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서철이 되면 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것 외에 사람들의 조급증이 한층 더 더위를 부채질하고 있다. 조금만 더우면 덥다 소리를 습관처럼 입에 달고 산다. 자꾸 덥다고 하면 실제의 더위보다 더한 열기를 느끼게 된다. 스스로 자신에게 최면을 걸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는 웬만하면 덥다 소리를 잘 하지 않는다.
더위도 추위와 마찬가지로 우리가 체험해야 할 자연현상의 하나다. 우리는 우리 한반도의 기후에 적응하며 수천 년을 살아온 민족이다. 우리의 DNA 속엔 그러한 더위와 추위에 적응할 수 있는 면역력이 생성되어 있을 것이다. 또 우리는 우리의 나이만큼 한 여름의 더위를 체험해 왔다. 체험한다는 것은 우리 몸이 거기에 적응한다는 것이다. 그 만큼 우리는 그 더위에 익숙해져 있는데 요새 와서 사람들이 더위를 더 참지 못하고 덥다는 말을 밤 먹듯이 하는 것은 여러 가지 문명의 이기가 사람들의 생각과 체질을 인위적으로 바꿨기 때문이다.
에어컨을 가동하고 보양식과 빙과류에 의존하면서, 더위에 적응하려는 우리 몸의 자연스런 현상을 자꾸 방해하고 있다는 얘기다. 여름이 오면 으레 피서계획을 세워야 하고 몸보신을 해야 하는 걸로 의식이 바뀌어 가고 있다. 그것이 더 조급증을 부채질하고 한 여름의 풍속도가 되어 우리 몸의 자연스런 면역력을 약화시키고 있다.
나는 여름이면 덥다고 느끼기보단 생명의 열기를 느끼는 것이 보통이다. 한 겨울 앙상하게 벗어버린 나목과 황량하게 펼쳐진 들녘을 보다가 봄과 더불어 만물이 소생하는 참으로 놀라운 자연의 회복력을 우리는 경이의 눈으로 보았다. 신록의 계절을 거쳐 한 여름에 다다를 때 그 생명의 열기는 절정으로 치닫는다. 이러한 놀라운 생명력을 몸과 마음으로 체험하기보다는 덥다는 볼멘소리를 내뱉으며 냉장고 문을 여닫고 바다로 계곡으로 떠날 생각에만 열중한다.
나는 그것을 올바른 피서법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차라리 마루턱에 걸터앉아 차가운 냉수에 발을 담그는 것이 피서엔 더 효과적이다. 찬 물에 둥둥 띄워 놓은 수박을 쩍쩍 갈라 나누어 먹는 것이 오히려 사람 열기로 가득한 보양식 집을 찾는 것 보다 더 효과적일 수 있다. 창문을 다 열어놓고 자연 바람을 온몸으로 맞으며 책을 읽는 일이 인파로 북적이는 피서지를 찾는 일보다 더 효과적일 수도 있다.
나는 여름이면 이열치열(以熱治熱)이란 말이 떠오른다. 열은 열로 다스린다는 뜻이다. 더위는 용감하게 나서 맞서야지 수동적으로 피한다고 피해질 수 있는 게 아니다. 행복을 찾기 위해 외적인 행복의 조건을 열심히 추구한다고 해도 결코 쉽게 행복을 차지할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다. 행복은 바로 우리의 마음상태에 달려 있기 때문이다. 돈이 많다고 해서 지위가 높다고, 혹은 명예를 가졌다고 해서 그게 바로 행복은 아니다.
이런 외적인 여건 보다는 스스로 겸손하고 욕심을 버리고, 남들과 비교하고 경쟁함으로 얻어지는 비교우위를 떠나 스스로 자족하는 마음을 가질 때 우리는 마음의 평화와 기쁨을 갖게 된다. 더위를 이기는 방법도 그렇다. 남들 다 가는 피서를 나는 왜 못가냐는 불필요한 경쟁이 우리를 더 힘들게 한다. 에어컨 타령, 보양식 타령을 한다고 더위가 가시는 것은 아니다. 얼음 한 덩이 띄운 시원한 냉수 한 사발이 오히려 더위를 싹 가시게 할 수도 있다.
