 감성지능(EI)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고 하였다. 즉, 약 80% 정도의 감성지능과 20% 정도의 지적 능력이 적절히 조화를 이룰 때, 리더는 효과적으로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학교현장에서 교장의 성공적인 학교경영을 위한 효과적인 감성리더십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교장 스스로가 감성지능을 구성하는 다양한 감성역량을 갖추어야 한다. 효과적인 감성리더십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먼저 자기 자신을 얼마나 객관적이고 냉철하게 평가하고 솔직할 수 있는가에 달려 있다. 즉, 자아인식 능력(self-awareness)이 높아야 한다. 이러한 자아인식 능력을 갖춘 교장은 자기 자신의 감성 상태, 강점과 약점, 욕구, 지향점, 가치 등을 있는 그대로 자신의 모습을 바르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자아인식 능력이 높을수록 강한 신념과 자신감을 지닐 수 있으며, 자신의 실수에 대해서도 솔직히 인정하는 태도를 갖출 수 있다. 반대로 그렇지 못할 경우 교직원들에게 거짓된 모습을 보이는 경우가 많고 결국 이들로 부터 불신을 초래하게 된다.

다음으로는 자기 자신의 감정이나 기분을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자기관리 능력(self regulation)도 필요하다. 만일 교장이 교직원들의 사소한 실수에도 쉽게 흥분하고 자신의 감정을 통제하지 못해 교직원들에게 모욕하는 언사를 자주한다면, 그러한 교장은 교직원들의 사기뿐만 아니라 창의성을 저해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밖에 없다. 이와 반대로 자기 자신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교장은 자제력이나 참을성이 강하고, 성실성과 정직성을 일관되게 보여준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자기관리 능력을 가진 교장의 교직원들은 교직업무 수행에서 오는 스트레스나 갑작스런 변화에 대한 적응력이 뛰어나며, 이러한 교장은 냉철한 판단력을 가지고 있어 쉽게 평정을 잃지 않아 급변하는 교육환경에도 교직원들이 교장을 믿고 따를 수 있는 힘이 있다. 궁극적으로 감성리더십은 자기 자신의 관찰과 이해, 스스로를 관리하는 능력을 뛰어넘어 타인에 대한 배려와 애정이 있을 때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교장은 먼저 교직원의 감정이나 시각을 폭 넓게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관심을 표현할 수 있는 타인의식 능력(social awareness)을 갖추어야 한다. 이는 교직원을 배려와 애정으로 보살핌으로써 교직원들의 긍정적인 교직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어 장기적으로는 교육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교장의 감성리더십 발휘의 원천은 성공적인 학교경영을 위한 새로운 도전정신과 열정을 갖게 한다. 열정을 갖추지 못한 교장이 경영하는 학교의 교직원들은 학교조직과 업무수행에 대한 충성심이나 헌신성을 기대할 수 없다. 교장이 먼저 솔선해서 샘솟는 열정과 끈기로 도전적인 학교비전을 향해 매진하는 모습을 보여줄 때 비로소 교직원들은 교장을 믿고 존경하며, 교육의 사명감을 갖고 따르게 될 것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