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학년 수학에서 여러 가지 모양 단원을 배우고 단원 평가를 할 때였습니다. 수학 책을 유심히 들여다 보던 아이가 혼자 중얼거리더니 손을 들고 질문을 했습니다.
"선생님, 두 점이 없어요."
선분의 정의가 도입되는 2학년 수학 책 33쪽 선분은 분명히 두 점이 있습니다. 그런데 48쪽 '문제를 풀어 보시오'에 나온 선분과 직선에는 아무리 보아도 점이 보이지 않으니 이상하게 여긴 겁니다. 선분의 정의는 '두 점을 곧게 이은 선'이라고 배웠는데 두 점이 안 보인다며 질문을 한 것입니다.
다른 해 가르치던 2학년 아이들에게서는 한 번도 들어본 적 없는 질문을 하는 2학년 아이의 관찰력에 놀랍니다. 선은 수 많은 점들의 모임이라고 설명하면 개념 정리에 혼란이 올까봐 교과서의 약속만 이해시키고 외우게 한 것이 잘못이었을까요?
도형에서도 마찬가지였습니다. 도입 단계에서 그려진 삼각형과 사각형에는 꼭짓점이 선명하게 그려져 있는데 풀어 보기 문제에 나온 삼각형이나 사각형에는 꼭짓점이 하나도 없다고 질문하는 아이의 위대한 관찰력에 나도 깜짝 놀랐답니다. "류재는 질문이 많으니 칭찬 점수를 줄게요. 질문이 많다는 것은 관찰을 잘한다는 뜻이고, 호기심이 많다는 증거랍니다."
바쁠 때는 그 아이의 질문 때문에 수업의 맥락이 끊겨서 엉뚱한 방향으로 흐르기도 합니다. 적당히 자르는 게 참 어렵답니다. 꼬리를 물고 계속 이어지는 아이의 질문을 그 아이 마음을 다치지 않게 하면서 매듭을 짓고 다음 단계로 진행하는 일은 늘 숙제입니다.
그것 뿐만이 아닙니다. 수학에서 규칙을 찾는 공부를 할 때에도 류재의 질문은 빛이 났습니다. 물체나 무늬의 다양한 변화 규칙을 찾거나 수 배열이나 수 배열표에서 규칙을 찾고 설명하는 공부를 할 때입니다.
"선생님, 수학에서 공부하는 규칙하고 질서를 지키거나 교통 신호를 지킬 때 규칙하고 어떻게 달라요?" "우와! 류재가 대단한 발견을 했어요. 어떻게 그런 생각을 했지요 ?"
수학에서 말하는 규칙과 바른생활에서 말하는 규칙이라는 낱말의 다양성을 짐작하고 질문을 하는 영리한 모습에 깜짝 놀랐습니다. 늘 멍하니 엉뚱한 생각에 빠져 있다가 말꼬리만 듣고서는 다시 묻는 게 습관이 된 아이라서 집중하지 않는다고 꾸중도 자주 듣지만, 그 순간 다른 무엇에 꽂혀서 몰입하고 있음을 눈치채곤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 아이도 놓칠 수 없으니 불러세워서 주제로 돌아오게 하는 일도 중요하므로 수업 중에 늘 신경을 써야 하는 아이랍니다.
자신이 알고 있거나 흥미 없는 내용이면 여지없이 해찰을 하고 그림을 그리거나 멍하니 딴 생각에 빠져 있는 아이. 뭐든 한 박자씩 늦게 시작해서 다른 아이를 기다리게 하는 아이. 아는 것이 많아서 호기심의 더듬이가 많아 늘 질문을 달고 사는 아이. '최고의 교수'에서 보면 가장 잘 가르치는 수업의 종류가 나옵니다. 최고의 방법은 학생이 질문하고 학생이 답하는 거라고 했습니다만 나는 기다리지 못하고 그만 내 생각을 말하고 말았습니다.
창의성과 다양성이 풍부한 아이 살리기
"우와, 대단한 생각을 했어요. 똑같이 '규칙'이라는 말이지만 서로 달라요. 바른생활에서 말하는 교통 규칙은 사람들 사이의 약속이나 꼭 지켜야 할 법을 말한답니다. 수학에서 말하는 규칙은 그것과는 달라요. 옷을 만들거나 물건을 만들 때 들어가는 무늬처럼 정해진 순서에 따라 되풀이 하는 방법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배'라는 낱말도 먹는 배, 사람의 배, 바다 위의 배처럼 여러 가지로 쓰이지요?"
