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 저는 장수풍뎅이가 좋아요. 왜냐하면 가장 힘이 세거든요.", "선생님, 애벌레가 징그러워요!" 아이들의 소란스러운 목소리에는 호기심이 잔뜩 묻어있다. 지금 금당초는 융합인재교육으로 아이들이 신났다.

김한석 금당초 교장은 "여러분이 좋아하는 곤충을 기르면서 흥미·동기·성공의 기쁨 을 느끼십시오. 이를 통해 여러분은 새로운 문제에 도전하고자 하는 열정이 생길 것입니다. 장수풍뎅이를 길러보는 감성적 체험활동을 통해 어려운 과제를 스스로 해결해본다면 새로운 문제에 도전해보고 싶은 의욕이 생길 것입니다. 그렇게 열심히 하다보면 여러분은 여러분의 꿈에 한 발짝 더 다가서게 됩니다."고 하며 학생들을 격려했다.

다른 학교의 아이들도 마찬가지이겠지만 금당초에 다니는 아이들도 공부할 때 흔히 묻는다. "이것을 배워서 무슨 도움이 되나요.", "머리만 아픈데 왜 이런 것을 배우나요?" 이런 물음에 맞는 답을 함께 찾아가다 보면 자연스레 수학이 재미있어지고 과학이 흥미로운 학문으로 다가온다. 이런 취지를 담아낸 것이 '스팀(STEAM) 교육'이다.
스팀(STEAM)교육은 미국에서 1990년대부터 과학(Science), 기술(Technology), 공학(Engineering), 수학(Mathematics)을 통틀어 일컫는 말로 'STEM'이라는 용어를 사용해 왔다. 그리고 이를 '학문간의 융합'이라는 의미를 부여해 과학교육이 이뤄지도록 해왔다. 그러던 것이 미국 버지니아주 기술교육협의회장인 조지 야크만은 2006년 STEM에 예술(Art)까지 포함시킨 STEAM이라는 개념을 내세우며 더욱 폭넓은 형태의 융합교육을 강조했다.
우리 주변을 둘러싼 환경에는 법칙이 있다. 이 법칙을 연구하는 학문이 과학(Science)이고 이를 도구로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 기술(Technology)이다. 또한 이러한 기술의 바탕이 되는 것이 공학(Engineering)이고 우리의 삶을 풍요롭게 해주는 것이 예술(Arts)이다. 또한 자연의 법칙을 이해하고 풀어내는 언어가 수학이다. 따라서 과학과 기술과 공학, 예술, 수학은 우리의 생활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는 학문인 것이다.

금당초에서는 장수풍뎅이나 사슴벌레, 누에 등 곤충 기르기 체험을 소재로 교과 교육을 재구성하여 STEAM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오후돌봄교실과 저녁돌봄에 대다수의 학생들이 참여하는 지역적 특징을 살려 돌봄교실에서도 곤충을 관찰하고 그려보고 셈하는 활동을 통하여 과학과 기술, 공학, 예술, 수학 등 학문을 체득하고 있다.
공부가 끝난 빈 교실에 아직도 아이들이 남아서 장수풍뎅이 애벌레를 들여다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