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01 (월)

  • 맑음동두천 21.9℃
  • 구름조금강릉 21.3℃
  • 맑음서울 22.4℃
  • 구름많음대전 22.1℃
  • 구름많음대구 24.6℃
  • 구름많음울산 23.7℃
  • 광주 23.1℃
  • 흐림부산 22.2℃
  • 구름많음고창 22.9℃
  • 제주 25.1℃
  • 맑음강화 21.3℃
  • 구름많음보은 21.7℃
  • 구름많음금산 22.3℃
  • 흐림강진군 23.3℃
  • 구름많음경주시 24.0℃
  • 흐림거제 22.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소식

교육비리 이번이 마지막 되길

교육 비리로 사회가 온통 시끄럽다. 그간 선거로 덮어두었던 일들을 새삼 다시 거론되면서 교육이 온통 비리의 온상인양 메스콤도 앞을 다투어 보도하고 있다. 교육이 아닌 다른 사건들은 시간이 지나면 금방 잊혀지고 말지만 교육문제만을 그렇지 않다.

같은 사건이라도 교사가, 교장이, 교육공무원이 등이 하는 사건에 대해서 우리 사회는 한 치의 인정도 용서도 없이 매정할 정도이다. 이 같은 이유는 바로 교육은 가장 높은 도덕성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지난 6월 18일 국민권익위원회는 ‘직업별 청렴 수준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가장 청렴한 직업’으로 교사가 응답자의 47.8%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신부·목사·스님 등 종교인(45.3%), 군 장교(39.6%), 대학 교수(35.3%), 의사(34.6%) 순이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도 우리 국민들이 아직도 교원의 청렴성을 높게 강조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번 교장들의 비리는 크게 인사, 시설·납품, 수학여행, 자율형사립고 입학 등이다. 이들 비리들을 자세히 들어다보면 유형별 구조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다.

먼저 인사비리는 승진과욕과 근본적인 문제는 교육감 직선제에 따른 문제가 맞물린 문제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시설·납품, 수학여행 등 교장의 한순간의 실수가 30년의 교육헌신을 무너뜨리는 현실이 너무나 안타깝다.

사실 학교장에게는 학교관리, 교육과정, 수업지도, 학교회계, 시설관리 등은 너무나 많은 업무가 존재한다. 그 중에서도 교장들이 가장 힘들어하는 업무가 학교회계과 시설공사라 할 수 있다. 이들 업무는 전문적인 지식이 요구되는 업무로 처음 수행하는 교장은 대부분이 선배 교장들의 자문에 의존하기 마련이다. 이러한 현실에 관련 업무의 다양한 업자들이 방문하여 자문하고 이들의 권모술수에 일부 교장들이 넘어가기 있기 때문이다. 이렇듯 교원들은 타 직종의 사람보다 남의 말을 잘 믿고 넘어가는 특성도 인식해야 할 것이다.

요즘처럼 교육에 종사하는 사람으로 부끄러울 때가 일찍이 없었다. 교장, 장학사란 말을 입에 내뱉기가 민망할 정도다. 제자들 보기에도 부끄럽기 짝이 없다. 특히 이러한 기사를 접할 때마다 교원인 것을 후회하며, 때론 자괴감마저 든다.

흔히들 교원은 명예로 살아간다고 한다. 스승은 제자를 길러낸다는 큰 사명감과 자부심으로 예로부터 그들은 청렴한 삶을 고집해 왔다. 그러나 요즘 현실은 그렇지 않다. 교원도 일반인과 같이 경제생활과 문화생활을 하면 살아가야 한다.

그런데 문제는 아직도 일반인들은 그런 면에서는 크게 너그러운 평가를 하지 않는 냉혹한 현실이다. 그래서 교원들이 잘못한 일들은 보다 크게, 그리고 오랫동안 우리의 귓전을 맴도는 슬픔 현실이다. 

과거에는 교원들이 일반인들보다 학력이 높고 특히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교원을 군사부일체라 하여 스승을 존경하는 풍토에 있었으나 지금은 그렇지 않다. 오히려 학부모가 고학력이고 경제적으로도 월등히 높은 분들이 많다. 이렇다 보니 우히려 이들에게 무시당하는 일이 있다. ‘교사의 그림자는 밟지 않는다’는 말은 이미 옛말이 되었다.

이번 교육비리가 제발 마지막이 되길 우리 모두는 바란다. 부끄러운 일들이 터질 때마다 수많은 제자들의 눈과 귀가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경찰이 교장실을 뒤지는 사태도 이젠 더이상 있어서는 안 된다. 교육은 교원들에 믿고 맡겨야 한다.

이번 기회를 통하여 우리 교원들은 새로운 자정 노력을 해야 한다. 그래서 교장들은 깨끗하고 투명한 학교경영으로 모든 교직원들의 지지를 이끌어 내어야 교육성과를 높일 수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그야말로 교육공동체가 함께 이끌어가는 교육이 되어야 할 것이다.

교육의 수장이 비리로 구속되는 초유의 사건을 보면서 우리 교육이 왜 이 지경까지 왔나하는 반성도 해본다. 교육은 정치적으로 중립성을 지녀야 한다. 미국이나 영국은 정권이 바뀌어도 교육정책에는 일관성 있게 지켜오고 있다. 지금 미국의 오바마 정부도 과거 부시 “어떤 아이도 뒤쳐져서는 안 된다(No Child Left Behind Act)”는 교육정책을 그대로 이어오고 있는 점을 우리는 인식해야 한다.

그러나 우리의 교육정책은 정책이 바뀔 때마다 대학입시 정책이 바뀌었다. 그래서 우리나라 학생들은 4년마다 새로운 입시정책에 신경을 곤두세워야 한다. 이젠 입시정책 뿐 아니다, 교육수장은 뽑은 교육감 선거, 교육위원 선거가 또 하나의 혼란을 가중시켰다. 정치에 휘둘리다보니 교육주체자들까지도 교육의 본질이 무엇인지 혼란할 때가 많다.

교육은 학생들에게 쾌적하고 안전한 교육환경에 양질의 교육과정을 제공하여 미래의 행복한 삶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이들에 대한 책임은 교원, 학부모, 국가가 모두 책임감을 갖고 장기적인 계획으로 실천해야 한다. 왜냐하면 이들이 곧 우리의 미래이기 때문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