요즈음은 호기심 박사 덕분에 사전을 자주 들여다 본답니다. 2학년 수준에 맞는 답변 자료를 내놓아야 하니까요. 어려운 낱말을 사용하면 또 그 낱말을 다시 설명하면서 더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언제 어디서 튀어나올지 모르는 우리 반 호기심 박사님 덕분에 즐겁기도 하고 긴장되는 수업 시간이랍니다.
얼마 전에는 9시가 다 되어 등교하길래 꾸중하려다가 이유를 물었다가 웃음을 참느라 힘들었습니다.
"왜 이렇게 늦게 오는 거니? 아침독서 시간 다 지나버렸네. 무슨 일이 있었니?" "예, 선생님. 아침 밥을 먹고 양치질을 하려고 화장실에 들어갔는데 무슨 생각을 하다보니 30분이 지나버려서 늦었어요."
그것 뿐만이 아니랍니다.학교에서 점심밥을 먹다가도 무언가 생각에 빠지면 내가 지적하지 않으면 몇 분씩 시간을 보내는 아이라서 늘 지켜보며 잔소리를 해야 한답니다. 지적 능력이 뛰어나면서도 실수를 잘 하고 공부하는 것을 진지하게 생각하지 않는답니다.
형성평가 시험지를 주면, "선생님, 이건 진짜 시험 아니지요? 틀려도 괜찮지요?" "진짜 시험이 아니라고 대충 보는 습관이 되면 곤란해요. 진짜건 아니건 꼼꼼히 하도록 하세요. 아는 문제를 실수로 틀리는 버릇이 들면 진짜 시험에서도 실수가 나오기 쉬우니까요."
형성평가에서는 쉬운 문제는 잘 틀리면서도 월말에 치르는 성취도 평가는 진짜 시험이라면서 거의 만점에 가까운 높은 성취를 보일 만큼 집중을 잘해서 꼭 상을 탄답니다.
우리 반에서는 모든 행동과 학업 성취가 칭찬 점수로 연결되어 모둠장을 뽑거나 책 선물을 주는 기준이 됩니다. 숙제 점수, 점심 먹는 자세, 발표하는 태도, 성취도 평가, 받아쓰기 점수 등 뭐든지 가능합니다. 아이들의 행동을 바람직하게 변화시키는 데 필요한 거라면 수시로 추가됩니다. 체벌을 줄이면서도 교육적이고 긍정적인 방향으로 끌기 위한 비책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호기심 박사의 수험 태도를 고치기 위해 형성평가 점수까지도 추가하였습니다. 자잘한 일은 대충해도 된다는 사고방식을 고쳐 주고, 친구들에게 상처주는 말을 할 때에도 벌점을 주면서도 혹시 스트레스를 주게 될지도 모르니 은연 중에 변화되도록 가랑비에 옷 젖듯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늘 강구한답니다.
공교육은 보통교육입니다. 그러다 보니 아이들 중에서 특별한 재능을 지니거나 또래에 비하여 현저하게 뒤진 아이들은 학교 교육에서 만족을 얻기 힘든 것도 사실입니다. 류재처럼 기발하고 엉뚱하며 창의성이 풍부한 아이의 기를 죽이지 않는 교육을 병행할 수 있으려면 내 마음의 여유가 필요함을 느끼곤 합니다. 마음이 바쁘거나 수업이 아닌 업무가 밀리면 정해진 교육과정 이수에만 신경이 쓰여서 아이들의 호기심을 충족시킬 여유가 없기 때문입니다.
아이들이 행복한 세상
어린이 날을 맞아 선생님에게 부탁하는 글을 쓰라고 하였습니다. 아이들이 원하는 것을 들어주고 싶어서였습니다. 짧은 머리를 길었으면 좋겠다는 여자 아이들, 선생님이랑 즐겁게 놀고 싶다는 아이들이 많았습니다. 숙제가 많다거나 공부가 힘들다는 아이가 없어서 다행스러웠습니다. 30년 가까이 유지해 온 머리 모양을 바꾸기 위해 머리를 기를 수는 없지만 즐겁게 놀아줄 시간은 늘여보도록 노력해야겠습니다.
폐렴으로 병원에 입원하느라 어린이 날도 친구들과 함께 지내지 못한 아이가 돌아오면 더 행복하고 즐거운 교실을 만들어야겠습니다. 함께 교과서를 공부한 시간보다 즐겁고 행복한 시간을 더 오래 간직하는 아이들입니다. 세상의 아이들이 늘 행복한 세상이 되었으면 참 좋겠습니다. 날마다 어린이날처럼 아이들을 염려하는 어른들이 많았으면 더욱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