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들은 페루에 가서 죽다>라는 단편집을 읽었다. 에밀 아자르라는 필명으로 책을 출판하기도 했던 작가 로맹 가리는 1980년 파리에서 권총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조금은 유별난 삶을 살았을 그의 난해한 책을 읽자니 이런저런 생각이 꼬리를 문다. 이 책을 읽는 다른 어떤 이들은 상당한 깊이와 감명을 받았다는데 나는 도무지 그 실마리를 잡을 수 없었다. 인간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도, 위트 섞인 유머도, 허를 찌르는 반전도 와 닿지 않았다. 작가가 의도한 사건의 요지는 물론 몇 줄로 이루어진 문단도 이해하기 힘들었다.
그래, 나는 단편인간이다. 등장인물과 사건, 시간과 공간의 묘사를 세세하게 풀어놓는 장편에서는 잘 돌아가는 머리가 사건의 한 일부분만으로 전체를 구성하도록 그려진 단편에서는 먹통으로 변해버린다. 책에서 뭔가 의미를 찾아야 한다는 문학적 강박관념인지, 시작과 끝이 명확해야 된다는 결벽증적인 집착인지 단편이 갖는 모호함을 따라갈 수가 없다. 남들이 추천한 책을 이해하지 못했다는 상실감에 다시 책장을 펼쳐보지만 그럴수록 책을 이해해야 한다는 중압감만 더 커질 뿐이다. 한 문장씩 끊어 읽어보지만 다음 문장으로 넘어가지 못하고 이전 문장의 의미를 찾고 있을 뿐이다.
단편이 갖고 있는 모호함이나 번역상의 문제일 수도 있지만 해독이 되지 않는 문장을 잡고 미간을 찌푸리는 내 자신은 여전히 안쓰럽다. 책을 읽고 시험을 보는 것도 아니고 누구에게 설명할 것도 아닌데 말이다. 책을 좀 더 너그럽게 읽어야겠다. 문장이 이해되지 않더라도, 작가의 의도가 와 닿지 않더라도 기죽지 말자. 글을 분석하려들기 보다는 느끼는 그대로를 받아들이자. 어설픈 흉내 보다는 나의 감정에 충실하자. 그리고 작은 것에 집착하기 보다는 전체적인 흐름을 이해하자. 나의 ‘단편’을 벗어던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