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2 (화)

  • 구름많음동두천 18.2℃
  • 구름조금강릉 14.4℃
  • 구름많음서울 20.4℃
  • 구름많음대전 20.1℃
  • 구름많음대구 15.3℃
  • 박무울산 12.0℃
  • 구름많음광주 19.0℃
  • 구름조금부산 13.2℃
  • 흐림고창 18.6℃
  • 흐림제주 19.3℃
  • 구름많음강화 17.1℃
  • 구름많음보은 15.5℃
  • 구름많음금산 17.5℃
  • 구름많음강진군 15.7℃
  • 구름많음경주시 11.9℃
  • 구름많음거제 12.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문화·탐방

강렬한 캐릭터, 부족한 비장미, '빛과 그림자'

지난 해 11월 28일부터 방송한 MBC창사50주년특별기획 ‘빛과 그림자’가 7월 3일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 장장 7개월, 64부작의 대장정을 처음부터 끝까지 지켜 본 소회는 남다를 수밖에 없다. 당초 50부작 방송이었으나 노조 파업으로 후속작 촬영에 차질이 생기면서 64부작이 되었으니 웃어야 할지 울어야 할지 난감하긴 하다.
 
사실 1월 30일부터 사장 물러나라며 시작된 노조 파업은 5개월이 지난 지금까지도 계속되고 있다. 방송사상 최장기 파업이다. 8월 초 새로 구성하는 방송문화진흥회(MBC 대주주)에 기대를 거는 보도가 있긴 하지만, 타결 기미조차 보이지 않는 가운데 노사 모두 시청자는 안중에 없는 진흙탕 싸움 양상이다. 주요 프로그램의 시청률 반토막 등 시청자들은 이미 MBC ‘응징’에 들어간 형국이다.
 
그런 와중이라 ‘빛과 그림자’의 대장정은 일단 그 의미가 커 보인다. 방송 시작 즈음부터 종영에 이르기까지 언론으로부터 이렇다 할 주목을 받지 못한 ‘빛과 그림자’여서 더욱 그렇다. 또한 한때 20%대까지 시청률이 오른 적도 있지만, 역시 파업에 대한 시청자들의 응징을 피해갈 수 없어 그런 것인지 모를 일이다.
 
‘빛과 그림자’는 시골 부잣집 아들로 개념 없이 살던 강기태(안재욱)의 사랑과 우정, 복수와 야망을 그린 시대극이다. 2008년 방송되었던 ‘에덴의 동쪽’과 비슷한 구도로 전작 ‘계백’의 실패를 만회하려한 듯하나 그렇게 성공한 것처럼 보이진 않는다.
 
1970년대를 거쳐 1980년대 초까지 관통하는 시대배경은 흥미를 끌만하다. 단순한 양념 정도가 아니라 현대사의 물줄기를 바꿔놓은 여러 역사적 사건들 속에 주인공이 직접 엮이어 온갖 질곡을 온몸으로 감당해나가고 있기 때문이다. 일례로 ‘궁정동 안가’, ‘삼청교육대’ 등이 그것이다.
 
그것과 함께 돋보인 것은 강렬한 캐릭터다. 주인공이라 할 강기태ㆍ차수혁(이필모)ㆍ장철환(전광렬) 들이 그렇다. 연예산업 이면의 비리와 음모를 드러내면서도 올곧게 사업하는 기태, 게다가 오로지 이정혜(남상미)라는 한 여인에 대한 순애보까지 볼수록 매력적일 수밖에 없는 캐릭터다.
 
차수혁은 또 어떤가. 권력의 화신이면서 정혜를 향한 일편단심으로 친구까지 죽이려 한다. 반동인물 장철환은 그들을 세 발의 피로 만들게 할 만큼 너무 강렬한 캐릭터다. 장철환은 무식함과 충성심, 권력 또는 살아남기 위해서 무슨 짓이든 할 수 있는 ‘입체적 인물’이다. 현실에 얼마든지 존재하는 인물형이라는 점에서 그저 드라마려니 하는 안이한 생각을 질타하는 힘이 있다.
 
문제는 부족한 비장미다. ‘지랄 같은’ 시대의 소용돌이에 찢기고 할퀴고 망가지고 했어야 하는데, 결과적으로 기태는 거뜬히 성공을 일궈내고 있다. 일단 연예계에 나름 경종을 울리는 효과가 있어 보이긴 하지만 그것이 전부는 아니다.

대리만족이나 카타르시스를 얻을 수 있을지 몰라도 권력 또는 지배계층에 당함으로써 슬픈, 거기에 응당 수반되는 분노, 저주 같은 공분(公憤)을 통한 비장미가 덜해 아쉬운 것이다. 마지막회 수혁이 철환을 권총으로 쏴 죽이고 자신도 자살하는, 나쁜짓 하면 벌받는 식의 결말은 싱겁기까지 하다.
 
장철환 죽음 이후 청와대를 비롯한 정치권 반응 생략이라든가 여우주연상(이정혜), 작품상(강기태) 수상 등 막 좋은 일만 생겨나는 등 억지 결말도 아쉽다. 고작 9회에서 이전 내용을 회상한 것이라든가 64부작으로 늘어난 후 지지부진한 전개 따위도 아쉽긴 마찬가지다. 
 
아무리 드라마이고, 제대로 된 시절이 아니었더라도 탈옥에 밀항까지 하고도 승승장구하는 기태의 모습은 좀 심하지 않았나 생각된다. 3월 6일 30회에서 보여준 ‘가벼운’ 감방 신고식도 그 당시와 거리가 있는 모습이다. 당시는 강기태 같은 장발머리도 용납 안된 시절이었음을 상기시키고 싶다.
 
기태 어머니(박원숙)의 김풍길(백일섭)과의 재혼도 좀 그렇다. 억울하게 죽은 아버지에 대한 그리움과 복수의지로 전개된 내용을 무색하게 만들어서다. 기태의 선친에 대한 어떤 회상- 예컨대 ‘아바지, 어머니 행복 빌어주시라요’ 같은 묘사가 있어야 했다.
 
용어에서도 시대극을 대하는 진정성이 결여되어 불만스럽다. 가령 59회(6월 18일 방송) 등에서 대사중 간호사, 모텔이 나오는데, 필자 기억으론 1980년대 초반에 사용된 용어는 아니지 싶다. 61회에서 “유난히 까칠하네” 같은 대사도 마찬가지다. 왕조시대를 다룬 사극의 경우 그 시대의 언어를 재현할 수 없다는 기본적 면죄부가 있지만, 시대극이라면 피해갈 수 없는 문제임을 명심했으면 한다.

배너





배너
배너