나는 여름에도 즐겨 자전거를 타고 뙤약볕 속을 달린다. 팔다리가 검게 그을려도 나는 개의치 않는다. 얼굴엔 조금 조심스러워 햇빛 차단 마스크를 쓴다. 헬멧까지 쓰고 달리지만 달릴수록 바람이 일어나니 더위를 느낄 겨를이 없다. 나중엔 온몸이 땀으로 범벅이 되기도 하지만 그게 뭐 그리 문제인가. 가다보면 시원한 바람 한 줄기 온몸으로 불어 닥쳐 상쾌하고 운동이 끝나면 땀에 흠뻑 젖은 운동복을 훌훌 벗어 세탁기에 집어넣고 냉수 샤워를 하면 그만인 것이다. 나는 다음과 같이 시를 쓴 일이 있다.
뙤약볕
땀을 뻘뻘 흘리고 얼굴 까맣게 그을리라고 뙤약볕은 쨍쨍 내리쬐는 것이다
땀이 뻘뻘 나면 바람을 맞고 얼굴 까맣게 그을리면 그늘에 들라고 뙤약볕은 자꾸 불러내는 것이다
사람들이 모두 나와 벼논에 벼 콩밭에 콩 무럭무럭 자라는 것 바라보라고
감자밭에 감자 수수밭에 수수 너울너울 자라는 것 바라보라고 뙤약볕은 한 여름내 내리쬐는 것이다 -최일화, ‘뙤약볕’ 전문
이런 시를 쓸 수 있었던 것은 내가 시골에 자랐기 때문이다. 어렸을 때 나는 뙤약볕 속에서 여름을 보냈다. 뜨거운 여름 날 들로 산으로 쏘다니며 새둥지를 찾고 산딸기를 따먹고 토끼풀을 뜯었기 때문이다. 이것이 바로 대자연의 현상에 적응해 사는 것이지 여러 가지 인위적인 방법을 동원한다고 해서 더위를 쉽게 물리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남들이 다 먹는 보양식이니 가족끼리 혹은 친구끼리 삼계탕 한 그릇씩 먹는 것은 어쩌겠는가. 가까운 물놀이 공원에 가서 유쾌하게 하루쯤 노는 것은 탓할 일이 아니다. 그러나 지나치게 더위에 민감해진다든지 의기소침해서 속수무책 당하고만 있다면 좀 더 적극적인 방법이 필요하다. 바로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이다. 해마다 되풀이 되는 더위 아닌가. 이제 많이 체험하고 대처 능력도 생기지 않았는가.
근래에 들어 여름이 더 일찍 시작되어서 더 늦게까지 지속되는 것 같다. 이제 초복이 지났을 뿐이다. 중복 말복을 지나 구월이 다 지나도록 더위는 기승을 부릴 것이다. 그러나 방구석에 앉아 덥다 소리를 연발할 것이 아니라 땀을 뻘뻘 흘리며 이 폭염도 하늘이 내린 축복이라고 여기며 감사하는 마음을 가져야 한다. 더위를 이기는데 있어서 환부를 도려내는 대증요법이 아니라 근본부터 개선하려는 지혜가 필요하다. 발상의 전환이다.
그것은 자연 속에서 자연과 함께 해결책을 모색하는 것이다. 에어컨 바람보다는 자연의 바람, 이열치열의 긍정적 마음가짐, 무더위 속에서의 일을 즐기려는 적극적 마음가짐이 중요하다. 그리고 한 여름의 생명의 열기를 감사하게 받아드려 폭염을 창조적 에너지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뜨거운 생명의 열기 속에서 우리도 무엇인가 뜨거운 창의적인 일에 더 매진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