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을 살다보면 의도하지 않은 일을 해야 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수업 컨설턴트로 활동을 하게 된 것도 그렇다. 반은 자의고 반은 타의다. 수석교사라는 이유로 지역교육지원청의 권고를 받았다. 이 순간에 마음이 착잡하다. 남의 수업을 보면 내 수업을 성장시키니 좋지만, 내가 컨설팅을 할 수 있을지 의문이 생긴다. 경력이 많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컨설팅을 할 수 있을까. 한없이 부족한데, 다른 선생님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지.
얼떨결에 컨설팅을 하게 되었지만, 마냥 거부할 수도 없는 문제다. 역량을 높이는 방법뿐이 없다. 해서 문헌을 찾아보고, 컨설팅의 방법과 컨설턴트의 자세 등에 대해서 정리해 보고자 한다.
과거에는 수업 컨설팅이라 하지 않고, 수업 장학이라고 했다. 둘은 유사한 점도 있지만, 차이가 있다. 수업 장학은 지도 개념이다. 관리자가 저경력 교사를 지도한다. 수업 장학은 행하는 사람이나 받는 사람이 수직적 관계다. 따라서 장학 지도자가 조언을 하거나 지도를 하면, 저경력 교사는 일방적으로 들어야 한다.
이에 비해 컨설팅은 실행 단계부터 다르다. 수업 컨설팅은 수요자가 자발적으로 요청하면서 시작한다. 자신이 당면한 어려움이나 문제점을 알리고, 그 해결점을 찾는 길을 모색한다. 이 과정에서 의뢰자는 일방적인 지도를 받는 것이 아니라, 컨설턴트와 상호적인 관계를 갖는다. 의뢰자는 자유롭게 질문을 하면서, 컨설턴트와 공동으로 문제를 해결한다.
컨설팅을 의뢰한 사람은 컨설턴트에 의해 자신의 능력이 향상되기를 희망한다. 그렇다면 컨설턴트는 전문성이 필요하다. 기대에 맞는 지식과 정보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수업 관찰부터, 분석, 협의 단계에서 깊이 있는 이론은 물론 상황에 맞는 전문적인 도움을 주어야 한다.
수업은 복잡하고 다양한 상황으로 전개된다. 일정한 매뉴얼로 일반화하는 것을 지양하고, 입체적이고, 역동적인 접근을 해야 한다. 수업 컨설팅은 컨설턴트의 일방적인 가르침보다 교사의 끊임없는 자기반성으로 해답을 찾는 것도 바람직하다. 따라서 교사에게 수업에 대한 자기 평가서를 작성하거나 교수 활동 일지를 작성하도록 한다. 컨설턴트도 수업 참관 기록에 대한 비평서 작성으로 정보를 공유한다면 수업에 대해 보다 발전적인 기술과 지식을 심화해 나갈 수 있다.
컨설팅은 동료교사 지원이라는 관점도 중요하다. 그 지원은 물리적 차원보다 정서적 감화를 주는 것이다. 이 과정에 꼭 필요한 것은 의뢰자와 의사소통이 원활해야 한다. 컨설팅은 낯선 사람과 낯선 사람이 만난다. 기존에 소통이 없었기 때문에 마음을 열기가 어렵다. 컨설턴트는 짧은 시간에 친화력을 발휘하고, 마음을 나누는 대인관계 기술도 필요하다. 첫 만남부터 정성과 열의를 보이고 진행 과정에서 신뢰를 잃지 말아야 한다.
컨설팅은 자칫 자신의 생각이나 의견만 내세울 우려가 있다. 내 이론과 내 경험만 옳다고 고집하다보면 효과를 얻을 수 없다. 오히려 그러한 태도는 자신만의 울타리에 갇혀 컨설턴트의 전문성을 잃기 쉽다. 컨설팅을 하면서도 입은 되도록 적게 열고, 눈과 귀는 크게 열어야 한다. 내 이야기보다 많이 들어서 답을 찾아야 한다.
자신이 수업을 잘한다고 남에게 도움을 잘 준다는 생각도 잘못이다. 교사는 정서적 자존심이 강하다. 그래서 남의 가르침을 받는다는 것에 대해 부정적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수업에 대한 평가를 자기성찰의 자료로 접근하는 방법이 있다. 즉 수업에 대한 평가는 의뢰인이 교육적 이론과 지식을 바탕으로 스스로를 돌아보게 한다. 이렇게 하면 자발적 성장 욕구를 충족시키고 결국은 적극적인 피드백으로 자신의 역량을 찾는다.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수업 컨설턴트 역할을 앞두고 느끼는 것은 나의 부족함이다. 뒤늦게 관련 서적을 읽고 공부를 하고 있지만, 부담은 여전하다. 다행히 어떤 일을 할 때 열정도 실력이 될 수 있다고 했으니, 이 말을 믿고 있다. 조벽 교수도 수업 컨설팅은 교사의 머리가 아니라 마음을 움직이는 것이라고 했다. 잘하지 못하는 대신에 정성을 다할 생각이다. 능력이 안 되면 의뢰자의 어려움이라도 같이 고민하면 마음을 덜어줄 수 있지 않을까. 컨설팅을 하면서 학문적 이론으로 접근하기 보다는 감동을 주는 역할에 무게를 두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